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조회 수 7315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190
저자 박방주
출판사 궁리
발표자 조장희
일자 2010-05-25
장소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시간 오후 7시

http://www.yes24.com/24/goods/3081863

책소개


20여 년 동안 과학기술과 정보통신 담당 기자로 활동하며 취재 현장을 지켜온 과학전문기자가 조장희 박사가 그동안 구술하여 모일간지에 연재한 회고록을 다시 정리하여 펴낸 책이다. 조장희 박사. 아직 우리에게 낯선 이름이다. 이 낯선 이름이 유력한 노벨 생리의학상 후보로 거론된다는 사실이 놀랍다. 하지만 그의 업적은 우리에게 낯설지 않다. 오늘날의 인체영상기기 삼총사로 꼽히는 CT, MRI, PET를 있게 한 핵심 기술을 개발한 것이 바로 조장희 박사이다. 

이 책은 해외에서 크나큰 성취를 이루고 국내로 돌아와 뇌과학에 전념하고 있는 조장회 박사가 걸어온 길을 조명하고 있다. 그동안의 업적 뿐만이 아니라 연구에서 부딪히는 고난뿐 아니라 과학도로서 부딪히는 생의 고난까지 밝혀내고 있어 이공계의 위기라는 말이 횡행하는 우리 사회에 하나의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이공 학문을 필생의 업으로 삼고 살아가는 젊은이들이 많지 않으며, 그렇게 살아가는 젊은 학자들에게도 연구에만 매진할 수 있게 하는 학문적 토대와 환경이 열악한 환경이지만, 그럼에도 묵묵히 과학의 길을 걸으려는 이들에게 좋은 멘토가 될 것이다.





저자 소개


작가파일보기관심작가알림 신청저 : 박방주


1959년 전남 보성에서 태어나 경희대 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전자공학과 석사학위, 전파공학과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하버드대학교 객원연구원으로 일하기도 했다. 1988년 중앙일보에 입사해 20년 동안 과학기술과 정보통신 담당 기자로 활동하며 취재 현장을 지켜오고 있다. 그동안 만나온 취재원 한 사람 한 사람이 그에게는 스승이었다. 과학계를 오래 담당하다 보니 오랜 소망이었던 과학전문기자라는 칭호도 얻었다. 지은 책으로는 『세상을 뒤집는 미래과학 이야기』, 『2020 미래 한국(공저)』이 있다.



목차


저자의 말 
프롤로그 _ 청소년들이여, 영웅심과 모험심, 자신감을 가져라 

1장 대한민국 일등 과학자, 세계를 놀라게 하다 
인체의료 영상과학의 르네상스를 이끌며 
남이 가지 않은 길 위에 새긴 ‘성공’ 
경제적 보상이라는 선물 

2장 원하는 단 한 가지, 자신만의 꿈을 찾아라
공부할 기회마저 소중했던 유년 시절 
소년의 마음을 사로잡은 광석 라디오 
작은 ‘쾌거’에서 비롯된 큰 ‘자신감’ 
취미는 나의 힘, 인생의 활력소를 찾아서 

3장 배움에 대한 끝없는 열정으로 노력하라 
행운은 준비한 자에게만 찾아온다 
대충대충은 가라, 근면성실함도 습관이다 
자신의 부족함을 인정하는 큰 용기 
자투리 시간이 이루어낸 기적 

4장 스승과 동지 그리고 경쟁자, 사람에게 배운다 
사람 사이의 신뢰를 배우다 : 든든한 후원자 게르홀름 교수 
25만 달러짜리 논문 : 천재 과학자 로버트 체이서 박사 
영원한 큰 스승, 하늘의 별이 되다 : 오현위 교수 
오늘의 동지가 내일의 적으로 : 휴스 교수 
위기일발의 순간에 빛난 동료애 : 만빌 싱 박사 
두 사람의 진객 방문, 선택의 갈림길에 놓이다 
매우 예
... 펼처보기







출판사 리뷰



스포츠, 정치, 예술 등 각 분야에서 한국을 대표하는 인물들을 우리는 금세 떠올릴 수 있다. 그런데 과학 부분은 어떨까? 각 분야에서 큰 성과를 거두며 주목을 받는 과학자들이 많은 과학 강국이기는 하지만 아직 세계적인 한국의 과학자로 꼽을 만한 인물은 언뜻 떠오르지 않는다.
‘조장희’라는 이름에 낯설 한국인들이 많을 것이다. 조장희 박사는 한국보다 외국에서 유명한 인물이고 대부분의 연구기간을 해외에서 보냈으며, 일흔의 나이에 다시 한국으로 돌아온 세계적인 석학이다. 얼마 전 그는 “지식 창조의 힘, 뇌”라는 주제로 개최된 ‘월드사이언스포럼 2008 서울’에 세계 유수의 뇌과학 분야의 석학들과 함께하며, 기조강연을 맡은 바 있다.
우리는 ‘조장희’라는 이름보다 그의 업적에는 더 익숙하다. 그는 현대 의학계에 일대 혁신을 일으킨 인물로 PET(양전자 방출 단층촬영장치)를 최초로 개발하고, CT(컴퓨터 단층촬영장치)와 MRI(자기공명단층촬영장치)의 핵심 기술을 개발해 그 보급을 이끈 과학자이다. 그가 아니었다면 오늘날 우리가 병원에서 접하게 되는 각종 영상장치들의 도움을 받기란 어려웠을 것이다. 제인 구달 박사가 침팬지를 통해 생명 사랑을 전했다면, 조장희 박사는 현대 인체영상기기의 삼총사인 CT, MRI, RET를 통해 인간 생명에 기여했다. 그가 개발한 이들 기기는 지금 전 세계에서 수많은 생명을 살리고 있다. 
그런 그가 오랜 시간의 해외 체류를 접고 일흔이 가까운 나이에 한국으로 다시 돌아온 이유는 무엇일까? 이제는 편안한 노후를 보내며 그동안의 성과를 향유하기 위해서일까? 아니다. 놀랍게도 그는 한국에서 생애 최고의 연구를 다시 시작하려 돌아왔다. 이 노과학자가 다시 꿈꾸는 과학의 영역은 ‘뇌’이다. 첨단 과학이 아직도 금단의 영역으로 남겨놓은 뇌에 그가 도전장을 내놓고 있다. 그는 그동안의 의료영상기기 개발의 노하우를 모두 쏟아 부어 뇌신경의 활동을 선명하게 잡아내는 영상기기의 개발에 새롭게 도전하고 있다.
현재 그는 가천의과대에서 설립한 뇌과학연구소의 수장이 되어 첨단 의학의 새로운 영역을 탐구하고 있다. 세계는 그의 연구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그가 이루어낼 진일보한 성과에 뜨거운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한국인으로서는 최초로 과학 분야 노벨상을 수상할 인물로 거론될 정도로 그의 행보가 기대되고 있다.


  • ?
    연탄이정원 2010.05.14 22:11
    지난 금요일 주문했는데 오늘에야 도착을 하여서 애가타던 책,
    담주 화요일 강의 가려면 부지런히 읽어야 겠어요.^^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306 335 인문사회 더 힘들어질 거야 더 강해질 거야 더 즐거울 거야(프랑스 녹색당 해바라기상 수상 작가 김수박의 만화 에세이) file 이근완 2016.07.15 397 김수박 천년의 상상 김수박 2016-07-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화요일 오후 7시 15분
305 300 이종필교수의 인터스텔라 file 한빛찬 2015.01.15 1736 이종필교수 동아시아 이종필교수 2015-01-27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화 저녁7시
304 239 현대예술 (형이상학적 해명) 7 file 한빛찬 2012.05.29 24454 조중걸 지혜정원 조중걸 2012-06-12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7시
303 387 자연과학 이명현의 과학책방(별처럼 시처럼, 과학을 읽다) file 이근완 2018.12.03 361 이명현 사월의책 이명현(연구인) 2018-12-11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30분
302 388 인문사회 어느 무명 철학자의 유쾌한 행복론 file 이근완 2018.12.26 431 전시륜 행복한마음 박대기(방송기자) 2019-01-08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30분
301 309 문학예술 시각과 예술 2 file 이근완 2015.05.28 1875 마거릿 리빙스턴 저/정호경 역 두성북스 신동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2015-06-23 백북스홀 (대전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300 314 인문사회 동물들의 침묵 (진보를 비롯한 오늘날의 파괴적 신화에 대하여) 1 file 이근완 2015.08.28 1314 존 그레이 이후 박성일(백북스 대표) 2015-09-08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99 315 인문사회 수학의 언어(안 보이는 것을 보이게 하는 수학) file 이근완 2015.09.11 1641 케이스 데블린 해나무 한빛찬 원장(레드스쿨 석좌코치) 2015-09-22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98 316 문학예술 쿠바, 혁명보다 뜨겁고 천국보다 낯선 1 file 이근완 2015.09.24 1670 정승구 아카넷 정승구(영화감독) 2015-10-13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97 317 인문사회 대통령의 글쓰기 1 file 이근완 2015.10.19 1535 강원국 메디치미디어 강원국(前 대통령비서실 연설비서관) 2015-10-27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96 318 문학예술 상상의 아테네 베를린 도쿄 서울 : 기억과 건축이 빚어낸 불협화음의 문화사 file 이근완 2015.10.28 1473 전진성 천년의 상상 전진성(부산교육대 사회학과 교수) 2015-11-10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95 319 자연과학 공생 멸종 진화 (생명 탄생의 24가지 결정적 장면) file 이근완 2015.11.11 1538 이정모(서대문자연사박물관장) 나무,나무 이정모(서대문자연사박물관장) 2015-11-24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94 321 경영경제 에너지 혁명 2030 file 유화현 2015.12.14 1562 토니 세바 교보문고 현영석 교수님 2015-12-22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93 322 인문사회 러브 온톨로지 : 사랑에 관한 차가운 탐구 file 이근완 2015.12.23 1522 조중걸(사학자) 세종서적 조중걸(사학자) 2015-01-12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92 323 문학예술 풀꽃 나태주 시선집 file 이근완 2016.01.14 1677 나태주 지혜 나태주 2016-01-26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91 324 자연과학 사피엔스(유인원에서 사이보그까지, 인간 역사의 대담하고 위대한 질문) file 이근완 2016.01.29 1595 유발 하라리 김영사 고원용 박사 2016-02-16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90 325 자연과학 세상물정의 물리학 file 이근완 2016.02.18 1405 김범준 교수(성균관대학교 물리학과) 동아시아 김범준 교수(성균관대 물리학과) 2016-02-23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89 326 문학예술 단순한 기쁨 file 이근완 2016.02.26 1587 아베 피에르(신부) 마음산책 이충무(건양대 디지털콘텐츠학과 교수) 2016-03-08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88 365 자연과학 송민령의 뇌과학 연구소 (2차) file 관리자 2017.11.22 263 송민령 동아시아 송민령 2017-11-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87 327 자연과학 외계생명체 탐사기 file 이근완 2016.03.09 1359 이명현, 문경수, 이유경 외 2명 저 서해문집 공저자 문경수 2016-03-22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86 328 인문사회 상식철학으로 읽는 인류문명과 한국 사회 현실(김의수 교수의 철학에세이) file 이근완 2016.03.24 1542 김의수 (전북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 서광사 김의수(전북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 2016-04-12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85 366 문학예술 낭만주의에 대한 사실주의적 해부 보바리 부인 file 이근완 2017.12.02 292 귀스타브 플로베르 펭귄클래식코리아 이봉지(배재대학교 프랑스어문화학과 교수) 2017-12-12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84 367 인문사회 세계는 왜 싸우는가? 김영미 세계 분쟁 지역 전문 PD가 아들에게 들려주는 분쟁의 진실 file 이근완 2017.12.18 230 김영미PD 추수밭 김영미PD 2017-12-26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83 368 자연과학 블랙홀과 시간여행 file 관리자 2018.01.03 281 킵 손 반니 오정근 박사 (국가수리과학연구소) 2018-01-09 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82 171 인문사회 대한민국 60년 성찰과 전망 file 박문호 2009.07.30 6737 굿 소사이어티 지식산업사 윤여준 前환경부장관 2009-08-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281 176 세계종교사상사 file 박문호 2009.10.23 6741 미르치아 엘리아데 이학사 이병록 제독 2009-10-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280 177 묵자 2 file 강신철 2009.11.04 6735 기세춘 바이북스 묵점 기세춘 선생 2009-11-10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279 210 소립자를 찾아서 file 박문호 2011.03.17 11285 네이만 미래사 박문호 박사 2011-03-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278 207 위대한 설계 file 박문호 2011.01.27 13045 스티븐 호킹 까치 국가 핵융합연구소 이경수 소장 2011-02-08 대전 유성구 가정동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277 219 자연과학 생명이란 무엇인가 4 file 관리자 2011.08.02 5751 에르빈 슈뢰딩거 궁리 엄준호 박사 2011-08-09 유성도서관 저녁 7시
276 193 프레시지옹 6 file 박문호 2010.06.30 8462 르 코르뷔지에 동녘 김억중 교수 2010-07-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연구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275 227 자연과학 생명 40억년의 비밀 file 문경수 2011.11.18 6686 리처드포티 까치글방 문경수 2011-12-06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저녁 7시
274 231 문학예술 테마 현대미술 노트 5 file 송윤호 2012.02.03 6106 진 로버트슨, 크레이그 맥다니엘 공저 두성북스 미술비평가 김준기 (대전문화예술의전당 학예실장) 2012-02-14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저녁 7시
273 249 생각의 지도 1 file 이정원 2012.10.30 6587 진중권 천년의 상상 진중권 교수 2012-11-16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272 192 산소 file 박문호 2010.06.17 7316 닉 네인 파스칼 북스 박문호 2010-06-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271 198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file 박문호 2010.09.01 7933 사이먼 싱 영림 카디날 송용진 교수 2010-09-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270 293 문학예술 언어의 탄생 file 이정원 2014.09.26 4828 필립 리버만 글로벌콘텐츠 역자 김형엽 교수 2014-10-14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269 233 동의보감, 몸과 우주 그리고 삶의 비전을 찾아서 8 file 관리자 2012.02.29 5249 고미숙 그린비 고미숙 박사 2012-03-13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저녁 7시
268 208 마리 퀴리의 위대한 유산 - 방사선과 현대생활 file 박문호 2011.02.17 10183 앨런 월터 미래의 창 김계령 박사(한국원자력연구원) 2011-02-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267 211 길들은 다 일가 친척이다 5 file 박문호 2011.03.26 13781 함민복 현대문학 함민복 시인 2011-04-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소강당 저녁 7시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