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공지
2008.08.04 08:19

대전...북카페 "이데"

조회 수 1968 추천 수 0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뉴스메이커 > 사회











[사람@세상]‘문학적 사건’을 꿈꾸는 북카페 운영 소설가
2008 03/18   뉴스메이커 766호







소설가가 만든 북카페는 어떤 모습일까. 대전시 중구 대흥동 이공갤러리 옆에 자리 잡은 북카페 ‘이데’(042-222-4008)는 소설가 김운하(41)씨가 운영하는 아주 독특한 공간이다. 책과 음악, 커피가 어우러지고 작은 갤러리를 겸한 인테리어에서 문학적 향취가 흠씬 묻어난다. 이데가 자리 잡은 곳이 한때 대전의 문화를 상징하는 거리였다고는 하지만, 충남대 캠퍼스가 유성으로 옮겨간 후 거의 힘을 잃은 듯한 거리에 새삼 이런 공간을 만들어낸 이유는 무엇일까.

“2001년에 ‘137개의 미로카드’를 탈고한 후 심신이 지친 상태에서 마치 종적을 감추기라도 하듯 서울생활을 접고 대전으로 내려왔어요. 무슨 연고가 있었던 것은 아니고, 아는 문인들의 권유에 따른 것이죠.”

그는 서울에 비할 수 없을 정도의 여유가 있으면서도, 그렇다고 아주 외딴 시골도 아닌 대전의 분위기가 마음에 들었다. 그가 태어나고 자란 경북 영천의 분위기와도 흡사하다고 할까. 몇 개월 정도 머물면서 공부나 좀 하려던 당초 생각이 싹 바뀌고 말았다. 그는 시내에 마당이 있는 집을 얻어놓고 대흥동의 한밭도서관을 오가면서 책에 파묻혀 지냈다. 그것은 ‘137개의 미로카드’에서 던져놓은 무수한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과정이기도 했다.

한밭도서관을 서재삼아 드나들면서 그는 대흥동 거리에 묘한 매력을 느꼈다. 몇 안 되기는 하지만 제법 오래된 문화적 공간도 있었고, 그 사이로 역시 몇 안 되는 새로 난 갤러리들도 어색하지 않게 끼어 있었다. 도서관과 성당, 평생학습원과 학교가 적당히 섞여 있는 모습도 그렇게 좋을 수가 없었다. 마침내 그는 ‘사고’를 치기로 했다. 이곳에 내 공간을 만들고, 마치 잠든 것같이 조용한 거리를 흔들어 깨우리라. 작지만 큰 문화적 사고를 치리라.

그렇게 해서 북카페 이데가 탄생했다. 삼겹살집 가게를 뜯어내고 직접 인테리어를 했다. 테라스도 만들고 평소 애장하던 소품들도 내놓았다. 거의 유일한 재산이라 할 수 있는 1만여 권의 장서 중 일부를 옮겨 작은 서재도 꾸몄다. 적지 않은 무리가 따랐으나 마음만은 즐거웠다. 자기가 좋아하는 음악을 틀고 스스로 즐기던 커피를 끓여내는 일, 꼭 지인이 아니면 어떠랴. 우연히 들러서 커피 한 잔에 담소를 나누고 가는 이들의 모습은 그를 행복하게 했다.

“서구문학, 아니 우리 현대문학에서도 카페가 새로운 경향과 상상을 불러일으키는 장소였던 것처럼 이 작은 공간이 새로운 문화적 사건을 일으키는 공간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그래서 비록 그 규모는 작더라도 자주 전시회도 열고 공연도 하고 문학행사도 할 작정입니다. 이곳이 기점이 되어 이 일대가 다시 문화적 활력을 되찾는다면 더할 나위 없겠고요.”

그래서 그는 거리를 돌아다니면서도 이것저것 기웃거리느라 정신이 없다. 얼마 전 보아둔 작은 가게에 햇볕이 무척 잘 들어 책방 같은 것을 내면 좋겠다는 식의 자기만의 생각을 하면서 말이다. 그것이 당장 이룰 수 없는 꿈이면 어떠랴. 그저 상상하는 것만으로도 행복하기 그지없으니.

서울대 신문학과를 졸업한 그는 1995년 ‘죽은 자의 회상’이 ‘문학사상’ 신인상에 당선하면서 문단에 데뷔했다. 장편소설 ‘사랑과 존재의 피타고라스’(1996) ‘언더그라운드’(1998)에 이어 ‘137개의 미로카드’를 발표했다. 그는 지금 준비하고 있는 작품을 탈고하는 대로 그간의 경향에서 탈피한 소설을 써볼 계획이라고 한다. 그간 너무 추상적이거나 존재론적인 문제들에 매달려오면서 소위 ‘평론가용’ 소설을 써온 것은 아닌지, 생각하기 때문이다. 사랑 이야기 같은 작품을 써보는 것도 좋겠지. 그는 살짝 들떠 있는 것처럼 보였다. 북카페 이데가 대전의 새로운 명소로 자리 잡게 되기를 기대한다.

<대전 | 정성균 로컬리스트 eksk2225@dreamwiz.com>
  • ?
    이동선 2008.08.04 08:19
    오픈 시점부터 조금 알고 지냈지만 오늘에야 좀 이야기를 나눴지요...책을 사랑하는 마음이 통하는 멋진 분입니다^^
  • ?
    윤보미 2008.08.04 08:19
    아, 저도 이 곳 가봤어요.
    분위기 은은하고 책이 함께 하는 커피숍. ^-^

    (혹, 가보고 싶은 분은...
    대전평생교육원 뒤에 있어요. 중구청 부근 사리원면옥 근처. )
  • ?
    현영석 2008.08.04 08:19
    좋은 건수입니다. 북클럽, 북카페 북북 선을 그어서 연결합시다. 연결하면 새로운 가치를 만들 수 있을 것니다. "이데" 소개 내용 감사합니다. 조만간 한번 가보아야 겠습니다.
  • ?
    강신철 2008.08.04 08:19
    만권 장서 한 번 보고 싶군요. 기자단 이 집 한 번 가서 취재합시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04 공지 이종상화백님께서 강연후 보내주신 글 1 박성일 2007.07.15 1973
2603 백북스회원 평산선생(음악치료)의 공연안내 1 file 박성일 2010.05.01 1972
2602 1 이 때는 우주년의 여름과 가을이 바뀌는 가을개벽기 5 전영만 2009.08.22 1971
2601 [네이버기사]양자역학이란? 서지미 2009.08.21 1971
2600 [소개] 6/15 조지 스무트 박사님의 대전 강연 6 임석희 2009.06.14 1970
2599 공지 6월 10일 강연 문태준 시인과의 만남 그 후기 4 최정원 2008.06.12 1970
2598 공지 홀로 등반 6 한현철 2007.04.16 1970
2597 공지 오늘 토론회가 열립니다. ^^ 송윤호 2004.12.14 1970
2596 홍보 4/8 개강! 베르그손의 자연철학 (강의 주재형) 김하은 2016.03.25 1969
2595 강신주님의 철학얘기 - 다음을 기대하게 만드네요.. 1 조명주 2010.05.03 1969
2594 [뇌과학]특별한 뇌과학 강연 따라잡기 4. 1 file 서지미 2010.02.11 1969
2593 공지 [기사 스크랩] 서울대 도서관 대출 톱10 모두 소설ㆍ에세이 1 문경수 2008.06.18 1969
2592 공지 신희섭 박사님 뇌강연---전자통신연구원 대강당--- 박문호 2007.06.08 1969
2591 공지 [알림] 7월 16-17일 경주 답사 여행 신청하세요. 송윤호 2005.07.01 1969
2590 [행사후기] Yuri's Night Korea 2013 1 조수윤 2013.04.09 1968
2589 [대학교과서 읽기 모임 5회] 인체 생리학 (부산/영남) 정광모 2011.08.16 1968
» 공지 대전...북카페 "이데" 4 이동선 2008.08.04 1968
2587 공지 제비야 네가 옳다 2 양경화 2007.05.15 1968
2586 8월 시민문화강좌 (대전동방문화진흥회) file 황인칠 2010.08.14 1967
2585 조중걸 박사님의 저서들 3 file 강신철 2010.08.16 196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