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2011.08.18 18:39

글과 사람

조회 수 169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글이 곧 그 사람은 아니다 .............................................. 마광수(연세대 국문과)





어느 헌 책방에서였다. 이 책 저 책을 뒤지고 있던 내 손에 아주 낡은 책 한권이 무심코
집혀졌다. 『여성과 교양』이라는 책이었는데, 겉장을 들여다본 나는 그 책의 저자가 이
승만 정권 때의 실권자였던 이기붕의 처 박마리아인 것에 놀랐다. 박마리아라면 지금까
지도 세상 사람들 입에 ‘나쁜 여자’로 오르내리는 사람이다. 그 사람이 4. 19 혁명이 있기
몇 년 전에 쓴 책이었던 것이다.

속 겉장엔 ‘이화여자대학교 부총장 박마리아’라고 되어 있었고, 이화여대 출판부에서 간
행한 것이었다. 그리고 본문 앞에는 당시의 이화여대 총장 김활란의 서문이 들어 있었고,
박마리아를 대단히 칭찬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었다. 책의 내용을 훑어보니 박마리아 자신
의 성장기와 신변적인 얘기를 써나가면서 교양 있는 여성이 돼야 한다고 강조한 것이었다.

나는 그 책을 보고 나서 깊은 회의에 빠져들었다. 그 책에 씌어 있는 글 자체를 놓고 박마
리아를 평가한다면 누가 그녀를 악인이라 할 것인가? 그만큼 그 책은 품위 있는 내용의
글들로 채워져 있었다. 책이 출판됐을 당시에 그 글을 읽은 독자들은 박마리아의 인품을
흠모했을 게 분명하다. 박마리아의 인격과 그 글을 분리시켜 놓고 생각해 본다면, 그 글
자체는 너무나 훌륭한 것이었다.

그러나 박마리아의 존재가치가 떨어진 요즈음, 사람들은 숫제 그 책을 읽으려고도 하지
않을 것이다. 그렇다면 그 책을 쓸 당시에는 박마리아가 한없이 선량하고 양심적인 사람
이었다가 그 후에 나쁜 사람으로 변한 것일까? 그럴 수는 없는 게 아닌가. 한 사람의 인간
성이 그토록 쉽게 바뀔 수는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물론 박마리아가 정말로 나쁜 사람인
지 아닌지는 함부로 속단할 수 없는 문제다. 하지만 그녀를 일단 역사적 통념으로 평가한
다고 할 때, 박마리아가 쓴 글은 인격적으로 불완전한 사람이 가식적으로 쓴 글이 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글 자체가 그 글을 쓴 사람의 인격의 허위성 유무(有無)를 판별해 줄 수 있을까? 그것은
힘든 일이다. 박마리아가 쓴 글은 4. 19 혁명이라는 역사적 사건이 개입하면서 판별이 쉽
게 이루어진 경우인데, 그것도 사실 확실히 믿을 것은 못 된다. 일반적인 글이라면 시간
이 흘러가 작자의 생애와 배경과 인간관계 등 주변적인 자료들이 다 조사된 다음에라야
어느 정도의 판별이 가능한데, 그것 역시 정확한 것이 될 수는 없다.

바로 이 점에 의외로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것을 나는 깨달았다. 즉 우리가 책이나 신문,
잡지 등을 통해서 대하고 있는 글들이 모두 다 허위의식으로 가득 찬 모순투성이의 글들
이 아닐까 하는 의문이 일어났던 것이다. 사람들은 이런 의문을 별로 제기하지 않는다.
그들은 신문의 칼럼이나 잡지의 사회비평 같은 것을 읽으면서, 그 글이 갖고 있는 ‘품위’
와 ‘조리’에 홀려 글을 쓴 필자의 인격을 높이 평가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 것이다.

인간은 ‘자신의 인생’ 하나만을 살고 있는 것이 아니다. ‘산다’는 말은 두 가지 의미를 포
함하고 있다. 곧 ‘자신의 인생을 산다’와 ‘글을 통해 타인의 인생을 산다’가 그것이다. 다
시 말해서 인간은 자신의 삶 이외에 ‘글 속에서의 삶’을 하나 더 살고 있는 것이다.

‘글을 통해 사는 타인의 인생’은 곧 ‘문자적 경험’을 의미하는데, 때에 따라서는 문자적
경험 (즉 간접경험) 이 실제적 경험 (즉 직접경험) 보다 인간의 인식에 더욱 뚜렷한 인상
을 주어 부작용을 일으키기도 한다. 실제적 경험과 문자적 경험의 차이는 크다. 그런데도
인간은 그런 차이를 느끼지 못하게끔 만성이 되어버렸다. 아니 문자적 경험을 실제적 경
험보다 오히려 더 신뢰하는 지경에 이르고 말았다.

여기에 글의 모순이 있다. 아니 글 자체에 모순이 있는 게 아니라 우리가 여지껏 글에 대
해서 갖고 있던 인식에 모순이 있다. 우리는 지금까지 “글은 곧 그 사람이다”라는 말을
철저하게 믿어왔었다. 거의 모든 작문 교과서 첫머리에 나오는 이 말은, 많은 사람들 머
릿속에 큰 비중을 갖고서 주입되었다. 하지만 실제로는 이 말에 부합되지 않는 사례가 많
다. 아니 거의 모든 글이 다 이 말에 부합되지 못하는 것 같다. 앞에서 예로 든 박마리아
의 글이 좋은 보기이다.

물론 글로 표현된 자아(自我)는 그 글을 쓴 사람의 ‘표면적 자아’가 아니라 ‘심충적 자아’
이고, 그런 심층적 자아가 필자 자신도 모르게 드러난 결과물이 곧 글이라는 견해가 있을
수 있다. 그렇지만 우선 글이 담당하고 있는 ‘전달자’로서의 기능을 생각해 볼 때, 글이
갖고 있는 위선성과 과장성, 그리고 안이성과 허위성이 독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자못
심각한 것이 아닐 수 없다.


  1. <원숭이도 이해하는 자본론> 저자 임승수입니다. 한겨레교육 분당센터에서 11월부터 <자본론> 강의합니다.

    Date2011.10.22 By임승수 Views1690
    Read More
  2. 장회익 교수님의 과책책 읽기 기술 조언

    Date2011.10.17 By이중훈 Views1657
    Read More
  3. [르네21] 그림읽기 - 그림, 느끼는 만큼 재미있다.

    Date2011.10.04 By르네 Views1624
    Read More
  4. [10월9일개강] 네그리/하트의 『제국』 읽기!(총괄강의 조정환)

    Date2011.10.03 By다지원 Views1654
    Read More
  5. [대학교과서 읽기모임 7회] 잡식동물의 딜레마/마이클 폴란

    Date2011.09.28 By정광모 Views2147
    Read More
  6. [붓다 없이 나는 그리스도인일 수 없었다] : 책 소개

    Date2011.09.27 By이정모 Views1863
    Read More
  7. [10월10일개강] 야성의 철학자 스피노자! <스피노자와 우리>(조현진)

    Date2011.09.24 By다지원 Views1625
    Read More
  8. [10월4일개강] 랑시에르의 [역사의 이름들]!<랑시에르와 '주체화의 역사'>(안준범)

    Date2011.09.24 By다지원 Views1588
    Read More
  9. 빛보다 빠른 물질 발견

    Date2011.09.24 By이중훈 Views1648
    Read More
  10. [동영상]"직업이란 인생의 3분의 1을 파는 것입니다" <청춘에게 딴짓을 권한다> 저자 강연

    Date2011.09.21 By임승수 Views1741
    Read More
  11. 대학교과서 읽기모임, 인체생리학 마지막회

    Date2011.09.03 By정광모 Views1658
    Read More
  12. 뇌(과학) 지상주의 문화에 대한 반성: 최근 출간된 해외서적들과 관련된 생각

    Date2011.08.29 By이정모 Views2200
    Read More
  13.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숨겨둔 금화 찾아나선 일본

    Date2011.08.24 By변정구 Views1738
    Read More
  14. 유성이 지나가는 소리

    Date2011.08.19 By변정구 Views1747
    Read More
  15. 글과 사람

    Date2011.08.18 By이중훈 Views1695
    Read More
  16. 가입인사 올립니다~

    Date2011.08.17 By이희심 Views1572
    Read More
  17. [아트선재센터] 박이소 <개념의 여정>

    Date2011.08.16 By최혜미 Views1637
    Read More
  18. <과학뉴스> 임신한 7800만 년 전 ‘바다괴물’ 최초 발견

    Date2011.08.16 By변정구 Views2390
    Read More
  19. [대학교과서 읽기 모임 5회] 인체 생리학 (부산/영남)

    Date2011.08.16 By정광모 Views1968
    Read More
  20. <과학뉴스> 달은 원래 2개였다?…‘달 뒷면’의 비밀

    Date2011.08.04 By변정구 Views2802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