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백북스

조회 수 186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인천백북스 제60차 정기모임 후에, 유문무 교수님과 김동일 이사님과 길을 걸으며 영화 <묵공>에 대해 잠시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피타고라스 학파를 연상시키는 묵가는 동양사상에서는 유일무이하게 합리주의(이성주의)에 기초하고 있습니다. 200 여명의 소수 정예로 이루어진 묵자의 제자들은 대부분 무인과 엔지니어로 이루어 졌습니다.
이들 묵가는 400 여년간 유지되었고, 묵자의 사상은 후일 진시황에 의해 채택되었습니다.
(도량형 통일, 법전)

묵자와 500 여년 이후 태어난 예수와의 공통점도 흥미로운 부분인데, 강독모임에서 차차 이야기를 나누었으면 합니다.





孔席不暇暖 ,墨突不得黔



공자가 앉은 자리는 따뜻할 겨를이 없었고, 묵자가 머물렀던 집의 굴뚝에는 검정이가 묻을 일이 없었다.




  1. CORTEX AND MIND 1장 (요약)

  2. 인지과학 인천모형의 제안-8 : 마음이란 무엇인가?

  3. <마음의 탄생>을 읽고 (쟁점을 중심으로)

  4. 인천 회원님들께 부탁말씀 올립니다. 김형태 올림.

  5. 인천백북스를 떠납니다. 김형태 올림.

  6. No Image 04Mar
    by 안희찬
    2014/03/04 by 안희찬
    Views 1449 

    인천백북스 정기 모임 안내

  7. 제59차 인천정기모임 안내<고민하는 힘>(2014.04.18)

  8. 제59차 인천백북스 정기모임 결과 보고

  9. 5/16 (금) 제60차 <신경 건드려보기> (공지)

  10. [인미모] 인천백북스 미니모임 (강독모임) 제안

  11. 11/2 (일) 인천백북스(강독) 묵자 읽기 5회 (공지)

  12. 6/13 (금) 제61차 <신경 건드려보기> 2회 (공지)

  13. [인미모] 묵자 읽기 1 (계속 작성중)

  14. 제60차 신경 건드려보기 1회 (회계)

  15. 2014년 인천백북스 결산보고 ( 1월 ~ 5월 )

  16. 6/1 (일) 인천백북스(강독) 묵자 읽기 강독모임 안내

  17. [인미모 2] 인천백북스(강독) 묵자 읽기 1회(후기스케치)

  18. 6/13 (금) 인천백북스가 5살이 되었습니다.

  19. 제61차 인천백북스 5주년 기념모임 스케치

  20. 2014 하반기 강독모임 일정 (공지)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 25 Next
/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