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인문사회
2023.05.24 17:41

은유가 만드는 삶

조회 수 55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469
저자 김용규, 김유림 공저
출판사 천년의상상
발표자 김용규, 김유림 작가
일자 2023-06-27
장소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시간 저녁 7:15

20230524_083134.png

 

0 (1).jpg

 

<책소개>

 

풍요롭고 의미 있는 삶에 이르는

최선의 길은 은유를 통하는 것이다

창의성의 원천, 은유를 내 것으로 만드는 실전 훈련!

 

북클럽 은유두 번째 책, 은유가 만드는 삶

모든 예술은 은유에서 태어났다!

 

독자와 함께 읽고 함께 만들어가는 책과 강의의 콜라보, 천년의상상북클럽 시리즈’. 고병권의북클럽 자본에 이어 이번엔 김용규· 김유림의 북클럽 은유’(3)와 함께 인류 문명과 창의성의 원천, 은유의 비밀을 하나하나 풀어간다. ‘북클럽 은유시리즈 2은유가 만드는 삶은 모든 예술의 숨겨진 기원, ‘은유에 대해서 본격적으로 탐구한다. 앞서 출간된 1은유란 무엇인가가 은유적 사고 패턴(metaphorical thinking pattern)의 기본 원리와 은유적 사고 훈련법따라하기, 분석하기, 실습하기을 소개한 북클럽 은유의 총론이자, 은유 학습의 씨앗이라면, 2권은 창작자의 관점에서 은유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를 모색하는 각론이자, 은유적 사고력의 줄기에 해당한다.

 

우선 은유가 만드는 삶의 전체 내용을 살펴보면, 1부에서는 시, 2부에서는 동시와 동요, 3부에서는 가요를 포함해 케이팝K-Pop의 노랫말 안에, 예컨대 악동 뮤지션이나 방탄소년단BTS의 노래 가사 안에 들어 있는 은유적 사고와 표현들을 추적해 분석한다. 이어서 1권에서도 소개한 은유 패턴에 맞춰 도식화하는 연습을 반복해서 독자들과 함께 해 나간다. 더 나아가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이 시, 동시, 동요와 노랫말들을 스스로 만들어보는 훈련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4부에서는 오늘날 우리에게 그 어떤 예술보다도 더 익숙하고 더 강하게 영향을 미치는 각종 광고 안에 들어 있는 은유적 사고와 표현들을 같은 방식으로 분석하고 도식화하는 훈련을 한다. 마지막 5부에서는 언어 예술을 넘어서 이를테면, 회화, 건축 영역에서 우리에게 널리 알려진 작품과 그것에 영향을 끼친 시대정신 내지 문예사조를 골라 그 안에 들어 있는 은유적 사고를 추적해 분석하는 흥미진진한 훈련도 병행한다. 그럼으로써 예술작품에 대한 독자들의 작품 분석력과 해석력, 궁극적으로는 은유적 사고력을 향상해 창의적 예술작품을 스스로 만들 수 있도록 돕고자 했다.

 

북클럽 은유’ 2은유가 만드는 삶이 잘 보여주듯, 우리들이 노상 접하는 일상 언어는 물론이고 시, 소설, 노래, 동시, 동요, 회화, 조각, 건축 그리고 각종 공연예술 등 이들 모두는 은유적 사고의 산물이다. 개념적 은유 이론의 창시자인 조지 레이코프는 이 말을 은유적 사고는 우리의 정신적 삶에서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정상적이며 편재적이다. 시에서 사용되는 은유적 사고라는 동일한 기제가 일상적인 개념, 즉 시간, 사건, 인과관계, 정서, 윤리학, 사업 등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난다라고 표현했다. 그렇다면 인간의 삶을 풍요롭고 의미 있게 만드는 것은 다른 무엇이 아니라 은유적 사고인 셈이다. 한 마디로 은유가 언어와 학문과 예술을 통해 인간의 삶을 풍요롭고 의미 있게 만든다. 이 책의 저자들은 그것을 설득하기 위해, 그리고 제3의 사유 패턴인 은유적 사고를 독자들이 쉽고 흥미롭게 익힐 수 있도록 이 책을 썼다.

 

 

<저자소개>


- 저 자 : 김용규(헤르메스 김)

 

독일 프라이부르크대학교와 튀빙겐대학교에서 철학과 신학을 공부했다. 사람들이 더 나은 삶을 선택하고 그것을 향해 스스로 변화하게 하는 것이 철학의 본분이라 여기며, 대중과 소통하는 길을 끊임없이 모색해왔다. 풍부한 인문학적 지식과 깊이 있는 성찰을 생동감 넘치는 문체로 풀어낸 인문 교양서를 다수 집필했으며, ‘지식 소설이라는 새로운 장르를 개척해 한국의 움베르트 에코로 이름을 알렸다. 지은 책으로는 철학카페에서 문학 읽기, 철학카페에서 시 읽기, 철학카페에서 작가를 만나다(2), 알도와 떠도는 사원, 생각의 시대, 데칼로그, 철학 통조림(4), , 그리스도인은 왜 인문학을 공부해야 하는가?등이 있다.

 

대표작인 설득의 논리학은 논리학으로 말과 글을 단련해 설득력을 높이는 10가지 방법을 알려주는 책이다. 광고나 논설문, 보고서, 프레젠테이션 등 우리가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예화들을 제시해, 설득의 도구로서 논리학의 가치와 이를 활용하는 실질적인 기술들을 알려준다. ‘논리학은 복잡하고 어렵다라는 편견을 부순 이 책은 현직 교사와 로스쿨 준비생, 논술과 면접을 준비하는 학생들의 열띤 호응에 힙입어 10년 넘게 논리학 분야의 베스트셀러로 자리 잡았다.

 

 

- 저 자 : 김유림

 

미네소타 주립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을 전공하고 심리학을 부전공하여 숨마쿰라우데(Summa Cum Laude, 최우등 졸업)로 학업을 마쳤다. 재학 중 매 학기 Dean’s List(우등생 명단)에 올라 퍼블릭 스피킹과 수사학 연구 조교로 일했다. 공연 관람을 좋아하며 문학작품과 노래 가사 그리고 공연 대사나 뮤지컬 넘버에 담긴 수사학적 기법을 연구하고 탐색하는 것에 흥미가 있다. 언어가 우리의 삶과 사회를 바꿀 수 있다는 것을 믿으며,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영향력을 주는 사람이 되는 것을 목표로 청소년과 일반인을 위한 생각하기, 말하기, 글쓰기에 관한 책을 저술 중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81 221 이준연 아동문학 50년 2 file 강신철 2011.08.31 6088 이은하 국학자료원 이은하 교수 2011-09-15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7시
80 231 문학예술 테마 현대미술 노트 5 file 송윤호 2012.02.03 6116 진 로버트슨, 크레이그 맥다니엘 공저 두성북스 미술비평가 김준기 (대전문화예술의전당 학예실장) 2012-02-14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저녁 7시
79 214 달마는 서쪽에서 오지 않았다 file 강신철 2011.05.12 6125 보리 달마 저/덕산 스님 역 비움과 소통 덕산 스님 2011-05-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78 115 자연과학 우주의 구조 2 file 박문호 2007.03.30 6130 브라이언 그린 승산 박문호 2007-04-10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77 282 민주주의에 反하다 file 유화현 2014.03.29 6137 하승우 낮은산 하승우 교수 (저자) 2014-04-08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홈플러스탄방점 맞은편) 오후 7시
76 194 바로크음악의 역사적 해석 file 강신철 2010.07.21 6142 민은기 음악세계 오지희 교수 2010-07-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75 287 기후불황 file 유화현 2014.06.12 6165 김지석 센추리원 김지석 외교관(저자) 2014-06-24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74 167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file 박문호 2009.05.28 6169 신영복 돌베개 신영복 교수 2009-06-09 대전시립미술관 대강당 오후 7시
73 116 팹 (FAB) file 박문호 2007.04.11 6207 닐 거센펠드 비즈앤비즈 안윤호 2007-04-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72 290 진중권의 이미지 인문학 1 file 유화현 2014.07.24 6271 진중권 천년의상상 진중권 작가 2014-08-12 대전시립미술관 1층 대강당 오후 7시-9시
71 224 윤휴와 침묵의 제국 4 file 강신철 2011.10.12 6279 이덕일 다산초당 이덕일 박사 2011-10-25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오후 7시
70 128 인문사회 생각의 탄생 1 file 박문호 2007.10.15 6282 루터번스타인 에코의 서재 박문호 2007-10-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69 140 자연과학 뷰티풀 마인드 2 file 박문호 2008.04.09 6293 실비아 네이사 승산 김갑중 원장 2008-04-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68 270 조일전쟁 file 유화현 2013.09.26 6328 백지원 진명출판사 이병록 교수 (부산 동명대, 백북스 이사) 2013-10-08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 7시
67 146 문학예술 서양미술사 1 : 미학의 눈으로 읽는 고전 예술의 세계 file 박문호 2008.07.09 6427 진중권 휴머니스트 진중권 2008-07-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66 166 뇌와 내부세계 file 관리자 2009.05.15 6518 마크 솜즈 / 김종주 역 하나의학사 역자 김종주 2009-05-26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강당
65 252 여행하는 인문학자 7 file 김형렬 2012.12.28 6531 공원국 민음사 공원국 저자 2013-01-08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64 249 생각의 지도 1 file 이정원 2012.10.30 6590 진중권 천년의 상상 진중권 교수 2012-11-16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63 235 시골의사 박경철의 자기혁명 7 file 관리자 2012.03.28 6687 박경철 리더스북 박경철 2012-04-10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오후 7시
62 227 자연과학 생명 40억년의 비밀 file 문경수 2011.11.18 6692 리처드포티 까치글방 문경수 2011-12-06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저녁 7시
61 172 몽골의 역사 3 file 강신철 2009.08.15 6703 강톨가 동북아역사재단 역자 이평래 2009-08-25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60 177 묵자 2 file 강신철 2009.11.04 6741 기세춘 바이북스 묵점 기세춘 선생 2009-11-10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59 168 자본주의와 자유 file 강신철 2009.06.10 6743 밀턴 프리드먼 청어람미디어 변동열 변호사 2009-06-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오후 7시
58 171 인문사회 대한민국 60년 성찰과 전망 file 박문호 2009.07.30 6743 굿 소사이어티 지식산업사 윤여준 前환경부장관 2009-08-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57 176 세계종교사상사 file 박문호 2009.10.23 6743 미르치아 엘리아데 이학사 이병록 제독 2009-10-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56 230 붉은 광장의 아이스링크 18 file 한빛찬 2012.01.12 6813 김현택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임석희 2012-01-31 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747 박성일한의원 6층) 7:30
55 170 무한의 신비 1 file 강신철 2009.07.16 6903 애머 액젤 승산 신현용 교수 2009-07-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54 218 원자력 딜레마 1 file 강신철 2011.07.13 6977 김명자 사이언스 북스 김명자 전 환경부장관 2011-07-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후7시
53 174 배려 file 박문호 2009.09.15 6995 한상복 위즈덤하우스 (주)선양 조웅래 회장 2009-09-22 저녁7시|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강당
52 189 경영경제 Seven Stars 일곱 사장 이야기 file 박문호 2010.04.29 6998 이숙경 성우애드컴 김학민 원장 2010-05-11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07호 소강당
51 251 내 눈 속의 한의학 혁명 file 김형렬 2012.11.30 7068 박성일 천년의상상 박성일 원장 2012-12-11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50 255 서양미술사 철학으로 읽기 4 file 이정원 2013.02.15 7179 조중걸 한권의책 조중걸 2013-02-27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49 222 클래식명곡을 낳은 사랑이야기 1 file 강신철 2011.09.16 7228 니시하라 미노루 문학사상사 박은아 플룻티스트 2011-09-27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오후7시
48 200 기타 몸의 철학 2 file 관리자 2010.10.18 7242 G.레이코프 저 / 임지룡 역 박이정 회원(200회행사) 2010-10-23 대전 온지당 오후 4시
47 225 블랙홀 전쟁 4 file 강신철 2011.10.26 7283 레너드 서스킨드 - 이종필역 사이언스 북스 이종필 박사 2011-11-08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오후7시
46 253 우린 마을에서 논다 3 file 관리자 2013.01.11 7308 유창복 또하나의문화 저자 유창복 2013-01-22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45 190 한국의 뇌과학자, 세계의 정상에 서다 1 file 관리자 2010.05.14 7316 박방주 궁리 조장희 2010-05-25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44 192 산소 file 박문호 2010.06.17 7322 닉 네인 파스칼 북스 박문호 2010-06-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43 186 물속의 발자국 5 file 강신철 2010.03.15 7398 이강산 문학과 경계 이강산 시인 2010-03-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후7시
42 173 세컨드 네이처 3 file 박문호 2009.09.02 7436 제렐드 에델만 이음 박문호 박사 2009-09-08 저녁7시|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강당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