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nal selection theory
김 원장님 질문과 관련하여(clonal selection theory)
단순하게 이야기하자면 이 이론은 면역계가 어떻게 항원에 대해 특이적 면역반응(예, 항체생산)을 유도하는가와 관련이 있습니다. 잘 아시는 바와 같이 면역계는 외부에서 어떤 이물질 즉 항원이 들어오면 이를 인식(cognition)하고 그 항원하고만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항체를 생산해 낼 수 있습니다. 그 기작의 핵심은 면역계는 미리 어떤 항원이 들어온다 해도 그 항원과 특이적으로 반응하여 항체를 만들어낼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림프구를 지니고 있다는 것입니다. 항원들과 만나기도 전에 면역계는 이미 그 항원들에 대해 반응할 수 다양성을 확보하고 있는 것입니다. 항원은 그저 들어와서 자신과 특이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림프구를 자극할(선택할, selection) 뿐인 것입니다.
그렇다면 면역계는 어떻게 미래에 어떤 항원이 들어올 것을 알고 그 항원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림프구를 준비해 두는 것일까요? 물론 면역계가 미래를 예측하는 능력이 있을리는 만무합니다. 실제로는 면역계 안에서 이런 일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즉 면역계는 림프구를 만들어낼 때 항체(단백질)를 만드는 데 관여하는 유전자들을 마구 뒤섞어 저마다 특이한 항체를 생산해 낼 수 있는 림프구를 계속적으로(매일 매순간) 만들어냅니다. 참고로 우리 체내에는 2조개의 림프구가 있으며 매일 100억개의 림프구가 교체된다고 합니다. 이렇게 하여 면역계가 확보하는 림프구의 다양성은 1억에서 많게는 1000억 종류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이 정도의 다양성(다양한 항체 생산능력)이라면 어떤 종류의 항원이 들어온다 해도 그 항원을 정확하게 인식하여 특이적 반응을 유도할 수 있지 않겠습니까? 면역계의 외관상 예측성은 이런 이면의 기작에 의해 발현되는 것입니다.
1000억 종류라니 믿어지지 않습니다.
고맙습니다.
더 궁금한 것은 모임에서 여쭙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