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테세우스의 배-1 : 나르시스의 전설

by 주민수 posted May 26, 20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물가에 우두커니 앉아 있다는 나르시스의 전설을 보면 무슨 생각이 듭니까?

아무리 자기 얼굴을 모를까...?

거울에 비친 모습이 자기 자신이라는 사실을 아는 동물이 비단 인간만은 아니라고 합니다.
그러나 인간만이 유일하게 자신을 "나"라는 1인칭으로 인식합니다.

소년이 굴뚝을 청소하고 내려왔습니다. 굴뚝청소를 하고 내려온 소년의 까만 얼굴을 친구가 보았습니다.
과연 소년과 친구 중 누가 얼굴을 씻으러 갈까요? 조세희의 <난.쏘.공>에 인용된 탈무드의 이야기는 나르시스의 전설이 단순히 이야기에 그치지 않을 수 있음을 일깨워 줍니다.

늑대소년에 관한 이야기도 있습니다. 밀림에서 늑대소년이 늑대가족과 다른 생김새를 가졌다는 사실을 아는 존재는 과연 누구일까요? 늑대소년 자신은 아니지 싶습니다. 그런데도 우리는 자기 자신이 늑대가족과 다른 생김새라는 사실을 늑대소년이 모를 리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나르시스의 전설을 보면 정작 본인은 그것이 자기 자신이라는 걸 모릅니다. 그런데 타인은 그것이 본인이란 걸 그가 알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내가 그를 알아보듯이 그도 또한 자기 자신을 알아본다고 생각하는 것이지요.

나는 나를 모르는데 남은 나를 압니다. 이렇게 남은 아는데 나는 모르는 나는 누구일까요?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을 "나는 무엇인가?"라는 질문과 비교해 봅니다.
전자가 관계에 관한 인식론적 질문이라면 후자는 구성에 관한 존재론적 질문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은 "나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비해 인문학적으로 들립니다.

오늘의 "나"는 어제의 "나"와 동일한 존재일까요?
어쩌면 하루 사이에 주름이 하나 더 늘었을지도 모릅니다. 그런데도 여전히 동일한 "나"라고 합니다.
이렇게 형태가 변해도 여전히 "나"라고 부를 수 있다면 과연 "나"의 정체성은 어떻게 정의되는 것일까요?

'프로크루스테스의 침대'로 악명을 떨친 악당 프로크루스테스를 물리치고 아리아드네의 도움으로?크레타섬의 괴물 미노타우로스를 물리친 아테네의 영웅 테세우스를 기념해서?아테네 시민들은 그가 타고 다녔던?배를?해마다 항해를 통해?전시했습니다. 그리고 배가 차차 낡음에 따라 헌 판자를 떼어내고 새 판자로 갈아 끼웠습니다. 이렇게 새 판자로 갈아 끼운 배는 항해를 계속했고, 떼어낸 헌 판자를 모두 모아 다시 조립한 배는?항구에 세워 놓았습니다.

자, 항해중인 배가 테세우스의 배일까요? 아니면 정박중인 배가 테세우스의 배일까요??

정체성의 문제를 풀기 위해 본질이라는 개념이 동원됩니다. 그럼 "나"라는 정체성의 본질은 어디에 있을까요?
만일 나의 정체성의 본질이 타인과 구별할 수 있는 나의 얼굴에 있다면 성형수술을 함으로써 나의 정체성이 바뀐다고 해야 할까요? 아니라면 도대체 사람들은 나의 무엇을 보고 나를 나라고 하는 것일까요? 비록 형태가 변했지만 오늘의 내가 어제의 나와 동일한 존재라는 생각은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 보다는 "나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더 적합해 보입니다.?그리고 이 질문은 다니엘 데넷과 힐러리 퍼트남이 얘기했던 "통속의 두뇌"라는 철학적?우화를 떠올립니다.

"나"에 대한 질문의 경계를 확장해 봅니다.
(1) 활동 중에 있는 "나"는 누구인가? (이 질문의?"나"는 "의식"으로 보아도 좋을 듯싶습니다.)
(2) 취침 중에 아랫목이 뜨거워서 돌아누운 "나"는 누구이며,
???? 깨어난 후에 이를 기억하지 못하는 "나"는 또한 누구인가?
(3) 취중에 택시를 잡아 타고 집으로 돌아온 "나"는 누구이며,
???? 깨어난 후에 이를 기억하지 못하는 "나"는 또한 누구인가?
(4) 혼수 중에 "나"는 분명 정신을 잃고 누워 있는데,
???? 누운채 병균의 침입에 저항하고 있는 "나"는 누구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