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경제모임

조회 수 2214 추천 수 0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예전에 러셀을 읽다가 사로잡힌 의문점이 있습니다. 경제 공부하는 친구들에게 물으니 그 질문이 오래된 질문이라고는 하더군요.

 

 바로 과잉생산에 대한 것인데, 하루에 4시간동안 못 100개를 만들면 그럭저럭 필요한만큼 쓸 수 있고 돈도 적당히 벌 수 있는데 생산량을 늘리면서 단가를 낮추고 (경쟁에 의한 것이든) 더 많은 이윤을 얻기 위해서 더 많은 노동력을 투자하고 그로 인해 이윤은 점점 줄어들어서 벗어날 수 없게 된다는 딜레마입니다.

 

 지금의 주택시장이나 공산품의 경우가 저런 예가 될 듯 한데, 과연 "적정량을 생산하고 여가를 즐기는 세상"을 위한 해결책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세금을 걷어서 복지에 사용한다는 것도 어느 정도까지 일리 있는 답변이지만, 제가 보기에는 "이윤을 위해서 생산량을 늘린다 (수요에 앞서 시장을 창출하기 위해서)"라는 이데올로기가 문제의 출발점이라고 생각됩니다. 명품시장 같은 경우는 극단에 해당하는 '성공'케이스로 볼 수도 있겠습니다만, 중소기업들 중에도 러셀이 제시한 적정생산 + 여가/복지 중시형 운영을 하는 곳이 있다는 것이 재미있는 점인 동시에 희망을 느끼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복지우선정책을 택했던, 우리가 부러워하던 북유럽도 최근에는 신자유주의경쟁체재에 뛰어들기 위해 성장위주정책으로 방향을 돌리고 있다는 얘기도 들립니다. 과연 어느 쪽이 좋은걸까요. 균형을 맞출 수 있을까요?

 

 생산품과 소비할 수 있는 것들은 늘어나지만 우린 그것을 즐기기 위해서 더 많은 노동을 하느라 삶의 질이 하락하는 이런 딜레마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배운 사람들은 "지식이 권력"이라는 앨빈 토플러를 인용하지 않더라도 충분히 잘 먹고 잘 살아갈 수 있을겁니다. 하지만 사회의 긍정적인 변화를 위해서도 뭔가 해야되지 않을까요. 언젠가 회사를 운영한다면 어떤 철학을 가져야 하는가에 대한 문제에도 이런 생각들은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 문제에 대한 해결과정이 논의된 적이 있는지, 정치행정/경제부문에서는 어떤 시도가 있었는지 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생각해보신 분들은 의견을 말씀해주셔도 좋습니다. ^^
  • ?
    김경희 2008.11.15 01:02
    흥미롭네요.
    지금 봤는데 생각 중 입니다.
    몇가지 생각이 팍팍팍 떠오르지만, 정리를 해야 겠네요.
    11월에는 마지막 일요일 30일 4시에 목원대학교 에서 모임이 있어요.
    이번 주제는 [미래] 이지만 모임에서는 늘 폭넓은 이야기가 늘 오고 갑니다.
    모임에 오시면 좋겠네요.
    경영경제모임이 게시판이 좀 썰렁해도 모임은 확실하거든요.
  • ?
    리틀서윤경 2008.11.15 01:02
    30날 뵈요~ㅎㅎㅎㅎ
  • ?
    강신철 2008.11.15 01:02
    과잉생산은 실물경제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지식경제에서도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과잉이라는 말은 웬지 부정적 뉴앙스가 있어서, 경영학분야나 경제학 분야에서는 흔히 잉여라는 말을 사용합니다. 자급자족하는 경제체제에서는 잉여생산이 불필요하겠지만, 시장경제체제에서는 잉여의 정도가 부의 척도가 되겠지요. 4시간 동안 못을 100개를 만들어 내가 필요한 만큼 생산해서 내가 필요한 만큼 사용한다면 잉여는 없고 부는 증가하지 않겠지만, 기술개발을 통해 또는 더 열심히 일을 해서 4시간 동안 200개를 만들 수 있다면, 100개의 잉여는 부를 창출한 것이 됩니다. 잉여생산물은 시장에 내다 팔아서 화폐를 획득하게 되고 이 화폐를 이용하여 다른 효용을 얻을 수 있으므로 전체 효용은 증가하게 됩니다. 잉여생산이 발생하면 이윤이 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폐쇄된 경제시스템을 가정한 것입니다. 그러나 글로벌 무역환경에서는 실질적으로 잉여생산은 여간해서 발생하지 않습니다. 가격이라는 메카니즘과 정보의 유통이 원활하다면 잉여분은 자연히 시간이 지나면 해소가 되게 마련입니다. 다만 이때 거래비용이 발생하여 이윤이 줄어드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런 과정은 이윤이 줄어들어 잉여생산으로 인한 효용의 증가가 제로가 될 때까지는 계속되겠지요. 결국 자유경제시장 체제에서 잉여생산은 가치있는 행위로 인정받게 됩니다.
  • ?
    강신철 2008.11.15 01:02
    아담스미스를 원조로 하는 자유시장경제체제를 신봉하던 미국이 대공황을 맞게 되자, 루즈벨트 대통령의 뉴딜정책의 성공과 함께 국가가 적극적으로 경제활동에 개입하여야 한다는 케인즈 경제학이 주류를 형성하면서 진보주의 성향의 정치가와 경제학자들이 한동안 미국을 주도했다고 하는 사실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습니다. 70년대 이후 보수주의 성향의 정치인들이 집권하고 자유시장경제 논리가 다시 고개를 들면서 신자유경제체제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 되고, 부시에 이르러 그 정점에 달합니다. 이들은 국가의 개입을 최소화 하고 성장중심의 경제체제로의 전환을 선호하며, 감세 및 국민복지 및 사회보장제도의 민영화 및 폐지를 주장합니다. 최근 우리나라의 상황도 비슷하게 전개되고 있습니다. 보수와 진보의 대립은 결국 경제체제에 대한 선택과도 맥을 같이 합니다. 보수진영은 신자유경제를 선호하고 진보는 국가가 개입하는 제한적 자유경제를 선호하고 있지요. 어떤 인간의 사고도 극단으로 치우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국가가 경제에 지나치게 개입하면 공산주의로 치달을 것이고 너무 방임하면 빈부격차가 심화되고, 부가 세습되어 계급봉건주의 사회로 회귀하는 어이없는 일이 벌어지겠지요. 민주국가에서는 국민이 깨어 있다면 투표로 정치인들을 조정해서 어느 극단으로 치닫지 않도록 적절히 조절을 해야 할 것입니다. 우리 백북스의 역할이 바로 이런 것 아닐까요?
  • ?
    이도헌 2008.11.15 01:02
    생산성 향상은 생산 단가를 하락시켜 한측면에서는 기업의 이익을 증대시키겠지만 중장기적으로는 과잉 공급을 유발하여 기업의 수익성을 축소시키게 됩니다. 결국 균형점은 생산성 향상 이전수준의 적정 이윤을 보장하는 선에서 균형점을 찾겠지요. 단 중장기적으로 수렴한 균형점에서 생산성 향상으로 인하여 제품은 더 낮은 가격에 더 많이 공급될 듯 합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사회에는 유휴 인력 (또는 실업) 및 자본 (초과 자본)이 쌓일 듯 합니다. 이후의 상황이 여기서 멈춘다면 경제는 정체하고 정부 개입 등을 통한 인위적인 조정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성공한 경제권의 역사는 다른 Path를 보여주는 듯 합니다. 즉 유류 인력과 자본은 새로운 산업을 탄생시킵니다. 이를테면 기초 식량 농업부분에서의 생산성 향상은 기호 작물 생산 등으로 이어질 듯 합니다. 또한 제조업 부분에서의 생산성 향상은 레져 등 서비스 산업의 동인이 됩니다. 요약하면 선순환하는 경제라면 생산성 향상을 통한 잉여는 또다른 산업을 태동시키게 되어 사회 전반적인 경제 성장의 동인이 될 듯 합니다. 단 이런 선순환 과정에서의 변화가 어떤 사람들에게는 기회를 어떤 사람들에게는 고통을 주게 되므로 약자의 보호 등과 같은 고려는 같이 되어야 할 듯 합니다. 반면 잉여가 선순환으로 이어지지 못한다면 잉여자본의 투기자본화, 대량의 실업 발생, 국가의 개입 등과 같은 상황으로 이어지겠지요..
    결국 중요한 것은 사회의 창조성과 건강성이 아닐까 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6 공지 아이디어 뱅크를 만날 수 있는 절호의 기회! 3 강신철 2009.02.12 2663
235 공지 아름다움에 대한 단상들... 1 이부원 2009.01.20 2343
234 일반 아까 카카오톡으로 이야기했던 "택배요금"에 대해 다시 정리하여 올립니다. 강일구 2011.08.03 2887
233 신입사원 꼭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 2 강신철 2010.05.24 2333
232 공지 신고합니다~ㅋㅋ 3 박지은 2008.07.08 2926
231 자료 시스템 다이나믹스 - 소프트웨어, 예제영상 우성범 2009.12.29 3739
230 스티그리츠 '자유시장 경제모델은 천동설 같은 오류' [페르시안 기사전재] 1 현영석 2010.08.22 2125
229 쉬어가는페이지.... 5 남준호 2012.02.07 2632
228 공지 수없이 반복되는 연습만이 글을 잘 쓸 수 있게 한다. 1 마은경 2009.01.19 2283
227 세종대왕함 방문 기념 샷 9 file 김상철 2010.09.02 2458
226 세종대왕은 신제품개발의 최고 전문가 6 현영석 2010.09.02 2360
225 서울백북스 정기모임 & 경영경제모임 사진스케치 13 김홍섭 2010.07.26 2850
224 서울모임장소 약도입니다. 김신아 2010.01.14 2303
223 자료 서울모임 홍보자료입니다. 2 김신아 2010.01.15 3311
222 공지 새로운 총무(오영택)님 감사합니다! 6 강신철 2009.01.19 2402
221 산에갑니다. 남준호 2009.05.07 2632
220 공지 산에갑니다 6 남준호 2009.01.29 2612
219 공지 사업계획서 작성 요령 file 강신철 2009.02.19 2947
218 공지 사과드립니다 8 강신철 2008.12.01 2226
» 공지 버트런드 러셀의 과잉생산에 대해서 5 장종훈 2008.11.15 221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17 Next
/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