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인문사회
2023.08.23 07:52

교양 고전 독서

조회 수 56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472
저자 노명우 교수(아주대학교 사회학과)
출판사
발표자 노명우 교수(아주대학교 사회학과)
일자 2023-09-26
장소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시간 저녁 7:15

9791192512327.jpg

 

IMG_8530.jpg

 

<책소개>

  

한 번 사는 인생, 교양 있는 삶을 위해
서점 주인이자 사회학자인 노명우와 함께 읽는 고전들


책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도 고전은 ‘언젠가 읽어야 할 책’이지만 아무래도 ‘선뜻 손이 가지 않는 책’이다. 두려움이 앞서는 고전의 깊은 바닷속을 안내하기 위해 나선 가이드는 서점 주인이자 사회학자인 노명우다. 이 책 『교양 고전 독서』에서 노명우는 엄정한 학자의 기준으로 선택한 고전 열두 권을, 손님들에게 책을 골라주는 푸근한 서점 주인의 말투로 소개하고 있다. 그래서 이 책에 담긴 고전 리스트는 진부하지 않고 글을 읽는 재미도 확실하다.

이 책은 개인적인 서평 모음집도, 두꺼운 고전들의 요약본도 아니다. 저자 노명우는 독자들이 고전을 직접 읽을 수 있도록, 본인의 완독 경험을 바탕으로 독자들에게 새로운 독서법을 제안하거나, 관련된 배경지식을 알려주거나, 책 속 핵심 키워드들을 귀띔해줄 뿐이다. 고전의 권위에 기죽지 말 것을 강조하는 성실한 가이드의 친절하고 흥미진진하고 위트 있는 조언을 따라가다보면 누구라도 고전을 스스로 펼쳐 들 용기가 생길 것이다.

이 책은 명확한 목표를 지향하는데, 바로 ‘교양’이다. 고전을 읽는 이유는 교양을 쌓기 위해서다. 노명우가 말하는 교양이란, 정보와 지식을 습득하는 데 그치지 않고 그것을 “능동적 사유의 소재로 삼아 성찰을 거쳐 인식의 성장을 이룸으로써 지혜에 도달”하는 과정이다. 그래서 ‘교양인’이란 “강한 호기심”을 갖추고, “지식을 공공선을 위해 기꺼이 사용”하고, “세계의 다양성을 수용”할 줄 알며, “타인을 설득하는 역량”을 가지고 “선하지 않은 권력에 지속적인 비판”을 할 수 있는 사람이다. 어느 때보다 교양이 필요한 시대, 어제보다 나은 사람이 되기 위해 노력하는 교양인이 되는 데 도움이 될 고전이라는 기준으로 최종 열두 권이 선택되었다.

 

 

<저자소개>

 

- 저 자 : 노명우 교수

 

아주대학교 사회학과에서 학생들에게 사회학을 가르치는 교수이자, 이러다 잘될지도 모르는 연신내 골목길의 독립 서점인 ‘니은서점’을 열고 세상에 알려져야 마땅한 좋은 책을 소개하는 마스터 북텐더다. 그러다 내친 김에, 세계적인 석학은 되지 못했지만 교양 있는 사람이라도 되고자 시민과 함께 공부하는 ‘생각학교’를 만들었다. 테오도르 아도르노가 언제나 닮고 싶은 학자이며 지그문트 바우만처럼 노인이 되어서도 글을 쓰고 싶기에 누군가 대표작을 물어보면 아직 출간되지 않은 다음 책이라고 말한다.

2002년 『계몽의 변증법을 넘어서―아도르노와 쇤베르크』로 첫 책을 출간한 이후, 고전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려는 노력을 담은 『계몽의 변증법―야만으로 후퇴하는 현대』 『호모 루덴스, 놀이하는 인간을 꿈꾸다』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노동의 이유를 묻다』를 썼고 『발터 벤야민과 메트로폴리스』 『변증법적 상상력』을 번역했다.

시각문화와 예술사회학 그리고 미디어 이론과 관련해 『텔레비전, 또 하나의 가족』 『아방가르드』 『두번째 도시, 두번째 예술』 등을 썼고, 『구경꾼의 탄생』을 번역했다.

평범한 사람들의 삶을 관찰하고 해석하는 이른바 자전적 사회학을 위해 『혼자 산다는 것에 대하여―고독한 사람들의 사회학』 『세상물정의 사회학』 『인생극장』 『노명우의 한 줄 사회학』을 썼고, 지그문트 바우만의 『사회학의 쓸모』를 번역했다. 골목길의 작은 독립 서점 니은서점의 책상에서 『이러다 잘될지도 몰라, 니은서점』을 썼고, 생각학교를 구상하여 이 책 『교양 고전 독서』를 썼다.

 


  1. 프레시지옹

  2. 타인최면

  3. 위트로 읽는 위트

  4. No Image 21Jun
    by 관리자
    2003/06/21 by 관리자
    Views 3714 

    달라이 라마의 행복론

  5. 이것이 한국화다

  6. 생각의 탄생

  7. 믿음의 엔진

  8. 루오전

  9. [백북스시즌2 책밤4] 향모를 땋으며

  10. No Image 29Aug
    by 관리자
    2003/08/29 by 관리자
    Views 3793 

    최고경영자 예수

  11. 이반 일리치의 죽음

  12. 블랙홀 전쟁

  13. No Image 23Mar
    by 관리자
    2004/03/23 by 관리자
    Views 3514 

    변경

  14. No Image 21Jun
    by 관리자
    2003/06/21 by 관리자
    Views 5329 

    승려와 수수께끼

  15. No Image 30Sep
    by 관리자
    2003/09/30 by 관리자
    Views 3972 

    대화의 법칙

  16. 누구와 함께 살 것인가

  17. 논어

  18. No Image 10Nov
    by 관리자
    2004/11/10 by 관리자
    Views 3902 

    의식혁명

  19. [백북스시즌2 책밤28] 인수공통 모든 전염병의 열쇠

  20. 마음의 기원

  21. No Image 09Jun
    by 관리자
    2004/06/09 by 관리자
    Views 4204 

    재미있는 통계이야기

  22. 괴델의 증명

  23. 식물은 알고 있다

  24. 시간을 정복한 남자 류비셰프

  25. 팹 (FAB)

  26. 미토콘드리아(박테리아에서 인간으로, 진화의 숨은 지배자)

  27. 산소

  28. 음악이란 무엇인가

  29. 클래식명곡을 낳은 사랑이야기

  30. 인생극장

  31. 교양 고전 독서

  32. 적극적 사고방식

  33. 소립자를 찾아서

  34. No Image 21Jun
    by 관리자
    2003/06/21 by 관리자
    Views 4466 

    디지털이다(being digital)

  35. 사람의 거짓말, 말의 거짓말

  36. Paint it Rock

  37. 사라진 손바닥

  38. 풀꽃 나태주 시선집

  39. 창의성의 또다른 이름 트리즈(TRIZ)

  40. 그렇게 물어보면 원하는 답을 들을 수 없습니다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