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1775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어느 인문학자의 나무 세기>, 강판권, 2002, 지성사



설화와 민담, 역사 속에는 참 많은 나무가 등장한다. 달에 비친 계수나무, 단군 신화의 박달나무, 불교 미술의 비밀을 반영하는 향나무 등등. 나무에 얽힌 이야기만 풀어 봐도 역사가 술술, 한 권은 족히 된다. 나무를 통해 역사를 해석하려는 새로운 시도 하에 탄생한 이 책에는 나무 그 자체의 생물학적 특성과 나무에 얽힌 다양한 설화, 역사적 사실, 저자 자신의 감상 등이 쉬운 이야기체로 담겨 있다.

주변의 사물을 통해 역사를 공부하는 방식 자체는 '성리학적 격물치지'를 본받은 태도다. 한 그루 한 그루 나무를 센다는 것은 나무에 깃든 사연을 더듬는 행위이고 더 나아가 인간의 생활, 정신사를 읽는 태도라는 설명. 눈 덮인 해인사에서 꿈에 그리던 박달나무를 만났을 때의 정황 설명, 살구씨와 닮아서 '은빛 살구(은행)'라고 불리는 은행알의 모습을 담은 사진 등이 편안한 느낌을 주는 책이다.인문학의 위기가 논란이 되고 있는 지금, 인문학 부흥을 위한 새로운 공부론을 제안하는 한 젊은 역사학도의 낮은 목소리가 있다. 성리학적 격물치지를 실현하는 방법으로 주변의 사물을 살피는, 이른바 근사(近思)의 공부법이 바로 그것.

이 책의 저자인 강판권 박사는 나무를 통해 역사를 해석하려는 새로운 시도를 펼치고 있다. 나무에 깃들여 있는 사연을 더듬어 가다 보면 어느덧 인류의 기나긴 정신사적 궤적을 읽을 수 있다는 것이 저자의 말이다. 그래서 그는 오늘도 학교 교정에서, 동네 어귀에서, 답사의 길목마다에서 한 그루 한 그루 나무를 세고 있다. 나무를 세는 것은 이제 그에게 더이상 낯선 일이 아니다. 그리고 이 책은 그의 '나무 세기에 관한 보고서'이다.


한 그루 나무를 통해 역사를 읽는다는 일이 사실 그렇게 만만한 일은 아니다. 예컨대 "환웅이 내린 박달나무는 어디에 있을까?"라거나 "백악기 시대 속씨식물, 달 속의 계수나무는 어디에 있을까?"라는 의문을 떠올렸다고 해보자. 이들 질문들은 어쩌면 역사 이전의 단계, 즉 신화의 세계에 속하는 일일지도 모른다. 그럴수록 여기에는 강한 '추측'이 개입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그러한 추측과 상상을 넘나들다 보면 어느새 이들 나무들에 대한 '역사적 실체'가 조금이나마 만져지지 않을까?

본문에서는 저자가 실제 박달나무와 계수나무를 찾아 안타깝게 헤맨 이야기들이 담담하게 묘사되어 있다. 처음 박달나무를 만났을 때의 감격을 그는 이렇게 전한다. "도로변에 우뚝 선 물박달나무를 보는 순간 왈칵 눈물이 났다. 박달나무를 만났다는 기쁨 때문이기도 했지만, 내 눈앞에 나타난 물박달나무가 내가 상상했던 우주목(宇宙木) 혹은 세계수(世界樹)와는 달리 너무 왜소했기 때문이었다. 나는 가까이 다가가 안아 보았다. 굵지 않은 나무인지라 작은 가슴에 들어왔다. 비가 내린 뒤라 나무는 촉촉이 젖어 있었다(본문 31∼32쪽)." 그러면서 이야기는 우리 민족이 왜 박달나무를 숭배하게 되었는가로 이어진다. 그 이유가 다듬잇방망이나 홍두깨, 빨랫방망이와 관련이 있다면, 과연 신성한 나무란 무엇인가를 되묻지 않을 수 없어진다.

화가 고흐의 자살과 측백나무를 연관지어 생각해 보는 것도 재미있는 일이다. 고흐는 왜 죽기 직전에(1년 전) <측백나무>를 그렸을까? 과연 그는 측백나무가 불로장생의 상징이자 실제로도 정신병 치료 효과가 있다는 걸 알고 있었던 것일까? (측백나무에는 신경쇠약과 불면증에 좋은 '백자인'이 있다.) 이런 생각들을 좇다 보면 참으로 인생의 아이러니를 느끼지 않을 수 없다. 또한 『논어』의 「자한」 편에 나오는 "자왈 세한연후 지송백지후조야(子曰 歲寒然後 知松柏之後彫也)"의 송백(松柏)을 우리는 흔히 '소나무와 잣나무'라고 해석하는데 사실은 '측백나무'일지도 모른다는 주장은 저자의 지나친 억측일까?

그럼 이런 생각은 어떤가?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우리의 자랑거리가 된 팔만대장경의 비밀이 산벚나무와 돌배나무에 숨어 있다는 얘기는? 지금까지는 이 팔만대장경판이 자작나무로 만들어졌다고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최근 250개의 표본을 추출해 분석한 결과는 기존의 설을 완전히 뒤집는 것이었다. 팔만 가지의 번뇌를 새긴, 81340매의 경판을 이루는 나무의 주종은 산벚나무와 돌배나무류였다고 한다. 또, "벽오동 심은 뜻은 봉황을 보렸더니 / 내 심은 탓인지 기다려도 오지 않고 / 무심한 일편 명월이 빈 가지에 걸렸더라"는 시조처럼 큰 뜻을 품었던 옛 선비들의 기상을 기리는 대목에서는 오늘날 이땅의 지식인들이 추구해야 할 진정한 길은 과연 어디에 있는지를 생각케 한다. 정녕 벽오동은 봉황을 기다리고 있는데 봉황은 선비가 그리운 것은 아닌지…….

이렇듯 이 책은 열여섯 나무들을 주인공으로 내세워 그들에 얽힌 역사와 신화를 더듬어 보는 책이다. 하지만 단지 나무에 얽힌 온갖 지식의 단편들을 주워 모은 것이 아니다. 오히려 '나무'라는 하나의 고리를 통해 새롭게 역사를 들여다보고 '생각하는 방법'만을 보여주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나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더욱 풍요로운 경험들은 독자의 몫으로 여전히 남아 있다. 그리하여 마침내 얻을 수 있는 것은 바로 '아름다운 세상'이 아닐까?
  • ?
    최경희 2009.09.17 07:34
    책소개 무척 관심있게 보았습니다.
    이중훈님 독서량 엄청나요 게시판 올리는글 관심두고 있는 데
    어떤 분인지 궁금 합니다.
    책을 선정 하는 것도 조금 독특한 면이 있고 소개도 잘 하세요.
    난 아주 마음에 듭니다.소개한 책 중에 일부 읽었던 책도 있었지만
    직접 읽을 때보다 설명이 오히려 더 크게 와 닿았어요
    지금 이책은 읽지 않았지만 설명으로 어떤 책 일거라는 상상도 되고
    빨리 책 구해서 봐야지 하는 욕심이 나요
    저자도 아주 톡특한 분이고 대구에 계시기에 지면으로 만나기도 하는 데
    나무 예찬론자이죠
    아름다운 세상이 되고 행복의 단위가 높아 지려면 나무를 사랑하고
    나무와 함께 하는 삶이 되어야 한다는 지론을 저자의 책을 통해서 배우고
    한 책을 두고 같은 시각으로 공감 한다는 것 좋은 느낌 ~
    올리신 글 감사 합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어느 인문학자의 나무 세기 1 이중훈 2009.09.17 1775
3143 위대한 선물 1 이중훈 2009.09.15 1604
3142 서지미 박사님 감사합니다♥ 13 민경기 2009.09.14 2053
3141 [공지]제 3회 조중걸 교수의 철학과 예술사 강의(20090915) 강혜정 2009.09.12 1818
3140 마음에 드는 책 선정하세요 2 강신철 2009.09.12 1736
3139 강의자료 "지구의 생성과 진화" (2009) 2 고원용 2009.09.12 2121
3138 시의 현실적 도움 1 이중훈 2009.09.09 1647
3137 [공지]제 2회 조중걸 교수의 철학과 예술사 강의(20090910) 강혜정 2009.09.09 1748
3136 3시간을 달려_2시간 강의듣고_다시 3시간 달려 도착하니!솟는 에너지! 2 강호구 2009.09.09 1715
3135 9.8 뒷풀이 인사 13 현영석 2009.09.09 2048
3134 '뇌과학과 마음'주제 격론(미디어 붓다) 4 안희찬 2009.09.08 1796
3133 백북스 173회 정기모임 오늘입니다 (9월8일 저녁7시) 김홍섭 2009.09.08 1943
3132 안녕하세요^^~ 2 나미란 2009.09.08 1687
3131 한비야의 서재는 ''사고뭉치"이다 이동선 2009.09.07 1738
3130 서호주 밤하늘의 별들에게 길을 묻다. 4 이은호 2009.09.07 1700
3129 수학의 신 엄마가 만든다 1 이중훈 2009.09.07 1711
3128 [공지]제 1회 조중걸교수의 철학과 예술사 강의(20090908) 강혜정 2009.09.05 2079
3127 안녕하세요~ 3 이창현 2009.09.03 1590
3126 씨네큐브 광화문, 안녕. 3 이정원 2009.09.03 2148
3125 9월 11일 , 박문호 박사님 강연 [브레인 공부, 어떻게 할 것인가? ] 3 윤보미 2009.09.02 216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