독후감

2010.12.06 21:07

블랙홀 이야기

조회 수 2349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별도 인간처럼 생주멸공한다. 별들이 광대한 시간을 빛나다 죽음에 이른다는 과학적 발견을 100년도 채 안되는 짧은 삶을 살다 사라져가는 우리가 이해하기란 쉽지 않다.별의 재에서 태어난  인류가 자신의 기원과 우주의 시작을  탐구하는 단계까지 왔다. 개인적으로 내가 조선시대에 태어나지 않은 것을 정말로 다행으로 여긴다. 우주론에 빠진 현재, 최소한 내가 어디서 왔는지를 알고 갈 수 있으니 말이다.



천체물리학관련 책들을 읽다보면 자주 만나는 이름들이 있다.



인도 출신의 과학자 찬드라세카르( 1910- 1995)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과 자주 같이 따라 다니는 아서 에딩턴(1882-1944)



< 블랙홀 이야기 >에서


찬드라세카르에게 에딩턴은 ‘악마적 거인’으로 표현되고 있다.
책 안으로 들어가 보자.....



        " 이름도 생기기 이전 블랙홀의 가능성을 처음 수학적으로 입증한 찬드라세카르.
        
찬드라는 특수 상대성이론을 수용한 자신의 수학적 계산의 결과가 분명 옳을 것이라 확신한다.
           죽은 별은 태양보다 질량이 작으면 백색왜성( white dwarf, 하얀난쟁이별)이 되고, 크면 중성자 별
           이나 블랙홀이 된다. 열아홉 살 청년 찬드라는 질량이 너무 큰 별들은 백색 왜성이 될 수
         없  다는 사실을 수학적으로 계산해냈다.
백색왜성의 질량 상한선을 찾아낸 것으로,
           이 상한선은 오늘날 "찬드라세카르 한계 (chandrasekhar limit)" 라 불린다.



           1935년 1월 영국 천문학회에서 24세의 찬드라는 자신이 영국으로 오는 뱃길에서 계산한
           백색왜성의 질량 상한선에 관한 내용을 잘 다듬어 발표했다.



           당시 오직 한 사람만이 찬드라의 발견이 뜻하는 의미를 완전히 이해했다. 세계적인 천체물리학자
           아서 에딩턴 경인데,   찬드라의 결과를 사납고 잔인하게 물어뜯었다. 그가 젊은 시절 절망으로
           기가 꺾이지 않았다면 얼마나 위대한 발견을 했을까 궁금했다. 천체 물리학의 발전을 거의
            반세기나 더디게 만들었다.



          찬드라의 위대한 발견은 다름 아닌 우주의 최종 운명에 대한 것이었다. 별들은 그 연료를 다
          태우고 나서 생애 마지막에는 어떻게 될까? "



                                                              -  블랙홀 이야기-  에서



      아서 에딩턴은 그 당시 영국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천체물리학자였다고 한다. 그는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 이론의 한 가설인 태양의 중력으로 먼곳에 있는 항성의 빛이 구부러진다는 것을 1919년 9월 서아프리카 프린시페 섬에서 일식을 관찰하여 상대성이론이 옳다고 발표한 사람이다.




     난 이 책의 페이지를 더 읽어나가며  블랙홀을 있을 수 없는 정신병적 생각으로 치부해 버렸던 물리학자들과 블랙홀 이론의 발전 과정을 만날 것이다. 





1983년 이 논문믈 발표한지 48년이 흐른 뒤, 찬드라는 노벨상을 수상한다. 다행이다.

물리학의 '물' 자 한 자도 모르는 나는 그저 그가 말하는 것을 들으며 우주의 경이로움에 대한 눈물을 흘릴 뿐이다.





                       참고문헌;   블랙홀 이야기/ 아서 밀러 지음/ 안인희 역/ 푸른숲

                                       




        

  • ?
    문병희 2010.12.06 21:07
    태양의 질량 크기에 의해 백생왜성 과 블랙홀을 구분한다.
    기준 정립하고 증명하는 수학적 논리가 사뭇 궁금해진다.
    하나 의문이 꼬리를 물고 나아가고 있는 듯 싶다.
  • ?
    이후형 2010.12.06 21:07
    무엇을 공부하신지 모르겠으나 상당한내공과 글을 상대가 이해하기쉽게 재미있게 쓰는 재주 타고났는지.....우주마음에 감사합니다...
  • ?
    이정희 2010.12.06 21:07
    책을 가슴으로 읽고 있네요
    저는 내용을 찬찬히 보는데 중점을 두는데..
    기억에 남질 않아서.. 최요미님처럼 가슴으로 읽어야 할 것같네요.. 고맙습니다

  1. [문학일기 11] 석유종말시계/ 크리스토퍼 스타이너/ 시공사

    Date2011.03.08 By정광모 Views2199
    Read More
  2. [문학일기 10] 기드온의 스파이/ 고든 토마스/ 예스위캔

    Date2011.02.23 By정광모 Views2349
    Read More
  3. [문학일기 9] 3차원의 기적/ 수전 배리/ 초록물고기

    Date2011.02.12 By정광모 Views2199
    Read More
  4. 위대한 두 진리: 과학적 자연주의와 기독교 신앙의 새로운 융합

    Date2011.02.04 By이정모 Views2231
    Read More
  5. 에릭 캔델의 '기억을 찾아서'를 읽고

    Date2011.01.26 By신동찬 Views2643
    Read More
  6. [문학일기 8] 스밀라의 눈에 대한 감각/ 페터 회/ 마음산책

    Date2011.01.21 By정광모 Views2230
    Read More
  7. 1만년의 폭발/ 최초의 남자

    Date2010.12.21 By최유미 Views2565
    Read More
  8. 고대왕국의 풍경 ,그리고 새로운 시선 / 이근우/ 인물과 사상사

    Date2010.12.19 By최유미 Views2140
    Read More
  9. 제국의 미래, 에이미 추아지음/ 이순희 역/ 비아북

    Date2010.12.16 By최유미 Views2367
    Read More
  10. [문학일기 7] 죽음의 밥상/ 피터 싱어/ 산책자

    Date2010.12.14 By정광모 Views2601
    Read More
  11.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 사이먼 싱 지음/ 박병철 역

    Date2010.12.12 By최유미 Views3317
    Read More
  12. 블랙홀 이야기

    Date2010.12.06 By최유미 Views2349
    Read More
  13. 셜록 홈즈 vs 아르센 뤼팽

    Date2010.12.05 By장준오 Views2816
    Read More
  14. [문학일기 6] 엉클 텅스텐/ 올리버 색스/ 바다출판사

    Date2010.11.30 Category자연과학 By정광모 Views3152
    Read More
  15. [문학일기 5] 아파야 산다/ 샤론 모알렘/ 김영사

    Date2010.11.19 By정광모 Views4444
    Read More
  16. [문학일기 4] 밀레니엄/스티그 라르손/아르테

    Date2010.10.31 By정광모 Views2148
    Read More
  17. [문학일기 3] 생각하는 뇌, 생각하는 기계/제프 호킨스/멘토르

    Date2010.10.21 By정광모 Views2571
    Read More
  18. 신은 없다? 위대한 설계(스티븐 호킹 저)를 읽고 든 느낌...

    Date2010.10.19 By정길호 Views3822
    Read More
  19. 한 권으로 충분한 양자론

    Date2010.10.16 Category자연과학 By김양겸 Views2931
    Read More
  20. [문학일기 2] 마녀의 한 다스/ 요네하라 마리/ 마음산책

    Date2010.10.02 Category문학예술 By정광모 Views2698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