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조회 수 2245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이번주 금요일에 사진과 인문학 소모임에서 진행될 책입니다.
참고 차원에서 올렸습니다.
--------------------------------------------------------------

밝은 방

롤랑 바르트는 사진 작가가 아니다. 사회과학, 언어학을 가르치면서 일생을 보낸 학자였다. 그런 바르트가 사진에 대한 심오한 글을 쓴 것은 놀랍기도 하다. 그는 작가의 관점에서가 아닌 철저하게 관찰자의 관점에서 사진에 대한 정의를 생각했다. 그리고 그는 어렸을 때 전쟁으로 아버지를 잃었다. 그 후로 어머니와 할머지는 롤랑 바르트의 성장 과정에서 많은 영향력을 주었다. 그래서 인지 중후반부로 넘어가면서 롤랑 바르트는 자신의 어머니에 대한 추억이 많이 등장한다.

롤랑 바르트의 "밝은 방"은 사진의 특수성이라는 제목으로부터 글머리를 시작한다. 그러면서 사진 '자체'가 무엇인지, 그것은 어떤 본질적인 특징을 통해 이미지들의 공동체와 구분되는지에 대한 문제 제기를 하면서, 앞으로 이 글이 어떤 관점에서 쓰여질지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탐구의 대상도 나를 위해 존재한다고 확신했던 몇 개의 사진들에 대한 사유를 통해 일반 사진의 근본적인 특징, 보편적인 특징이 무엇인지 정의하려고 했다.
사진의 생생한 모험적인 특성은 내가 보고, 느끼는 것을 의미있게 생각하면서 생기를 불어 넣을 수 있다. 그 의미를 부여하는 과정에서 사진은 이원성을 가진다. 롤랑 바르트는 그것을 스투디움과 푼쿠툼으로 표현하였다. 스투디움(=나는 좋아한다)은 인간의 관심을 나타내는 라틴어로 어떤 것에 대한 전념, 누군가에 대한 열정, 일반적인 정신 집중을 말한다. 사진 작가의 뷰파인터를 통해 보는 모든 것. 그에 대조적인 단어로 푼쿠툼(=찔린 자국, 작은 구멍, 조그만 얼룩, 작게 베인 상처, 나는 사랑한다, 시간)을 말했다. 스투디움 속에 나 자신에게 의미있는 것을 푼쿠툼이라 할 수 있다. 롤랑 바르트는 이 푼쿠툼이 사진의 정의와 본질적 특징을 파악하는데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한 예로 전쟁 중 살벌한 병사들이 있는 거리에 수녀, 빈민가에 익살스런 어린 아이의 웃는 표정 속 썩은 치아, 맹인 연주자를 안내하는 아이가 걷고 있는 익숙하고 정감있는 풍경들은 그에게 특별한 푼쿠툼이었다.


후반에서는 어머니의 죽음을 회상하며, 그 푼쿠툼 조차도 말할 수 없다고 말한다. 자신이 발견한 것이 실제 그 의미였을까. 바르트는 사진의 본질적 특징(=시간, 색채, 정지 등)으로 잘못 의미를 부여할 수도 있다고 한다. 그러면서 사진이 현실("그것이 존재했다")과 진실("바로 이것이다")의 놀라운 혼합을 수행한다는 생각은 여러 주제를 이용해 설명하였다. 특히 사진의 기술적인 기원때문에 그것을 어두운 통로(=암실/어두운 방)의 관념과 연결시키는 것은 분명 잘못된 일이며, 블랑쇼의 말처럼 명시적인 의미는 없지만 가능한 모든 의미의 깊이를 부름으로 존재와 부재를 동시에 지니고 있음으로써 드러나지 않으면서도 뚜렷한 "밝은 방"으로 명명해야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결국 사진을 예술 작품으로 승화시켜, 사진의 광경을 완벽한 환상들의 문명화된 코드에 종속시킬 것인가. 아니면 사진을 일반화, 군서화, 평범화하여, 사회 또는 현실의 특수성, 터무니 없음, 광기를 드러나게 하여, 사진 안에서 어떻게 해볼 수 없는 완강한 현실의 깨어남과 대결할 것인가의 두 갈래 길을 제시하고, 결국 선택은 바르트 또는 내가 해야할 일로 남겨둔다.

처음 책을 받았을 때, "밝은 방"의 정체는 무엇일까. 스튜디오의 밝은 조명 아래에서 일어나는 수많은 사람과 사물들의 공간을 말하는 것이라 생각했다. 하지만 책을 읽어가면서 밝은 방은 바르트의 철학적인 사유로 새롭게 부여된 사진기의 정의였으며, 그 의미는 기술적인 기원이나 한계를 넘어서는 현실과 진실의 도구였다.
사실 글이 많이 힘들었다. 사용하는 단어의 난해함과 잘 맞지 않는 반복되는 단어들 간의 문맥, 아무래도 번역 상 매끄럽지 않은 마무리때문인 것 같다. 그럼에도 무심코 많은 사진 전시회를 다니면서, 다른 사람들의 전문가 소견으로 나 자신의 푼쿠툼을 인식하지 못하고 무미건조하게 보았는데, 그런 나에게 다르지만, 재미있는 감상의 틀을 제공해 주었다.
 
-----밝은 방 중에서-----

나를 위해 존재한다고 내가 확신했던 그런 사진들을 내 탐구의 출발점으로 삼기로 결정했다.(21쪽)

사실 사람들이 찍은 내 사진에서 내가 노리는 것(내가 그것을 바라보는 '의도')은 죽음이다. 왜냐하면 죽음은 이 사진의 에이도스(=본질)이기 때문이다.(29쪽)

사진을 찍은 동기와 관심은 무엇인가? 일차적으로 사진은 현장에서 포착하기 위해(놀라움을 주기 위해) 주목할 만한 것을 사진으로 찍는다. 그러나 곧바로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전복을 통해서 사진은 그것이 사진 찍은 것을 주목할 만하다고 선언한다. 그리하여 '아무것이나' 가치의 궤변적인 절대치가 된다.(51쪽)

사진은 겁을 주고, 격분하게 하며 상처 줄 때가 아니라, 생각에 잠겨 있을 때 전복적이다.

나의 흥미를 끄는 세부 요소는 의도적이 아니거나 최소한 완전히 의도적은 아니며, 필경 의도적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그것이 사진 작가의 기교를 반드시 입증하는 것은 아니다. .. 사진 작가의 투시력은 '보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그곳에 존재하는데 있다.(66쪽)

"이미지를 선행하는 조건은 시각이다"라고 야누흐는 카푸카에게 말했다. 그러자 카푸카는 웃으면서 이렇게 대답했다. "사람들이 어떤 것드을 사진 찍는 것은 그것들을 정신에서 몰아내기 위해서이다. 나의 이야기들은 눈을 감는 하나의 방식이다." 사진은 침묵해야 한다. 절대적인 주관성은 침묵이 어떤 상태나 노력에서만 도달된다(눈을 감는 것은 이미지가 침묵 속에서 이야기하게 하는 것이다).(74쪽)

결국 사진작가는 욕망의 적절한 순간 , 즉 카이로스(<->크로노스)를 찾아냈던 것이다.(79쪽)

사진의 생명력(이것은 순전히 이데올로기적 개념이다)이 아니라 이런 확신이다. 즉 촬영된 육체는 덧붙여진 빛을 통해서가 아니라 그 자체의 광선을 통해서 나와 접하러 온다는 것이다.(104쪽)

모든 사진은 현존의 증명서다.(109쪽)

사진의 시대는 또한 혁명, 부인, 테러, 폭발, 요컨데 성급함의 시대이고 성숙을 부인하는 모든 것의 시대이다. 그래서 "그것이 존재했다"는 놀라움 역시 확실히 사라지게 될 것이다. 그것은 이미 사라졌다.(117쪽) 그리고 사적인 것이 공적인 것 속으로 들어가는 그 침입에, 보다 정확히 말하면 사적인 것의 공개라는 새로운 사회적 가치 창조와 정확히 일치한다. 사적인 것이 있는 그대로 공개적으로 소비된다.(122쪽)

멜리장드는 감추지 않지만 이야기하지 않는다. 이것이 사진이다. 사진은 그것이 보여주는 것이 무엇인지 말할 줄 모른다.(125쪽)

우리는 밝은 방을 언급해야 한다(그것이 사진보다 앞서는 그 장치, 한 눈은 모델에, 다른 한 눈은 종이에 고정시킨 채 프리즘을 통해 대상을 그릴 수 있게 한 그 장치의 이름이었다).(131쪽) 

이처럼 분위기는 육체를 따라다니는 빛나는 그림자이다. 사진이 이런 분위기를 보여주지 못한다면 육체는 그림자가 없게되고, 그림자 없는 여인의 신화에서처럼 이 그림자가 일단 잘려 나가면, 남는 것은 메마른 육체뿐이다.(134쪽)

사진의 "운명"은 이런 것이리라. 즉 사진은 내가 '진정한 총체적 사진'을 발견했다고 믿도록 하면서(맞는 말이지만 그게 확률이 얼마나 될까?), 현실("그것은 존재했다") 진실("바로 이것이다")의 놀라운 혼합을 수행한다는 것이다. 그것은 확인적이자, 경탄적이 된다. 그것은 정서(사랑, 연민, 애도, 충동, 욕망)가 존재의 보증자가 되는 그 광적인 지점까지 인물 초상을 이끌고 간다. 따라서 그것은 실질적으로 광기에 접근하며 '광적인 진실'과 합류한다.(139쪽)
  • ?
    임민수 2012.07.24 17:55
    좋은 독후감 잘 읽었습니다.
    이번 달 '사진과 인문학' 모임에서 함께 나눌 이야기가 기대됩니다^^
  • ?
    박주한 2012.07.24 17:55
    내용이 어려워서 사실 좀 고생했어요. 제가 잘 요약을 잘 파악해서 한건지..잘 모르겠네요. 많은 도움 부탁드려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56 나는 죽을때까지 재미있게 살고 싶다 1 최윤배 2013.05.20 1841
1355 주식회사 이데올로기 4 김동일 2013.03.23 1985
1354 <니체 극장 >을 읽고 1 최유미 2013.01.19 1995
1353 [기독교의 심장]/마커스보그 1 이낙원 2013.01.12 2139
1352 휴식 2 김령은 2013.01.03 1809
1351 방콕 여행자, [여행하는 인문학자]를 만나다! 4 김령은 2013.01.02 1625
1350 논어 – 부제: 개인윤리와 사회윤리의 조화 2 김동일 2012.12.10 1908
1349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2 김동일 2012.12.02 1972
1348 인생, 리스본행 야간열차, 차라투스투라는 이렇게 말했다. 1 신동찬 2012.11.27 1973
1347 "원자와 우주 사이"(마크 호 2007;고문주;북스힐 2011) 고원용 2012.11.12 2047
1346 "당신과 지구와 우주"(크리스토퍼 포터;전대호;까치 2010) 1 고원용 2012.10.28 2673
1345 [세포의 반란] / 로버트 와인버그 2 이낙원 2012.10.13 2726
1344 Gazzaniga 교수의 책, [뇌로부터의 자유] 관련 이정모의 생각 2 이정모 2012.09.22 2441
1343 내가 알고 있는걸 당신도 알게 된다면(전세계가 주목한 코넬대학교의 인류 유산 프로젝트) 2 신동찬 2012.09.21 1815
1342 죽음과 섹스 3 신동찬 2012.09.20 1980
1341 신은 아무것도 쓰지 않았다 / 이브 파칼레 지음 3 최유미 2012.08.23 2110
1340 Rush (지은이: 토드 부크홀츠) 1 김동일 2012.08.13 1818
1339 콰이어트, 수잔 케인 3 신동찬 2012.08.10 1967
1338 "한글의 탄생" (노마 히데키;김진아 외 2명 옮김;돌베개,2011) 3 고원용 2012.08.06 2328
» 밝은방(사진에관한노트),롤랑바르트 2 박주한 2012.07.24 224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