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인문사회
2007.10.03 02:20

부서진 미래

조회 수 501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127
저자 김미정
출판사 삶이 보이는 창
발표자 토론
일자 2007-10-09
장소 시민지식 네트워크를 위한 독서크로젝트




1998년 이후 고통받는 한국 시민들의 삶을 인터뷰 형식으로 담았다. 진보생활문예지 '삶이 보이는 창' 르뽀문학교실의 두 번째 작업물이다. 비정규직을 중심으로 '미래가 부서져 버린' 사람들의 다양한 삶의 형태를 보여준다.

인터뷰들은 각 시민들의 일상생활의 단면에서부터 시작하여 각자의 위치에서 보이지 않는 불안한 미래에 대한 고민까지 접근해 들어간다. 이를 통하여 IMF 구제금융체제와 세계화의 구호가 만들어낸 새로운 '노동빈민층'의 탄생, 즉 일부 극소수 계층을 제외하고는 불안정한 삶이 상시화되고 내일을 꿈꿀 수 없는 사람들의 모습을 묘사한다.

일반적인 사회 빈민층으로 인식되는 사람들의 고통을 그들이 직접 털어놓는 구체적인 에피소드로 보여주고, 더 나아가 이런 현실이 비단 그들만이 아닌 대학생이나 방송작가, 건축설계사 같은 전문직에게도 존재함을 증명한다. 또한 이런 현상들이 개별적인 문제로 국한되지 않는 '사회적 고통'임을 명확히 했다.



==============================================


시민 지식 네트워크를 위한 독서 프로젝트,




<우리의 불안정한 삶, 비정규직을 읽는다>



  1. 생명 40억년의 비밀

  2. 담금질

  3. 생강 발가락

  4. 테마 현대미술 노트

  5. 블랙홀 전쟁

  6. 클래식명곡을 낳은 사랑이야기

  7. 윤휴와 침묵의 제국

  8. 나는 아이폰 아이패드 앱으로 음악한다

  9. 김탁환 쉐이크 - 영혼을 흔드는 스토리텔링

  10. 식물은 알고 있다

  11. 이준연 아동문학 50년

  12. 내 눈 속의 한의학 혁명

  13. 그림과 눈물

  14. 여행하는 인문학자

  15. 카프카의 서재

  16. 조일전쟁

  17. 이방인

  18. 청춘에게 안부를 묻다

  19. 생명이란 무엇인가

  20. 생태페다고지

  21. 세종처럼 - 소통과 헌신의 리더십

  22. 뻔뻔한 시대, 한 줌의 정치

  23. 슈거블루스

  24. 마음 거울

  25. 부서진 미래

  26. 탁월한 사유의 시선 우리가 꿈꾸는 시대를 위한 철학의 힘

  27. 런던 미술관 산책

  28. 떨림과 울림(물리학자 김상욱이 바라본 우주와 세계 그리고 )

  29. 작은 집

  30. 믿음의 엔진

  31. 히든 피겨스

  32. 세상의 끝, 남미 파타고니아 KBS 영상앨범 산 포토 에세이 첫 번째 기록

  33. 미술의 집은 어디인가

  34. 미술관에 간 의학자

  35. 나는 오십에 작가가 되기로 했다

  36. 우리는 고독할 기회가 적기 때문에 외롭다

  37. 이명현의 과학책방(별처럼 시처럼, 과학을 읽다)

  38. 어느 무명 철학자의 유쾌한 행복론

  39. 문경수의 제주 과학 탐험

  40. 같이 읽고 함께 살다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