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조회 수 2730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세포의 반란]/로버트 와인버그

흔히들 사회적으로 지탄받는 인물들을 일컬어 ‘암적인 존재’라고 한다. 암세포처럼 스스로의 딸세포만을 만들다가, 즉 욕심을 부리다가 전체를 병들게 한다는 것이다. 당근, 인간 개체입장에서 볼 때 암세포는 무섭고, 두려운 존재다. 전체를 멸망케할 가공의 욕심과 추진력을 가지고 있기에 가급적 초기에, 두말할 것 없이 외과적으로 도려내고 그래도 부족하다면 화학적으로 제거해야 한다. 그러나 먼발치에서 살짝 관점을 바꾸어보면 어떨까. 이 무지막지한 녀석에게 봐줄만한 점이라도 있는 것일까? 또는 인정어린 눈으로 이해해줄 구석이라도 있는 것일까? 있다! 로버트 와인버그의 [세포의 반란]은 ‘암’에 대한 나름 새로운 관점, 구제는 못해주더라도 동정정도는 해 줄 만한 생각을 가지게 해준다.

수정란에서 출발한 한 개의 세포는 평생 10의 16승의 딸세포를 형성한다. 10을 열여섯번 곱한 상상할 수 없이 많은 숫자의 각각의 세포들은 자신의 정해진 역할만을 충실해 수행한다. 이를테면 간이나 심장은 절대 보거나 생각하는 법이 없다. But, 간도 심장도 볼 수도 있고, 생각할 수도 있는 유전정보가 세포내에 내장되어 있다. 할 수 있는데 안하고, 또 못한다. 감정을 이입시켜보자. 이건 참 슬픈일이다. 전체를 위해 스스로의 행복을 억눌러야 하는 전체주의시대를 살아가는 소시민이라고나 할까.

암세포는 아나키스트다. 권력의 통제를 인정하지 않는다. 생식세포에게만 주어진 역할이지만 체세포인 자신이 직접 생식한다. 분열하여 딸세포를 만들고 또 만든다. 무엇보다 할 수 있고, 어쩌면 진실로 하고 싶으니까. 생명의 역사 38억년 중 30억년동안의 지구는 단세포생물의 무대였다. 누구나 생식의 자유를 만끽할 수 있는 시대였다. 지난한 과거의 기억이 고스란히 유전자에 담겨 있는 세포에게 기억을 지워버리는 것이 가능할까. 자유롭고 싶은 열망을 억누른다는 것이 가능할까. 그러나 우리 몸을 비롯해 수많은 복잡한 생명체들은 다세포생물이 출현한 지난 6억년동안 ‘그걸’가능하게 하며 만들어져 왔다. 암덩이는 단 하나의 성공한 아나키스트로부터 출발한다. 10의 16승개의 세포중 반란에 성공한 하나의 세포가 있다면 그 사람은 평생에 걸쳐 한번 암에 걸리는 것이다. 이것을 염두에 둔다면 수십조개의 세포로 이루어진 인간의 몸으로 수십년을 살면서 암에 안 걸린다는 것이 이상해 보인다.

[세포의 반란]에는 암의 형성 메커니즘과 함께 그걸 억제하는 억제 메커니즘을 소개한다. 인간이 왜 암에 걸리는가? 라는 질문으로 책을 시작했지만 대답은 다시 엉뚱한 질문으로 바뀐다. 인간이 어떻게 암에 안 걸리고도 수십년을 살 수 있는가? 참 가능해 보이지 않는 일들이 지금도 일어나고 있다. 내 몸속의 아나키스트의 본성을 가진 수십조의 세포가 ‘착한세포’로 매시간 거듭나는 몸의 생리는 신비라고 봐야 한다. 머리로 다 이해할 수 없다. 다세포의 몸뚱이를 가지고 살아가고 있는 것에 대해 깊이 감사해야 한다.

만일 암에 걸리고도 감사의 마음을 잃지 않을 수 있을까? 글쎄 살만큼 산다음에 걸려도 쉽지 않을 것이라는게 솔직한 생각이다. 책을 읽으면서 죽는 순간까지 감사를 잊지 않고 계셨던 분이 생각난다. 무위단 장일순 선생님잉신데, 위암말기 였지만, 몸 속의 암덩어리를 ‘모시고 가야지’하셨다.  내가 의대 1학년때 우리병원에서 위암으로 돌아가셨드랬다. 갑자기 돌아가신 연세가 궁금하여 찾아보았다. 찾아보면서 스스로 궁색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어쨓든 찾았으니 적는다. 1928년 생이셨고, 94년에 돌아가셨다.

  • ?
    이기두 2012.10.13 00:12
    저도 세포의 반란을 읽었었는데, 책제목과 달리 암세포는 반란을 일으킨 것이 아닌 것이 틀림없어 보입니다.
    이 책을 읽고, 암세포가 미움받아야 할 아무런 이유를 찾을 수 없었습니다.
    몸으로부터 버림받은(통신이 끊긴) 세포가 그냥 어쩔줄 모르고, 좌충우돌하는 불쌍한 세포가 암세포일 뿐인 것 같습니다.

    세포가 죽으려면 죽을 때라는 신호가 와야 하는데,
    죽고(세포사) 싶어도 언제 죽어야 하는지를 몰라서 불사의 몸이 된 것입니다.
    아마도 암세포를 가지고 있다면, 단지 암세포에게 미안한 마음을 가져야 할 듯.
  • ?
    한정규 2012.10.13 00:12
    예전에 생물학소모임에서 다룬 적이 있었어요. 글을 읽어보니 감정이입을 하셨나봐요. 맞아요, 이기두 선생님 말처럼 죽지 못해 불사의 몸이 된 것이죠.

    첨언하면, 암세포는 실제로 우리 몸에서 생겼다가 없어졌다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다만 건강하고 젊은 세포들이 교정 기능을 통해서 제거하죠. 건강이 약화되고 젊은 세포가 줄어든 때, 주로 나이가 들어서 암이 발병하죠. 젊은 사람에게 발병하는 암의 경우는 유전적 결함에 의한 문제가 많고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56 공지 '지구의 삶과 죽음', '공생자 행성', '기후의 반란' 1 고원용 2008.12.06 3383
1355 공지 도덕의 기원에 관한 생물학적 고찰 5 엄준호 2006.12.17 3369
1354 공지 인디언 이야기.............. 3 송윤호 2002.10.18 3358
1353 공지 광릉 숲에서 보내는 편지 - 이유미 4 양경화 2007.05.20 3352
1352 자연과학 콘서트를 제목에 활용한 책들 정만서 2011.07.04 3345
1351 공지 '믿음의 엔진'을 읽고 임성혁 2008.11.19 3344
1350 공지 바이오테크 시대 강신철 2003.06.25 3344
1349 공지 집으로 가는 길 - 이스마엘 베아 2 양경화 2007.12.05 3330
1348 공지 마르코폴로의 동방견문록 - 김호동 역주 1 양경화 2007.08.24 3327
1347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 사이먼 싱 지음/ 박병철 역 3 최유미 2010.12.12 3317
1346 공지 눈오는 날 본 책 고재명 2003.06.25 3309
1345 공지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이정훈 2003.06.25 3308
1344 공지 [44] 피에르 레비, '지식의 나무' 1 이동훤 2008.12.23 3300
1343 공지 이기적 유전자 - 밈에 대한 짧은 생각 신동찬 2009.02.28 3296
1342 공지 블루오션전략35th (Blue ocean strategy) file 송근호 2005.08.30 3286
1341 공지 교사가 본 '깨진 유리창의 법칙' 2 이나라 2008.03.29 3281
1340 공지 [57] 착한인생 당신에게 배웁니다 (박경철 지음) 1 서윤경 2008.11.11 3274
1339 공지 수난이대 2 박종두 2003.09.20 3263
1338 기타 오만과편견-제인 오스틴 1 이수영 2009.06.15 3257
1337 청춘의 독서 028 1 한창희 2012.01.30 325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