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조회 수 2173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1장 삶의 가치는 어디에 있는가

무엇이 한 인간의 삶을 좋은 것으로 만들어 주고 있는가

도구적 가치/본질적 가치 쾌락/고통

무엇이 그것 자체로 가질 만한 가치가 있는가

쾌락? 최고 형태의 삶을 위한 내적경험뿐 아니라

외적경험도 필요하다.

가치적 그릇 이론’/‘중립적 그릇 이론’/‘온건버전가치이론

환상적 그릇이론’ - 삶이 아무리 끔찍하고 지루해도...

다른 선택이 처음부터 불가능했다는 사실을 깨달을 때

슬퍼할 이유가 사라져 버렸다.(스피노자) 고로 죽음도..

죽음의 필연성/가변성/예측 불가능성

삶의 서사적 측면에서 시간과 행복의척도가 가난에서부자로/부자에서 가난으로 두가지 삶은 똑같은 양의 행복과

고통이 시점만 달리 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어떤 근거로 첫 번째 삶을 더 좋아 하는가

왜 우리는 미래의 비존재에 더 신경 쓰는가?

내게 주어진 삶의 시간을 알게 된다면 정말로 원하는 일에 집중하게 될까?

죽음에 관한 예측 불가능성은 죽음을 더 나쁜 것으로 만들고 있는가?

더 좋은 것으로 만들고 있는가?

죽음을 감수하면서 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은? 섹스?

죽음의 위압감에 당당히 맞서는 고공낙하는 죽음의

편재성을 배경음악으로 만든다.

우리 모두는 인간이라는 놀라운 존재가 썩어가는 시체로

전락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은 인간조건의 비극이다.

인간의 3가지 조건 - ‘부정적상호효과/‘긍정적’/‘비극적

어느 것이 좋으냐는 개별적이 삶에 달려있다.

죽음은 우리가 살아가는 방식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죽음 부정/ 긍정/ 무시

죽음의 인정은 우리의 행동에 동기근거를제공

죽음의 인식이 나를 이렇게 행동하게 만드는 근거는?

두려움이다. 그러면 두려움은 나쁜 것인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은가? 확신할 수 있는가?

죽음이 나쁜 이유는 죽음이 수반하는 박탈 때문이다.

단 한번 뿐인 삶 - 어떻게 살아야 하나

결국 어떤 목표가 가장 가치 있고 보람 있으며 의미

있는가? 첫째 가능한 한 많은 것들로 채워 넣기

문제는 정말로 중요한 가치를 얻을 수 없다는 것.

두 번째 전략은 의미 있는 성취로 이루어진 삶의 선택.

다다익선이 항상 좋은가? 양과 질의 문제

행복 점수와 삶의 길이와의 함수 관계에서

얼마나 많은 것을 이루었는가 보다 성취가 얼마나 높은

곳까지 이르렀는가 양보다 질에 더 관심 기울여야 한다.

질이 모든 것을 결정한다.는 관점이다.

삶의 상실은 좋은 것이다. - 동양적 사고방식

삶은 좋은 것이고 상실은 나쁜 것 고로 충만하게 살아야

- 서양적 사고방식이다.

다시 삶을 향하여

중요한 것은 내가 희망하고 바라고 생각하는 것들이

과연 진실인지 의심해보고 비판적인 시각에서 자신의

생각을 검토해보려는 노력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삶과 죽음의 본질에 대해 일련의 신념

체계를 통째로 또는 상당부분 그대로 받아들이고 있다.

인간은 놀라운기계다. 죽음은 결국 컴퓨터가 고장나는 것과 다를 바 없는 현상이다.

죽음에 대한 두려움은 부적절한 반응이라 생각한다.

삶의 기회는 행운과 때로는 포기 함께 고려해야

죽음을 제대로 인식한다면 인생을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행복한 고민을 할 수 있다.

 

 

 

 

 

 

 

 

 

 

  • ?
    박용태 2014.02.05 07:51
    여러분들은 죽음을 어떻게 생각하세요?
  • ?
    이기두 2014.02.05 07:51
    우리가 무엇을 이해한다는 것의 궁극적 기준은 자연인 것으로 본다면, 어려운 문제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 말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우리가 부모의 몸속에서 발생하기 전에는 어떠하였는가?
    우리가 죽은 후에는 어떠할 것인가?
    이 질문은 답하기 어렵지만, 자연을 보면 말할 수 있습니다.

    만나면 반드시 헤어지고,
    태어나면 죽는다.
    자연에는 생로병사가 없다할 때,

    살고 죽는 것은 자연속에서는
    관계적인 연속 현상일 뿐인 것으로 보입니다.

    죽음도 이런 자연의 연속현상 중의 한 매듭으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
    이기두 2014.02.05 07:51
    죽음에 대한 공포는
    박탈?-----원하는 것들을 할 수 있는 기회의 박탈
    허무------아무것도 없을 수도 있다는 생각---단절(분리) 공포, 폐쇠 공포 생성
    분리공포------친숙한 것들로부터
    폐쇠공포------어둠고, 축축하고, .... 싫어하는 세계에

    그래서 죽은 후에도 현생같은 세계가 계속되기를 바라는 듯.

    엄밀히 생각하면, 현생의 정보는 계속 유지될 수 없는 것으로 보인다.
    혹 잠시 계속되는 것이 있더라도 일종의 잔향(echo)으로 실체와 무관한 꿈같은 허상일 뿐인데 무슨 소용이 있을까?
    '나'라고 느끼는 것(self)은 아랫단위에서 올라온 정보가 홀로그램적으로 얽힌 창발의 결과라면, 아랫단위가 무너지면(생물학적 죽음), 상위단위(self)도 사라지는 것이 당연할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생불명-근본적인 바탕은 생기지도 않고 없어지지도 않는다라고 말하는 것은 무슨 까닭일까?

  1. No Image 14Mar
    by 송민령
    2014/03/14 by 송민령
    Views 1341 

    [통통청춘 불온서적 1] 엄지세대 두개의 뇌로 만들 미래

  2. [통통청춘 불온서적 1] 엄지세대 두개의 뇌로 만들 미래 - 박순필

  3. No Image 11Mar
    by 이근완
    2014/03/11 by 이근완
    Views 1329 

    [통통청춘 불온서적 1] 엄지세대 두개의 뇌로 만들 미래 - 권영옥

  4. No Image 11Mar
    by 김금성
    2014/03/11 by 김금성
    Views 1398 

    [통통청춘 불온서적 1] 엄지세대 두개의 뇌로 만들 미래 - 이근완

  5. No Image 11Mar
    by 임소연
    2014/03/11 by 임소연
    Views 1204 

    [통통청춘 불온서적 1] 엄지세대 두개의 뇌로 만들 미래 - 임소연

  6. No Image 11Mar
    by 김금성
    2014/03/11 by 김금성
    Views 1296 

    [통통청춘 불온서적 1] 엄지세대 두개의 뇌로 만들 미래 - 김금성

  7. <죽음이란 무엇인가>셀리 케이건 요약 3

  8. No Image 05Feb
    by 박용태
    2014/02/05 by 박용태
    Views 2600 

    <죽음이란 무엇인가>셀리 케이건 요약 2

  9. (죽음이란 무엇인가)셀리 케이건 - 요약정리

  10. No Image 01Feb
    by 김동일
    2014/02/01 by 김동일
    Views 1751 

    다윗과 골리앗 (말콤 글래드웰 지음)

  11. No Image 03Jan
    by 김동일
    2014/01/03 by 김동일
    Views 1532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주경철 지음,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2. No Image 02Jan
    by 이태용
    2014/01/02 by 이태용
    Views 1187 

    오늘의 인물과 역사 2 19

  13. No Image 17Dec
    by 김동일
    2013/12/17 by 김동일
    Views 1779 

    방문객_정현종 시집 '광휘의 속삭임"중에서

  14. No Image 20Oct
    by 김동일
    2013/10/20 by 김동일
    Views 1728 

    안티프래질 antifragile (나심 니콜라스 탈레브 지음)

  15. No Image 13Oct
    by 김세영
    2013/10/13 by 김세영
    Views 1516 

    마종기와 루시드 폴의 시,시가(詩歌),산문,소설 그리고 서한집(書翰集)

  16. No Image 26Sep
    by 김세영
    2013/09/26 by 김세영
    Views 1541 

    개- 내 가난한 발바닥의 기록 (김훈)

  17. No Image 23Sep
    by 김세영
    2013/09/23 by 김세영
    Views 1432 

    엄마, 일단 가고 봅시다.

  18. No Image 12Jul
    by 이소연
    2013/07/12 by 이소연
    Views 1766 

    아이들은 놀이가 밥이다.

  19. No Image 10Jul
    by 김동일
    2013/07/10 by 김동일
    Views 1454 

    디퍼런트 (문영미 지음, 박세연 옮김)

  20. 오래된 미래, 잡식동물의 딜레마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