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아카데미

조회 수 2796 추천 수 0 댓글 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저는 정치학과를 다녔습니다.
...
수학교습을 하고 있습니다.
...

인문/자연 이분법은 학문 토양을 척박하게 만든다고 생각합니다.
균형은 센 곳을 사하고, 약한 곳을 보하면서 이루어진다고 생각합니다.
학문은 자연 쪽이 세 보이고, 학자는 인문 쪽이 세 보입니다.

얼마 전 책 읽으면서 노트한 건데, 조금 옮겨 봅니다.

또 다른 교양 - 에른스트 페터 피셔

-- 인용 시작 --
문학이나 예술의 길에는 교양을 성장시키는 숙고와 정신적인 기쁨이 있다고 본다.
한편, 믿기 힘들어 하는 사람이 많지만, 자연과학적 관점을 이해하거나 도달하는 것은 큰 기쁨이다.

그러나 자연과학을 통해 느끼는 정신적 풍요, 자연과학에 대한 즐거움, 느껴본 사람들에게는 두말할 필요도 없는 이 즐거움을 사람들 스스로 체험할수 있는 기회를 가지지 못한 경우에 편견이 생긴다.

자연과학의 한계라기 보다 자연과학에 대한 좁은 시야.

과학적 이해가 상식과 충돌하는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하면서,
과학을 멀리하는 편견은 편식 습관에 비유될 만 하다.

수학은 과학을 담은 지식이 아니라 지식에 이르게 하는 하나의 열쇠일뿐이다.
수학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을 위해서,
과학자가 깨닫게 된 사실과 지식을 재현하는 새로운 그림이나 상징을 찾아내야 한다.

지식이라고 표현하고 있는 즉, 이해나 기억으로 이어지는 내면의 형상은
그림이나 다른 상징을 통해서 형성될수 있다.

표상, 외부에서 들어와 만들어진 표상과 내부에서 만들어진 표상의 물결들이 서로 만나며,
이 현상을 영혼이라고 불렀다고 추측된다.

과학 발견에 들이는 노력만큼 공을 들여 과학적 형상을 만들어야 한다.
할 수만 있다면 우리 모두는 아인슈타인이 이해했던 것처럼
우주를 이해하기를 원할 것이기 때문이다. 
--- 인용 끝 --
(노트할 때, 그대로 옮기지 않고, 제가 이해한 대로 적는 습관이 있어서, 왜곡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의미도 그렇고, 현실적인 토양도 그렇고 그래서,
자연과학 '편향'해서 학습하는 독서회가 하나 있으면 좋겠습니다.

백북스는 자연과학 편향이어서 오히려, 인문의 균형을 이루어 간다고
상상하고 있었습니다.

감상적인 고백을 하자면, 공부에서나 삶에서나 이 말 앞에서 좌절할 때가 많습니다.
先入者主.

주객을 극복하고, '참'하게 되면 좋겠습니다.




 

  • ?
    변정구 2011.05.24 06:05
    先入者主라는 말은 그럴 듯하나, 꼭 그런 것도 아닌데,
    좌절할 필요가 없을 듯합니다.
    後入者主라는 말로 바꾸워도, 그럴 듯합니다.
    인문이라서 그런가 봅니다.(농담)
    제 경험으로 비추어보면, 先入이든 後入이든 중요한 문제는 아닙니다.
    선이든 후이든 主가 되었다가 非主가 되기도 하고, 그 반대이기도 합니다.

    "에른스트 페터 피셔"의 말도 다 동의하기 어렵습니다.
    아인쉬타인이 천재적인 물리학자이고,
    그가 난해한 수학공식으로 상대성원리를 설명했다 하더라도,
    아인쉬타인이 이해한 우주는 진실과 거리가 멀지 모릅니다.
    (그렇다고 해도 아인쉬타인은 여전히 위대합니다.)

    자연(A)은 인문과 자연(B)을 구분하지 않습니다.(A와 B는 다름)
    오직 이분법적으로 이해하려는 사람에게만 그렇게 보일 뿐입니다.

    과학은 선대의 과학적 선언을 그대로 받아들이기 보다는
    의심하고 회의함으로써
    새로운 혁명에 도달했다고 보는 것이 진리에 가깝습니다.
    그 점에서도 피셔는 틀렸습니다. (=나와는 생각이 다릅니다)

    우리는 음식의 맛을 보고, 음악을 듣고, 영화를 보고, 미술을 감상하듯이
    과학을 즐기면 됩니다. 과학자들도 어짜피 "지극히 협소한" 자기 연구분야에 대해서만 깊이 알 뿐,
    다른 분야에 대해서는 어쩌면 일반인보다 이해의 폭이 적을 수 있습니다.
    제가 지인으로 아는 박사들을 보면 사실에 가깝습니다.
  • ?
    남대호 2011.05.24 06:05
    1. 좌절이 필요해서 하는 경우는 없겠지요.^^ 선입자의 선심과 혜량을 기대하면서 쓴 말 같습니다.

    2. 아인슈타인이 이해한대로 이해하고 나서야 진실로부터의 거리도 재 볼 수 있을텐데, 다만 '모른다는 것'과 '아닐 수 있다'라고 말하는 것 간에 심각한 차이가 있어 보입니다.

    3. 이분법은 인간 두뇌의 자연 상태에 가깝다고 가정하고 공부하면서 인지가 발달하면서 극복되기도 하는 사고방식이라고 여깁니다. 자연에 인문을 포함시키면 이분될 수 없는데 인문과 자연의 포함관계를 인정하지 않는 세계상도 있어서 의논이 분분해 진다고 생각합니다. 사람을 동물에 포함시키면 모독으로 여기는 사람이 아직도 많은 걸 보면 자연과 인문의 집합에 대해 각자가 그려보는 벤다이어그램이 다른 것 같습니다..이럴 때, 참 거짓을 가리려면 난감하겠지요. 그냥 차이로 인정! 하고 넘어가기엔 '참' 중요한 문제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
    남대호 2011.05.24 06:05
    4. 피셔의 의견이, 과학은 선대의 과학적 선언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라고 했던가요? 제가 다시 잘 읽어보도록 하겠습니다.

    ----

    자연(A)은 인문과 자연(B)을 구분하지 않습니다.(A와 B는 다름)
    오직 이분법적으로 이해하려는 사람에게만 그렇게 보일 뿐

    과학은 선대의 과학적 선언을 그대로 받아들이기 보다는
    의심하고 회의함으로써 새로운 혁명에 도달했다고 보는 것

    에 공감합니다.
  • ?
    변정구 2011.05.24 06:05
    아인슈타인이 "신은 주사위 놀이를 하지 않는다"고 말한 것은 워낙 유명합니다. 끝까지 양자역학을 인정하려 들지 않았습니다. 또한, 아인쉬타인의 통일장 이론은 끝내 완성되지 못했습니다. 아인쉬타인의 우주는 실제 우주의 모습이 아니었기 때문일 지도 모릅니다. 아인쉬타인이 옳기도 했지만, "다" 옳은 것은 아니란 얘기입니다. 우리가 그저 답습해서는 안되는 이유입니다. 비판이 없는 독서는 무익할 뿐 아니라, 해롭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비판은 나중에 해도 됩니다. 너무 늦지만 않는다면.
  • ?
    남대호 2011.05.24 06:05
    옳습니다. 다만, 기우되는 것은, 아인슈타인이 양자역학을 인정하려고 하지 않았다는 말을 듣고, 상대성 이론이 틀렸다고 생각하고 공부할 필요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겠습니다. 아이슈타인 핑계대고 뉴턴이 틀렸으니 역학 공부를 필요없다고 생각했을 사람처럼..또또 케플러의 이론을 가능케 한 티코 브라헤의 업적을 천동설이었다고 폄하한다던가, 화학을 탄생시킨 연금술을 미신으로 하찮게 여긴다던가....등등....
  • ?
    최정인 2011.05.24 06:05
    균형이란 부족한 부분을 채움으로 가능해 집니다.
    분단이후 우편향 교육만 받아온 불우한 우리는 전혀 다른 시각으로 기술한 역사를 충분히 공부해봐야 균형잡힌 올바른 역사를 인식 할 수 있는 것 처럼 인문학교육만 받은 분이라면 자연과학의 묘미도 충분히 섭취 할 수 있도록 편식을 해보시는게 진정한 균형 감각을 찾는게 아닐까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94 [모임 2차 후기 & 회계] 미분 적분의 세계로~~ 3 김제원 2012.04.22 2181
293 [모임 장소 안내] 2차 모임은 이대역 근처 헬로 커뮤니티로 오세요~ 3 김제원 2012.04.17 2541
292 소모임 참가 신청 1 옥선 2012.04.17 1787
291 [제본 신청] 09년 강의록 pdf 파일 제본합니다. 4 김제원 2012.04.09 2325
290 [후기] 기대보다 많이 오셔서, 생각보다 활발히 진행되어 기쁩니다. 4 김제원 2012.04.09 2248
289 [알림장] 4월 7일 첫 모임, 준비물 입니다. 1 김제원 2012.04.04 2615
288 [공지] 상대성 이론 복습 소모임, 참가 신청 및 첫 모임 공지 (4/7 토) 18 김제원 2012.03.15 7547
287 어느 한 수학과 교수의 강의계획서 9 file 서영석 2012.03.13 3171
286 수학 아카데미 상대성 복습 소모임 제안서 13 김제원 2012.03.10 3512
285 Learning to teach science: Personal epistemologies, teaching goals, and practices of teaching 2 file 서영석 2012.03.06 1819
284 수학 아카데미 부활을 꿈꾸며... 7 김제원 2012.03.06 2201
283 강의계획 궁금.. 배윤종 2012.01.16 1871
282 공지 입자물리학의 표준모형 강의가 취소되었습니다. 3 전승철 2011.10.05 3685
281 공지 입자물리학의 표준모형 수강신청 21 전승철 2011.09.23 4625
280 백터에 대해서 도움을 요청합니다... 송만호 2011.09.20 2013
279 공지 오세훈 주민투표의 선물. (셀러리맨의 위대한 희생) 3 전승철 2011.09.15 3313
» 자연과학 '편향' 독서회가 하나 있으면 좋겠습니다. 6 남대호 2011.05.24 2796
277 수학도 인문학입니다. 3 전승철 2011.05.24 2822
276 올해 수학아카데미 대하여 5 전승철 2011.05.17 2747
275 시작한다면 꼭 참여하고 싶습니다. 2 조상균 2011.04.08 231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11 ... 21 Next
/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