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조회 수 25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458
저자 클라우디아 골딘
출판사 생각의힘
발표자 책밤지기 : 유정훈 변호사
일자 2022-10-25
장소 이도저도
시간 오후 7:15

1.JPG

 

<책소개>

 

성별 임금 격차라는 고질적인 사회적 이슈의
원인을 분석하고 해결책을 제시한 기념비적 저작!


하버드 경제학과 여성 최초의 종신 교수, 클라우디아 골딘(Claudia Goldin)의 최신간 『커리어 그리고 가정Career and Family』이 출간되었다. 노벨 경제학상 후보로 늘 거론되는 경제학자이지만 국내에 저서가 번역되어 소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골딘 교수는 주로 역사적 고찰을 통해 현재 이슈들의 기원을 탐구하는데 성별 소득 격차, 여성 노동력, 소득 불평등, 기술 변화, 교육, 이민 등 다양한 주제를 연구해 왔다. 이번에 출간된 『커리어 그리고 가정』에서는 평생 연구해 온 성별 소득 격차라는 문제의 원인을 밝히면서 그 해결책을 제시했다. 저자는 지난 100여 년간의 미국의 대졸 여성들을 다섯 세대로 나누어 분석해 성별 임금 격차를 추격해 나가는데, 2017년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이자『넛지』의 공저자인 리처드 세일러는 이를 두고 “역사 소설과 같은 대작을 통해 완벽한 답을 제시한다”고 극찬했다.

 

 

<저자소개 : 클라우디아 골딘>

 

하버드 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경제사학자이자 노동경제학자로서, 역사적 고찰을 통해 현재 이슈들의 기원을 탐구하면서 여성 노동력, 성별 소득 격차, 소득 불평등, 기술 변화, 교육, 이민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1990년에 하버드 대학교 경제학과 최초로 여성 종신 교수로 임명되었다. 2013년에는 전미경제학회AEA 회장을 역임했다. 1989년부터 2017년까지 전미경제연구소(NBER)의 ‘미국 경제 발전(Development of the American Economy)’ 프로그램의 디렉터를 지냈으며 현재 NBER ‘경제에서의 젠더(Gender in the Economy)’ 연구 그룹을 공동으로 이끌고 있다. 저서로 《젠더 갭의 이해: 미국 여성 경제사(Understanding the Gender Gap: An Economic History of American Women)》, 《결정적 순간: 대공황과 20세기 미국 경제(The Defining Moment: The Great Depression and the American Economy in the Twentieth Century)》(공저) 등이 있으며, 《교육과 기술의 경주(The Race between Education and Technology)》(공저)로 2008년 R.R. 호킨스 학술상(R.R. Hawkins Award)을 수상했다.

 

 

<책밤지기 : 유정훈 변호사>

 

변호사. 서울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하고, 김&장 법률사무소(2006~2013년)에서 기업자문 변호사로 일했다. 2015년 3월, 법률가로서 인생의 시즌 2를 이제부터 다시 시작한다는 마음으로, 그리고 모두[諸]에게 이로운[利] 새로운 차원의 법률서비스를 개척하기 위해, 같은 꿈을 꾸는 사람들과 ‘법률사무소 이제(利諸)’를 창업하여 열심히 뛰고 있다. 독실한 기독교인을 자처하지만, 제도권 교회에 소속되는 것은 거부하며 아예 돌아갈 생각도 없다는, 얼핏 보면 모순된 소신을 3년 넘게 지켜오고 있다. 말러 교향곡이나 바그너 오페라 같은 과장되고 과격한 클래식 음악을 무척이나 좋아한다. 바쁘게 생활 하면서도 틈틈이 페이스북에 음식 사진을 올리며 잡문(雜文) 쓰는 것을 끊지 못하는 도전을 즐기는 상남자.

 

 

<책밤지기 추천도서 목록>

 

(1) 클라우디아 골딘, <커리어 그리고 가정>, 생각의힘

하버드 경제학과 교수 클라우디아 골딘에 따르면, 성별 소득 격차는 더 이상 제도적 장벽 때문도 아니고 여성에 대한 부당한 편견과 차별 때문만도 아니다. 여성의 커리어 실현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은 바로 가정 내 성 역할. 결혼하고 아이 있는 여성이 남성과의 경쟁에서 이기는 것은 어렵고, 커리어를 살리려는 여성은 결혼과 출산을 선택할 이유가 없다. 그렇다면 결혼과 자녀를 꿈꾸는 남성이라면 무엇을 해야 할까요?

(2) 윤영호/윤지영, <우리는 침묵할 수 없다>, ㅁ(미음)

세계의 여성 17명의 우크라이나 전쟁과 삶에 대한 이야기를 담은 인터뷰집. 반전이나 평화를 애써 외치지 않아도, 전쟁을 겪어내는 실제 사람들의 증언만으로도 알 수 있다. 이런 사람들이 있는 한 전쟁은 러시아의 생각대로 끝나기 어렵다는 것을. 현실주의 관점에서 푸틴의 승리를 예견하는 사람들은 왜 강대국이 다른 나라 사람들을 굴복시키지 못했던 차고 넘치는 사례는 생각하지 않을까. "인터뷰에서 질문 뒤에 답변이 이어지는 것처럼, 이 책 자체가 새로운 질문이 되고 독자 각자의 해답이 이어지길 바란다." (머리말, 8페이지)

(3) 브루스 왓슨, <프리덤 서머, 1964>, 삼천리

1964년 6월 미국 남부 미시시피 주에서 흑인들이 유권자 등록을 하고 제대로 시민권을 행사하도록 고취하기 위해 일어난 'Freedom Summer' 운동을 다룬 논픽션. 민권운동은 지나간 역사가 아니다. 해결되지 않은 미국의 인종차별 뿐만 아니라, 트럼프 같은 사람들이 민주주의를 파괴하는 여러 나라, 공정의 역습, 페미니즘에 대한 백래시가 몰아치는 지금 한국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책의 부제인 '미시시피를 불타게 하고 미국에 민주주의를 가져온 1964년의 야만적 계절' 자체가 많은 것을 알려 준다.

(4) 앤디 위어, <프로젝트 헤일메리>, 알에이치코리아

'헤일메리 패스'는 미국 풋볼에서 경기 마지막에 지고 있는 팀이 마지막 승부 혹은 될 대로 되라는 심정으로 한방을 노리고 공을 던져넣는 것을 말한다. 주인공이 성공 확률은 극히 낮지만 시도하지 않을 수는 없는 과업에 나섰다는 것을 드러내고, 한편으로 그게 먹혔다는 것을 암시한다. 영화로도 만들어진 <마션>의 작가 앤디 위어의 매력적인 신작. 당신이 지구를 구할 수 있는 혹은 구해야 하는 단 한 사람이 되었다면, 무엇을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백북스 시즌2 책밤 소개>

https://www.notion.so/f36b20bed246443b883c9345735ac57d

5.jpg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401 221 이준연 아동문학 50년 2 file 강신철 2011.08.31 6089 이은하 국학자료원 이은하 교수 2011-09-15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7시
400 130 인문사회 만들어진 신 4 file 박문호 2007.11.17 6063 리처드 도킨스 김영사 도정일 2007-11-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99 281 자아폭발 - 타락 file 유화현 2014.03.15 6057 스티브 테일러(Steve Taylor) 다른세상 이병록 교수님(동명대) 2014-03-25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홈플러스탄방점 맞은편)) 오후 7시
398 236 피로사회 12 file 관리자 2012.04.12 5966 한병철 문학과지성사 박성일 원장 (장소: 백북스홀) 2012-04-24 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397 238 남극은 왜? 3 file 관리자 2012.05.09 5962 장순근 지성사 장순근 박사 (장소: 백북스홀) 2012-05-25 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396 274 식물은 알고 있다 1 file 유화현 2013.11.27 5862 대니얼 샤모비츠 (Daniel Chamovitz) 다른 류충민 박사(감수자) 2013-12-10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 7시
395 226 정재승+진중권 크로스 3 file 강신철 2011.11.10 5839 정재승, 진중권 웅진지식하우스 진중권 2011-11-17 중구문화원 오후 7시
394 1 끝없는 도전과 용기 file 관리자 2003.06.21 5834 젝 웰치 청림 2002-06-04
393 272 식탁 위의 한국사 4 file 유화현 2013.10.25 5826 주영하 교수 휴머니스트 주영하 교수 2013-11-13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392 124 자연과학 생명 최초의 30억년 file 박문호 2007.08.09 5774 앤드류 놀 뿌리와이파리 이진석 회원 2007-08-2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91 219 자연과학 생명이란 무엇인가 4 file 관리자 2011.08.02 5764 에르빈 슈뢰딩거 궁리 엄준호 박사 2011-08-09 유성도서관 저녁 7시
390 237 김수영을 위하여 7 file 관리자 2012.04.25 5763 강신주 천년의상상 저자 강신주 (장소: 유성도서관) 2012-05-08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389 228 생강 발가락 file 관리자 2011.12.07 5746 권덕하 애지 권덕하 시인 2011-12-20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오후7시
388 165 기타 마음 거울 2 file 박문호 2009.04.30 5725 청안스님 김영사 청안스님 2009-05-11 오후 7시 |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387 137 기타 한국의 이공계는 글쓰기가 두렵다 file 박문호 2008.02.27 5722 임재춘 북코리아 임재춘 교수 2008-03-1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86 269 초파리의 기억 3 file 관리자 2013.09.12 5709 조너던 와이너 이끌리오 김우재 박사 2013-09-24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385 138 문학예술 나는 문학에서 건축을 배웠다 file 박문호 2008.03.12 5678 김억중 동녘 김억중 교수 2008-03-25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84 135 문학예술 한시로 읽는 우리 문학사 4 file 강신철 2008.01.23 5669 김갑기 새문사 김갑기 2008-02-1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83 139 문학예술 현대음악사 file 박문호 2008.03.26 5654 폴그리피스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박순희 교수 2008-04-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82 142 인문사회 조선인 60만 노예가 되다 file 박문호 2008.05.15 5636 주돈식 학고재 이석봉 2008-05-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81 136 자연과학 과학의 새로운 언어, 정보 file 박문호 2008.02.14 5597 한스 베이어 승산 고원용 박사 2008-02-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80 150 신의 입자를 찾아서 file 박문호 2008.09.10 5577 이종필 마티 이종필 박사 2008-09-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79 133 자연과학 상대성 이론 1 file 박문호 2008.01.01 5560 차동우 북스힐 박문호 2008-01-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78 234 공감의 시대 6 file 관리자 2012.03.14 5540 제레미 리프킨 민음사 김갑중 원장 2012-03-27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377 148 문학예술 그림같은 세상 2 file 박문호 2008.08.13 5527 황경신 아트북스 황경신 2008-08-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76 141 문학예술 한국의 디자인1,2 file 박문호 2008.04.24 5526 김영철 외 시지락 김영철 교수 2008-05-1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75 243 이방인 6 file 관리자 2012.07.29 5524 알베르 카뮈 민음사 강현욱 작가 2012-08-07 유성도서관 3층 오후 7시
374 288 구글 신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 file 유화현 2014.06.26 5517 정하웅,김동섭,이해웅 사이언스북스 정하웅 교수(저자) 2014-07-08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373 147 기타 위트로 읽는 위트 file 박문호 2008.07.25 5511 류종영 유로서적 류종영 교수 2008-08-1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72 129 문학예술 열하광인 file 박문호 2007.10.27 5496 김탁환 민음사 김탁환 2007-11-1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71 117 원효의 대승기신론 소. 별기 file 박문호 2007.05.03 5476 은정희 일지사 박문호 2007-05-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70 267 물리주의 file 유화현 2013.08.17 5471 김재권 아카넷 엄준호 박사님 2013-08-27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369 149 인문사회 의미의 논리 file 박문호 2008.08.27 5469 이정우 한길사 이정우 박사 2008-09-0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68 153 착한인생 file 박문호 2008.10.29 5468 박경철 리더스 박경철 2008-11-1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67 229 나는 아이폰 아이패드 앱으로 음악한다 3 file 강신철 2011.12.31 5459 이진호 코드미디어 이진호 2012-01-10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오후7시
366 248 머물지 마라 그 아픈 상처에 4 file 이정원 2012.10.12 5449 허허당 스님 예당 허허당 스님 2012-10-23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오후 7시
365 156 문학예술 엄마와 나 file 강신철 2008.12.10 5445 박기범 보리 박기범 2008-12-23 대전시립미술관
364 240 그리스인 조르바 1 file 한빛찬 2012.06.17 5436 카잔차키스 저 |이윤기 역 |열린책들|2009.12.20 도예작가 변승훈 2012-06-26 백북스홀 (대전 서구 탄방동 747 박성일한의원 6층) 7시
363 159 마음의 기원 file 박문호 2009.02.02 5431 데이비드 버스 나노미디어 주명진 원장 2009-02-10
362 123 인문사회 세상을 바꾼 문자, 알파벳 file 박문호 2007.07.25 5406 존 맨 예지 정원수 2007-08-0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