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조회 수 28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462
저자 린 마굴리스, 도리언 세이건 공저
출판사 리수
발표자 책밤지기 : 하리하라 이은희 작가
일자 2022-12-27
장소 이도저도
시간 오후 7:15

2.JPG

 

<책소개>

 

“생명이란 무엇인가?” 이 의문은 오랜 동안 인류의 큰 관심사였다. 끝을 알 수 없는 이 질문은 철학과 종교 그리고 예술의 영역이었다. 그 미지의 영역에 파동역학으로 노벨물리학상을 받은 오스트리아의 물리학자 에르빈 슈뢰딩거는 1944년 과학자로서는 최초로 생명이라는 미지의 영역으로 항해를 시작하였다. 이 항해에서 제시한 그의 여러 가지 생각은 이후 많은 과학자들에게 영감을 주었고, 과학이 생명을 연구하는데 큰 공헌을 하였다. 그리고 50년 후 린 마굴리스와 도리언 세이건은 그간의 과학적 성과들을 바탕으로 생명이란 무엇인가를 다시 이야기하였다. 하지만 그 생명의 모습은 우리가 알고 있는 생명과는 사뭇 다른 모습이었다.

“생명이란 무엇인가?” 슈뢰딩거의 뛰어난 질문에 새롭게 답한 책
적자생존을 뛰어넘어 공생명을 말하다


이 책은 생명에 대한 에르빈 슈뢰딩거의 과학적 접근 이후, 보다 탄탄한 과학적 기반을 마련한 린 마굴리스와 도리언 세이건의 저술로서, 다윈 이후 절대 이론이었던 적자생존론을 뛰어넘어 공생명을 기반으로 한 생명론을 증명하고 있다. 저자들은 “생명이란 무엇인가?” 라는 이 영원한 질문에 대해 과학과 철학·역사·시가 결합된 폭넓은 접근을 선보이며, 생명의 역사, 생명의 본질, 생명의 미래를 다각적으로 풀어내고 있다.
이 책에 대해 생물학의 권위자인 에드워드 윌슨은 “슈뢰딩거의 뛰어난 질문에 새롭게 답한 책”이라 격찬했다. 린 마굴리스와 도리언 세이건은 세상에서 가장 작은 세균으로 알려진 마이코플라스마와 가장 큰 유기체(생명권 자체) 사이를 넘나들며, 생명에 관한 선입관을 깨뜨리며, 생명 안에서 우리 자신의 역할에 대한 편견을 되돌아보도록 이끈다.

 

 

<저자소개 : 린 마굴리스 & 도리언 세이건 공저>

 

린 마굴리스는 매사추세츠 대학교 애머스트 캠퍼스 지구과학과의 저명한 교수였고, 1999년에 미국 과학 훈장을 받았다. 100편이 넘는 논문과 10권의 책을 썼는데 그중에는 [공생과 세포 진화(2판, 1993)]가 있다. 도리언 세이건은 [생물권(1990)]의 저자이다. 과학 저술의 동반자로서 마굴리스와 세이건은 [마이크로코스모스(1996)], [섹스란 무엇인가(1990)], [기쁨을 주는 미생물 정원(1995)], [미스터리 댄스(1991)]도 집필했고, 살아 있는 유기체의 동영상에 대한 안내서도 여러 권 썼다.

 

 

<책밤지기 : 하리하라 이은희 작가>

 

연세대학교 생물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학교 대학원에서 신경생리학을 전공하고, 고려대학교에서 과학언론학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졸업 후 신약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3년간 근무하다가 인터넷에 연재하던 글이 책으로 발간되면서 작가로 데뷔했다. 현재는 과학책방 [갈다]의 이사이자, 하리하라라는 필명으로 과학을 쓰고 알리고 기획하는 과학커뮤니케이터로 일한다. 2001년부터 제약회사 연구원으로 일하다가 블로그에 연재하던 글들을 모아 2002년 『하리하라의 생물학 카페』를 발간했고, 2003년 같은 책으로 한국과학기술도서상 저술상을 수상하며 본격적으로 과학저술 작업을 시작했다. 현재 한양대에서 과학기술학에 대해 강의하면서, 틈틈히 ‘하리하라’라는 필명으로 네이버와 동아일보에 칼럼을 연재하고, 청소년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대중 과학서를 쓰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하리하라의 과학 블로그 1, 2』, 『하리하라의 바이오사이언스』, 『하리하라, 미드에서 과학을 보다』, 『하리하라의 청소년을 위한 의학 이야기,』 『하리하라의 음식 과학』, 『하리하라의 생물학 카페』, 『하리하라의 과학고전 카페 1, 2』, 『하리하라의 세포 여행』, 『하리하라의 몸 이야기』, 『하리하라의 과학 24시』, 『하리하라의 눈 이야기』, 『다윈의 진화론』, 『몬스터과학 3 두몽이 유전의 비밀을 풀다』 등 다수의 하리하라 과학 시리즈가 있다. 제21회 한국과학기술도서상(한국과학기술부장관상) 저술 부문을 수상했다.

 

 

<책밤지기 추천도서 목록>

 

1. 어머니의 탄생 MOTHER NATURE / 세라 블래퍼 허디, 사이언스북스

아이를 낳아 키우면서 나 자신이 포유류임을 절실하게 느꼈다. 임신과 출산과 수유와 육아의 과정은 다분히 생물학적이었고, 체액과 분비물과 배설물들의 향연이었다. 아기는 정말로 사랑스러웠지만, 그 사 랑스러움과 수고로움과 불편함은 별개의 것이었다. 그 과정에서 이 모든 힘들고 지저분하고 지난한 과 정을 숭고한 ‘모성’이라는 것으로 감싸 안아야 한다는 무언의 압력은 더욱 무겁게 삶을 짓눌렀다. 나는 과연 제대로 사람 구실을, 엄마 노릇을 하고 있는 것인가. 그러다가 이 책을 만났다. 랑구르원숭이 수컷 의 영아 살해 현상을 연구하기 위해 밀림으로 떠났던 젊은 과학도는 랑구르원숭이 암컷들이 이면을 발 견한다. 그들은 흉폭한 정복자의 손에 속수무책으로 아이를 잃은 비참한 어미들이 아니었다. 비록 아이 를 잃었으나, 그들은 수컷과 마찬가지로 욕망과 실리계산을 할 줄 알며, 자신이 가진 성적 권리를 통제 함으로써 성적 독립성을 확보하고 이후 일어날 힘과 권력의 지배 구조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냉정한 전략가처럼 움직이고 있었다. 자연에서 성공한 어머니란 전투적인 사업가다. 부족하고 한정된 자원을 이 용해 자신과 자식, 둘 혹은 그 이상을 최적의 상태로 생존시키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전략을 사용하 는 것을 마다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 책은 희생만을 강조하는 가부장적 모성 신화는 정면에서 반박하지 만, 그렇다고 모성이란 게 오로지 기회비용과 손익계산만을 전부로 하고 있는 ‘이기적’ 유전자의 여성형 버전만도 아니다. 여성으로써의 인생과 어머니로써의 삶이 겹쳐지는 시기를 전체적으로 관통하며, 다양 한 관점에서 모성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하고 자신을 돌아볼 수 있게 만들어주는 것이다.

 

2. 생명이란 무엇인가 / 린 마굴리스, 리수

생물학을 전공하던 대학생 시절, 강렬하게 다가왔던 책이 20여년만에 개정판이 출간되었다. 오래된 이론인 듯 싶지만, 그 내용은 여전히 새롭다. 생명은 무엇인가라는 제목을 달고 있지만, 이 책은 생명은 무엇으로 살아왔는가라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스스로의 유전적 정보를 복제할 수 있는 유기체의 탄생 은 생명의 시작이다. 이후 수십억년의 세월을 거치며 이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생존하고 번식하고 번성 하고 멸종했다. 그 중 가장 오래, 가장 성공적으로 정보를 복제해낸 개체들의 생존 방식은 경쟁을 통한 독식이 아니라, 공생을 통한 공존이었다. 최초의 진핵생물은 광합성을 할 줄 아는 개체 혹은 산소를 통 해 효율적으로 에너지 생산이 가능한 미생물들이 이들을 잡아먹은 커다란 미생물들의 세포 내부에서 소 화되지 않고 공생함으로써 시작된다. 잡아먹은 세포는 먹이와 서식처를 제공하고, 잡아먹힌 세포는 포도 당과 ATP를 제공하며 서로 공생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세포 내로 들어간 것들은 엽록체와 미토콘드 리아로 자리를 잡았고, 처음에는 더부살이로 시작했으나 종래에는 서로를 분리하면 각각의 생존을 도모 할 수 없는 긴밀한 관계로까지 진화한다. 말 그래도 공생에서 공존으로, 혹은 서로가 없으면 공멸하는 수준까지 관계가 긴밀해졌으며, 그것이 진화의 원동력이 되었다. 최근 생물을 이토록 오랫동안 생존케 한 원동력은 무한경쟁에 입각한 약육강식의 법칙이 아니라, 서로의 모자람을 보충하며 더불어 살아가는 공존공생의 법칙이라는 사실이 널리 퍼지고 있다. 그 진화적 시작점이 된 책이며, 생물학을 전공하던 시 절 가장 큰 버팀목이 되어준 책이었다.

 

3. 전쟁에서 살아남기 / 메리 로치, 열린책들

유쾌한 과학 커뮤니케이터 메리 로치의 일련의 ‘인간의 몸’ 시리즈 중 하나. 전쟁이란 필연코 인명 피 해를 수반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전쟁터에서 어떻게든 살아남고, 찢겨지고 부서진 육체를?어떻게든 다시 이어붙이며, 흉터와 상흔이 가득한 몸을 가지고도 어떻게든 다시 삶의 자락들을 이어가 려는 사람들의 다양한 노력들이 존재한다. 그건 종종 너무 사소하고 볼썽사납고 추잡하기도 하지만, 어 딘가에서는 그 것을 진지하게 연구하는 이들이 있고, 그녀는 그런 이들을 정말로 ‘잘도’ 찾아내 그들을 사람들 앞으로 이끌어낸다. 그녀가 인터뷰하는 전쟁터 이면의 다양한 과학자들의 이야기들을 따라가다 보면 결국 생각이 도달하는 지점은 이렇게 몸을 챙기는 연구를 하면서 여전히 전쟁이라는 파괴적 행위 를 중단하지 못하는 인간의 어리석음이다.
메리 로치의 책들은 이런 식으로 구성된다. 그녀의 책들을 관통하는 하나의 주제는 ‘몸’이다. 그녀는 나 약하면서도 끈질기고 경이로우면서도 경박하기 짝이 없는 인간의 몸에 대해 무한한 애정과 호기심을 가 지고 몸을 탐구하는 과학 커뮤니케이터이다. 그녀의 몸에 대한 호기심은 죽은 뒤의 몸([인체 재활용]), 성적 존재로써의 인간([봉크]), 인체의 내부에서 일어나는 갖가지 일들([꿀꺽, 한 입의 과학], 가장 위 험한 곳에서 생존하는 인간들의 이야기([우주 다큐]) 등 전방위적으로 다양하게 뻗어나간다. 호들갑스 럽고 시시콜콜하게 다양한 연구 현장의 이야기들을 들려주지만, 결국 그 이야기들의 끝은 인간의 소중 함이다.

 

4. 초원의 집 / 로라 잉걸스 와일더

어린 시절 TV에서 보았던 ‘초원의 집’ 드라마 시리즈의 원작. 19세기 중반, 미국 위스콘신의 큰 숲 작 은 집에서 태어난 갈색 머리의 여자아이 로라 잉걸스가 기억하는 가장 어린 시절인 여섯 살부터 이후의 일대기를 그린 자전적 소설이다. 눈에 닿는 곳에 사람이 하나도 살지 않는 외딴 곳이지만, 엄마와 아빠, 언니 메리와 동생 캐리까지 다섯 식구는 외롭지 않다. 월요일은 빨래하고 화요일은 다림질하고 수요일 은 옷을 깁고, 목요일엔 버터를 만들고 금요일엔 청소를 하며, 토요일에는 빵을 굽고 일요일에는 쉬는 단조로운 일상이지만, 로라의 하루는 결코 지루하거나 심심하지 않다. 빵을 먹기 위해서는 밀 농사를 지 어 추수와 탈곡을 하고, 밀가루를 빻아 반죽해서 구워야 하기에 모든 것은 소중하고, 그걸 나누는 이들 은 더없이 귀중하다. 사실 로라를 둘러싼 가족들의 꽤나 고단하고 궁상맞다. 가난과 질병으로 인한 불행 도 로라의 가족을 덮친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루하루 서로를 도닥이며 맞선 문제를 해결하고 살아가는 이들의 모습이 든든하다. 그리고 스스로 식재료부터 하나하나 키우고 사냥하고 준비해서 만들 어 먹는 음식은 그 가짓수와 상관없이 풍성한 느낌이다. 삶이 버석버석 말라가는 느낌이 들 때, 이 책을 펼친다. 삶의 활력과 물기가 말라버린 마음을 다시금 적셔 세상을 보는 눈길에 스며들었던 독기와 미움 을 슬그머니 녹여주는 듯한 느낌이 들기에.

 

 

<백북스 시즌2 책밤 소개>

https://www.notion.so/f36b20bed246443b883c9345735ac57d

5.jpg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66 374 문학예술 미술관에 간 의학자 file 이근완 2018.03.28 298 박광혁(내과전문의) 어바웃어북 박광혁(내과전문의) 2018-04-10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19시 15분
65 362-363 인문사회 우리는 고독할 기회가 적기 때문에 외롭다 file 이근완 2017.09.28 355 김규항 알마 김규항 2017-10-10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19시 15분
64 376 자연과학 문경수의 제주 과학 탐험 file 이근완 2018.04.27 307 문경수 동아시아 문경수 2018-05-08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19시 15분
63 467 문학예술 만지고 싶은 기분 2 file 조수윤 2023.03.29 445 요조 가수/작가 마음산책 요조 가수/작가 2023-04-25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62 469 인문사회 은유가 만드는 삶 file 조수윤 2023.05.24 553 김용규, 김유림 공저 천년의상상 김용규, 김유림 작가 2023-06-27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61 471 기타 여행준비의 기술 file 조수윤 2023.07.26 549 박재영 작가 글항아리 박재영 작가 2023-08-22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60 472 인문사회 교양 고전 독서 file 조수윤 2023.08.23 554 노명우 교수(아주대학교 사회학과) 노명우 교수(아주대학교 사회학과) 2023-09-26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59 468 경영경제 그렇게 물어보면 원하는 답을 들을 수 없습니다 file 조수윤 2023.04.26 361 김호 더랩에이치 대표 위즈덤하우스 김호 더랩에이치 대표 2023-05-23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58 470 자연과학 하늘과 바람과 별과 인간 5 file 조수윤 2023.07.03 1091 김상욱 교수(경희대학교 물리학과) 바다출판사 김상욱 교수(경희대학교 물리학과) 2023-07-25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57 171 인문사회 대한민국 60년 성찰과 전망 file 박문호 2009.07.30 6737 굿 소사이어티 지식산업사 윤여준 前환경부장관 2009-08-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56 176 세계종교사상사 file 박문호 2009.10.23 6741 미르치아 엘리아데 이학사 이병록 제독 2009-10-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55 177 묵자 2 file 강신철 2009.11.04 6735 기세춘 바이북스 묵점 기세춘 선생 2009-11-10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54 210 소립자를 찾아서 file 박문호 2011.03.17 11285 네이만 미래사 박문호 박사 2011-03-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53 207 위대한 설계 file 박문호 2011.01.27 13045 스티븐 호킹 까치 국가 핵융합연구소 이경수 소장 2011-02-08 대전 유성구 가정동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52 219 자연과학 생명이란 무엇인가 4 file 관리자 2011.08.02 5752 에르빈 슈뢰딩거 궁리 엄준호 박사 2011-08-09 유성도서관 저녁 7시
51 193 프레시지옹 6 file 박문호 2010.06.30 8462 르 코르뷔지에 동녘 김억중 교수 2010-07-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연구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50 227 자연과학 생명 40억년의 비밀 file 문경수 2011.11.18 6686 리처드포티 까치글방 문경수 2011-12-06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저녁 7시
49 231 문학예술 테마 현대미술 노트 5 file 송윤호 2012.02.03 6106 진 로버트슨, 크레이그 맥다니엘 공저 두성북스 미술비평가 김준기 (대전문화예술의전당 학예실장) 2012-02-14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저녁 7시
48 249 생각의 지도 1 file 이정원 2012.10.30 6587 진중권 천년의 상상 진중권 교수 2012-11-16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47 192 산소 file 박문호 2010.06.17 7316 닉 네인 파스칼 북스 박문호 2010-06-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46 198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file 박문호 2010.09.01 7933 사이먼 싱 영림 카디날 송용진 교수 2010-09-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45 293 문학예술 언어의 탄생 file 이정원 2014.09.26 4828 필립 리버만 글로벌콘텐츠 역자 김형엽 교수 2014-10-14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44 233 동의보감, 몸과 우주 그리고 삶의 비전을 찾아서 8 file 관리자 2012.02.29 5249 고미숙 그린비 고미숙 박사 2012-03-13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저녁 7시
43 208 마리 퀴리의 위대한 유산 - 방사선과 현대생활 file 박문호 2011.02.17 10183 앨런 월터 미래의 창 김계령 박사(한국원자력연구원) 2011-02-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42 211 길들은 다 일가 친척이다 5 file 박문호 2011.03.26 13781 함민복 현대문학 함민복 시인 2011-04-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소강당 저녁 7시
41 236 피로사회 12 file 관리자 2012.04.12 5962 한병철 문학과지성사 박성일 원장 (장소: 백북스홀) 2012-04-24 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40 237 김수영을 위하여 7 file 관리자 2012.04.25 5763 강신주 천년의상상 저자 강신주 (장소: 유성도서관) 2012-05-08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39 246 창의성의 또다른 이름 트리즈(TRIZ) 2 file 김형렬 2012.09.16 4760 김효준 인피니티북스 김효준 소장 2012-09-26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38 251 내 눈 속의 한의학 혁명 file 김형렬 2012.11.30 7064 박성일 천년의상상 박성일 원장 2012-12-11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37 232 삶의 정도 3 file 이정원 2012.02.16 5287 윤석철 위즈덤하우스 현영석 교수 2012-02-28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36 254 누구와 함께 살 것인가 file 관리자 2013.02.05 5310 또 하나의 문화 또 하나의 문화 김억중 교수 2013-02-12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35 234 공감의 시대 6 file 관리자 2012.03.14 5536 제레미 리프킨 민음사 김갑중 원장 2012-03-27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34 238 남극은 왜? 3 file 관리자 2012.05.09 5960 장순근 지성사 장순근 박사 (장소: 백북스홀) 2012-05-25 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33 255 서양미술사 철학으로 읽기 4 file 이정원 2013.02.15 7170 조중걸 한권의책 조중걸 2013-02-27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32 247 닥터스 씽킹 (How Doctors Think) 3 file 김형렬 2012.09.29 4703 제롬 그루프먼 해냄 김대경 교수 2012-10-09 유성도서관, 3층 저녁 7시
31 252 여행하는 인문학자 7 file 김형렬 2012.12.28 6527 공원국 민음사 공원국 저자 2013-01-08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30 253 우린 마을에서 논다 3 file 관리자 2013.01.11 7301 유창복 또하나의문화 저자 유창복 2013-01-22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29 259 예수전 4 file 이정원 2013.04.12 4713 김규항 돌베개 김규항 저자 2013-04-23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28 304 인문사회 거창고 아이들의 직업을 찾는 위대한 질문 2 file 김홍섭 2015.03.20 1070 강현정,전성은 공저 메디치미디어 강현정(교육전문기자) 2015-03-24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27 260 문학예술 아다지오 소스테누토 file 이정원 2013.04.30 4539 문학수 돌베개 문학수 (음악평론가) 2013-05-14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저녁 7시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