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2252 추천 수 0 댓글 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저는 금일보다 오늘이 좋습니다

- 내가 '금일'이란 단어를 좋아하지 않는 두 가지 이유

 

우선 심심풀이로 다음 기사를 보자.

 

----------------------------------------------------------


'윤상의 아내' 심혜진은 누구? 네티즌 관심 폭발

[서울경제 연예, 2009-02-04]



 


----------------------------------------------------------

윤상의 아내가 영화배우 심혜진과 동명이인이라길래 누군지 궁금해서 기사를 훑어봤다.

모델, 파트너 출연하고 MC와 CF모델로도 활동했다길래 그런가보다 했는데,

다방에서 활약했다는 소개를 보고 깜짝 놀랐다.

하루에도 수십 개씩 기사나 이메일을 읽다 보면 이런 경험을 종종 하게 된다.

 

하루는 이런 일도 있었다.

팀회의 시작시간인 2시가 넘었는데도 선배 한 명이 안 와서 다들 기다리고 있었다.

내가 전화를 했더니 그 선배는 회의시간을 3시로 알고 있었다.

공지가 잘못됐었나 궁금하여 회의 마치고 메일을 다시 확인해 봤다.



오늘 회의 있습니다.

3동 201호 회의실에서 합니다.

시간은 2시입니다.

아 그랬구나. 그 선배는 메일을 이렇게 읽어버린 것이다.


3   201호


메일은 쉽게 쓰고 쉽게 읽힌다.

직장인들이 업무 틈틈이 이메일을 확인하다보면 대충 읽고 지나칠 때가 많다. 

새로운 메일이 하루에도 수십통씩 메일함에 쌓이기 때문이다.

그런 상황을 배려한다면 이메일은 한 눈에 이해하기 쉽도록 쓰는 것이 좋다.


 

다음과 같은 메일을 받은 적이 있다.



다음주 월요일에 동호회장배 축구대회 결승전이 있습니다.

선수로 출전 가능하신 분은 금일 오후 2시까지 답장주세요.


나는 금일이라는 단어를 만나면 괜히 신경이 쓰인다.

내가 두 가지 이유에서 '금일(今日)'이란 단어를 좋아하지 않기 때문이다. 

 

우선 첫째로 한자어인 금일보다 '오늘'이라는 우리말이 더 좋다.

작일, 금일, 명일보다 어제, 오늘, 내일이 읽기도 좋고 말하기도 좋고 가독성도 좋고 꼴도 아름답다.

한자어를 섞어 쓴다고 글에 격식이 갖추어 지는 것은 아니다.

나는 오히려 맞춤법 틀린 곳이나 오타가 없는 글이 예의바른 글이라고 생각한다.

 

첫번째 이유가 취향의 문제라면 두번째 이유는 기능상의 문제여서 더욱 중요하다.

나는 '작일'이나 '명일'도 좋아하지 않지만, '금일'은 더욱 좋아하지 않는다.

내가 유난히 '금일'을 싫어하는 이유는 '금요일'과 꼴이 비슷하여 급히 읽다보면 헷갈릴 수 있기 때문이다.

3동 201호를 3시 201호로 읽어버리는 일이 생기는 것을 보면 금일을 금요일로 잘못 보는 일는 꽤 자주 생길 만 하다.

나는 금일이라는 단어를 만나면 혹시 금요일은 아닌지 두번 세번 확인한다.

그런데 더 문제인 것은 금일을 금요일로 잘못 읽어도 바로잡을 기회가 없다는 것이다.

연예인이 다방에서 활약했다는 기사는 어딘가 이상해서 금세 다시 읽어보게 되지만 말이다.

 

업무용 메일은 쉽고 명확한 단어로 간결하게 쓰는 것이 좋다.

다음 두 줄을 비교해서 읽어보면 '오늘'과 '금일' 중 어떤 단어를 쓰는 것이 좋은 지 알 수 있을 것이다.






금요일 저녁에 회식 있습니다. 금일 오후 4시까지 참석 여부를 알려주세요.

 

금요일 저녁에 회식 있습니다. 오늘 오후 4시까지 참석 여부를 알려주세요.

 

2009-02-13

이정원
  • ?
    한정규 2009.02.14 09:30
    너무 뇌를 못 살게 구시는 건 아닌가요? ㅎㅎ 의미단위로 끊으면서 빠른 속도로 스캐닝을 하는데 일어나는 실수;; 예를 들어 단어의 순서를 섞어도 빠르게 읽으면 내용은 맞다고 생각한다잔아요.

    캠릿브지 대학의 연결구과에 따르면, 한 단어 안에서 글자가 어떤 순서로 배되열어 있는가 하것는은 중하요지 않고, 첫째번와 마지막 글자가 올바른 위치에 있것는이 중하요다고 한다. 나머지 글들자은 완전히 엉진창망의 순서로 되어 있지을라도 당신은 아무 문없제이 이것을 읽을 수 있다. 왜하냐면 인간의 두뇌는 모든 글자를 하나 하나 읽것는이 아니라 단어 하나를 전체로 인하식기 때이문다.

    또 긴 영어 장문에서 한 철자만 골라내는 실험을 해보면 외국인이 그 철자의 갯수를 찾는데 정확도가 높다고도 하구요. 영어가 모국어인 사람은 의미단위로 받아드리기 때문에.

    에구구 윗 글에는 동의합니다^^::
  • ?
    전병철 2009.02.14 09:30
    좋은 글, 감사합니다.
    오늘(!)도 한 수 배우고 가네요...
  • ?
    김영이 2009.02.14 09:30
    오~ 이정원님~ 금일 저도 한수 배우고 갑니다~ ^^;;
  • ?
    김미경 2009.02.14 09:30
    우와~
    한정규님 글...너무 신기하네요...
    정말 의하식지 않으면 제대로 잘 읽어져요...^^
    쓰기 힘드셨겠네요~~
  • ?
    이정원 2009.02.14 09:30
    캠릿브지는 아마 직접 쓰신 것은 아닌 듯 하고,
    몇 년 전부터 인터넷에서 돌아다니던 문구입니다.^^
    저도 꼼짝없이 당했었죠. ㅋ
    우리가 글자를 하나하나 읽고 의미를 파악하는 게 아니라
    단어 이상의 의미 단위를 빠르게 스캔한다는 것이 바로 이 글을 쓰게 된 배경이 되겠습니다.^^
    '다방'과 '3시' 일화를 그 예로 보인 것입니다. 글자를 대충 보고 의미가 통하면 그냥 넘어가죠.
  • ?
    한정규 2009.02.14 09:30
    허헛! 들켰다. 네에 이미 웹상에 많이 돌아다니던 겁니다. 배경이 에세이가 되고 에세이에 배경으로 답을 달고 순환 고리에 빠졌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04 공지 [포스터] 뇌과학과 동서정신의학의 만남 2 김영이 2009.01.13 1538
2603 공지 가입인사드려요 :-) 2 조미선 2009.01.13 1458
2602 공지 수학모임 후기 6 육형빈 2009.01.12 1863
2601 공지 뇌-생각의 출현을 읽고(세포버전의 메트릭스) 3 신동찬 2009.01.12 1528
2600 공지 책소개: <스트레스>, 사이언스북스, 2008 4 이중훈 2009.01.12 2005
2599 공지 수학아카데미 간략후기 15 전승철 2009.01.11 1823
2598 공지 도와주세요;; 2 전광준 2009.01.11 1566
2597 공지 [스페인] 12. 에르코스 : 안달루시아의 농촌 풍경 9 이정원 2009.01.11 1883
2596 공지 고미숙 선생님 강연을 듣고 3 이중훈 2009.01.09 1745
2595 공지 [공지] 한 눈에 보는 1월 백북스 모임 9 김영이 2009.01.09 2092
2594 공지 [대전정기강연] 1월 13일(화) 나스타샤, 조지수 임석희 2009.01.08 1802
2593 공지 [알림] 1. 8. 목 '호모 쿵푸스' 고미숙 박사님 강연 5 윤보미 2009.01.08 2001
2592 공지 미국 최고직업 수학자 1 이중훈 2009.01.08 1868
2591 공지 가입인사 정중히 드려요~ 3 이진재 2009.01.07 1521
2590 공지 철학 3 -철학에 관심 있는 분들의 연락을 기다립니다. 4 이정해 2009.01.07 1786
2589 공지 모든 것을 변화시킬 새로운 그것은? 1 file 김원기 2009.01.07 1986
2588 공지 '자유의지'라는 환상 1 엄준호 2009.01.06 1964
2587 공지 A. 아인슈타인, L. 인펠드 - 물리학의 진화 3 file 장종훈 2009.01.06 1705
2586 공지 가입인사드립니다. 2 허일영 2009.01.05 1500
2585 공지 [기사]뇌의 신비와 미래 7 서지미 2009.01.05 17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