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조회 수 23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453
저자 김정후
출판사 21세기북스
발표자 책밤지기 : 유정미(대전대 교수 및 이유출판 대표)
일자 2022-08-09
장소 이도저도
시간 오후 7:15

2.JPG

 

<책소개>

 

버려진 산업유산이 열린 공공공간으로 바뀌고
낙후됐던 동네가 지역 경제를 살리는 구심점이 되기까지!
전 세계의 롤 모델이 된 런던 도시재생의 비밀

런던은 도시재생의 출발지다. 15세기를 전후로 이미 명성과 부를 축적한 런던은 18세기 산업혁명 이후 발전을 거듭해 20세기에 번영의 정점에 있었다. 그러나 20세기 후반, 산업구조의 변화로 여러 지역이 쇠퇴하고 낙후되어갔다. 산업 시대의 영광이었던 발전소는 도시 경관의 방해꾼이 되었고, 교통 허브로서의 위상을 떨치던 기차역과 지역 경제를 이끌던 재래시장은 런던의 남북과 동서의 지역적 불균형을 가속화하는 흉물이 되고 말았다.

그러나 오늘날 이들은 영국 도시재생을 대표하는 작품으로 거듭났다. 살 수도, 머무를 수도, 걸을 수도 없던 황폐한 장소들은 어떻게 반전을 이루었을까? 이 책에서는 20세기 후반부터 도시의 풍경을 변화시켜온 런던 도시재생의 사례 10곳을 소개하고 위치, 규모, 기능, 역할, 성격 등 상황과 조건이 다른 이들이 어떻게 시민들에게 열린 공공공간으로 거듭날 수 있었는지를 이야기한다.

도시의 쇠퇴는 필연적이다. 그러므로 이를 정확히 이해하고, 바른 해법을 찾는 것이야말로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드는 핵심이다. 그런 면에서 런던이 거쳐온 도시재생의 치열한 역사와 교훈적인 사례들을 살펴보는 노력은 우리 도시의 재생을 위한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는 점에서 충분히 가치 있는 일이다. 런던이 런던답게 도시재생을 이루었듯이 우리 또한 우리 도시다운 미래를 그려볼 수 있는 것이다.

 

 

<저자소개 : 김정후>

 

건축가이자 도시사회학자인 그는 건축가로는 예외적으로 도시학, 사회학, 지리학을 넘나들며 도시와 건축의 본질을 탐구한다. 특히 ‘뒤집어 보기, 다르게 보기, 바르게 보기’라는 나름의 관점으로 세상을 탐구하며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 중이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지난 2003년부터 현재까지 영국에서 활동하면서도 ‘한겨레신문’, ‘서울신문’, ‘코리안 위클리’ 등을 포함한 다양한 매체에 도시·건축·디자인·정치·사회·문화 등에 관한 글을 꾸준히 기고해왔고, 최근에는 한국과 영국을 오가며 서울시를 포함해 지방자치단체의 도시·건축·디자인 정책과 프로젝트를 자문하고, 연구를 진행 중이다.
경희대학교 건축공학과에서 학부와 석사를 마친 후 영국 배스대학(University of Bath) 건축과 박사과정을 거쳐, 런던정경대학(LSE) 사회학과에서 런던의 도시재생에 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동안 펴낸 책으로는 『작가정신이 빛나는 건축을 만나다』(2005, 서울포럼), 『유럽건축 뒤집어보기』(2007, 효형출판), 『유럽의 발견』(2010, 동녘) 등이 있고, ‘제32회 경기건축대전 대상’과 현실비평연구소 주최 ‘제2회 비평상 공모전 건축부문 1등’을 수상했다.
스튜디오 오엔이(O?N?E)와 런던정경대학에서 일했고, 지금은 런던대학(UCL) 지리학과 도시연구 펠로우(Fellow)로서 유럽과 아시아 도시에 대해 강의 및 논문을 지도하면서 JHK 도시건축정책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이 외에도 동국대학교 건축과 겸임교수이자 인천발전연구원 연구자문관을 함께 맡고 있다.

 

 

<책밤지기 : 유정미(대전대 교수 및 이유출판 대표)>

 

유정미는 대전대학교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교수이며 이유출판 공동대표이다. 잡지디자이너로 출발해 출판디자이너, 브랜드 컨설턴트로 활동 중이다. 삶의 질을 높이는 일이 디자인의 최고선이라고 믿으며 이를 위한 실천에 깊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저서에는 『잡지는 매거진이다』, 『디자인이 브랜드와 만나다』, 『그래픽디자이너들』이 있다.

 

 

<책밤지기 추천도서 목록>

 

안녕하세요.

백북스 책밤에 책 추천을 요청받은 이유출판 유정미입니다.
저는 대전대학교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에서 학생들과 원도심을 아카이빙하는 <오! 대전>이란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원도심에서 낡고 오래된 것의 가치를 발견하여 책을 만들고 전시를 열고 있습니다. <오! 대전> 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로컬 크리에이터가 되기를 바랍니다. 로컬 크리에이터는 ‘시대의 전환과 지역의 변화를 만들어가는 이들로서 지역의 콘텐츠에 기반해 창의력과 기획력을 바탕으로 혁신적인 활동을 하는 사람’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백북스에 추천하는 네 권은 지역의 다양성을 만들어내는 로컬 크리에이터와 도시를 소개하는 책입니다.


1. <지적자본론> 마스다 무네아키 지음, 2015, 민음사
카페형 문화 공간의 제안으로 서점계에 대변혁을 일으킨 츠타야 서점을 기획한 마스다 무네아키의 경영철학을 담은 책입니다. 책을 읽고 연관된 음악을 듣고, 관련 상품을 사는 행위가 한 장소에서 이루어지도록 설계한 것이 츠타야 서점의 핵심 개념입니다. 지적 자본의 시대에 모든 사람이 기획자, 디자이너가 될 수 있다면 삶의 질이 달라질 수 있음을 역설하고 있습니다.

2. <런던에서 만난 도시의 미래> 김정후 지음, 2020, 21세기북스
런던은 폐기된 산업 유산을 공공의 문화 공간으로 바꾸고, 낙후된 동네를 지역 경제의 구심점이 되게 만들며 도시재생에서 전 세계의 롤 모델이 된 도시입니다. 도시의 풍경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킨 런던 도시재생의 사례 10곳을 소개하며 상황과 조건이 다른 동네가 어떻게 시민들에게 열린 공간으로 거듭날 수 있었는지를 알려주고 있습니다. 런던이 거쳐온 도시재생의 치열한 역사와 사례를 살펴보며 우리 도시의 재생을 위한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3. <책 문화 공간과 도시재생> 최준란 지음, 2017, HUINE
이제 홍대 앞은 창의적이고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가로길의 상징이 되었습니다. 홍대 앞이 지금과 같은 모습을 갖게 된 일련의 과정과 홍대 앞만의 독특한 문화, 특히 출판과 관련된 책 문화 공간의 특성을 조명하고 있습니다. 홍대 앞의 책 문화 공간을 살펴봄으로써 비산업적 도시재생의 의미를 분석하고 있습니다.

4. <젊은이들이 모여드는 산골기업, 군겐도를 말하다> 모리 마유미, 마쓰바 도미 지음, 2020, 이유출판
인구 500명의 쇠락한 산골 마을에서 100여 명의 청년 일자리를 창출한 군겐도 설립자 마쓰바 도미를 인터뷰한 대담집입니다. 남편 고향인 오모리 마을로 들어와 수작업 소품 일로 시작해 일본 전역 30여 개의 직영점을 낸 패션기업으로 성장한 군겐도를 일군 이야기입니다. 낡고 오래된 전통 가옥을 하나씩 고쳐 나가며 마을에 생기를 불어넣은 과정이 담겨있습니다. 우리의 도시재생이 관 주도적이고 개별 마을의 고유성을 살리지 못하는 면에서 창의적인 개인이 오래된 것의 가치를 살려 마을을 어떻게 바꾸는지 그 사례를 읽게 될 것입니다.

 

 

<백북스 시즌2 책밤 소개>

https://www.notion.so/f36b20bed246443b883c9345735ac57d

5.jpg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60 360 문학예술 미술의 집은 어디인가 file 이근완 2017.08.30 388 김병수 미술평론가 신원 김병수 미술평론가 2017-09-12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59 325 자연과학 세상물정의 물리학 file 이근완 2016.02.18 1412 김범준 교수(성균관대학교 물리학과) 동아시아 김범준 교수(성균관대 물리학과) 2016-02-23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58 338 문학예술 [취소되었습니다] 그림 영혼의 부딪힘(명화로 배우는 감정의 인문학) 1 file 이근완 2016.08.30 360 김민성 알에이치코리아 김민성 2016-09-27 대전 탄방역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57 370 인문사회 대리사회 file 이근완 2018.01.28 329 김민섭 와이즈베리 김민섭 2018-02-13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56 218 원자력 딜레마 1 file 강신철 2011.07.13 6977 김명자 사이언스 북스 김명자 전 환경부장관 2011-07-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후7시
55 372 문학예술 회색인간 file 관리자 2018.03.04 480 김동식 요다 김동식 & 김민섭 2018-03-1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54 247 닥터스 씽킹 (How Doctors Think) 3 file 김형렬 2012.09.29 4711 제롬 그루프먼 해냄 김대경 교수 2012-10-09 유성도서관, 3층 저녁 7시
53 51 서희 협상을 말하다 file 관리자 2004.07.29 3685 김기홍 새로운 제안 김기홍 2004-08-10
52 259 예수전 4 file 이정원 2013.04.12 4718 김규항 돌베개 김규항 저자 2013-04-23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51 362-363 인문사회 우리는 고독할 기회가 적기 때문에 외롭다 file 이근완 2017.09.28 358 김규항 알마 김규항 2017-10-10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19시 15분
50 208 마리 퀴리의 위대한 유산 - 방사선과 현대생활 file 박문호 2011.02.17 10187 앨런 월터 미래의 창 김계령 박사(한국원자력연구원) 2011-02-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49 371 인문사회 대한민국의 설계자들 file 관리자 2018.02.20 220 김건우 느티나무책방 김건우 교수 2018-02-27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48 140 자연과학 뷰티풀 마인드 2 file 박문호 2008.04.09 6293 실비아 네이사 승산 김갑중 원장 2008-04-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7 178 기억을 찾아서 2 file 박문호 2009.11.13 8003 에릭 캔델 랜덤하우스 김갑중 원장 2009-11-24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46 212 애착장애로서의 중독 file 강신철 2011.04.20 9046 필립 플로레스 저, 김갑중 박춘삼 역 NUN 김갑중 원장 2011-04-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후 7시
45 234 공감의 시대 6 file 관리자 2012.03.14 5540 제레미 리프킨 민음사 김갑중 원장 2012-03-27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44 297 고전의 향기에 취하다 file 강신철 2014.11.26 4330 김갑기 21세기북스 김갑기 교수 2014-12-09 백북스홀 7시30분
43 27 선비의 의식구조 file 관리자 2003.07.07 3891 이규태 신원문화사 김갑기 2003-07-22
42 135 문학예술 한시로 읽는 우리 문학사 4 file 강신철 2008.01.23 5668 김갑기 새문사 김갑기 2008-02-1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1 26 적극적 사고방식 1 file 관리자 2003.06.27 4104 노먼빈센트필 세종서적 기영석 교수 2003-07-08
40 57 성령, 민중의 생명 file 관리자 2004.10.23 3606 권진관 나눔사 권진관 2004-11-10
39 381 문학예술 신의 영혼 오로라 file 관리자 2018.07.13 236 권오철 씨네21북스 권오철 천체사진가 2018-07-24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8 78 기찬 하루 file 관리자 2005.09.04 3851 권오상 팬덤하우스 권오상 2005-09-27
37 48 재미있는 통계이야기 file 관리자 2004.06.09 4206 더렐 허프 청아출판사 권세혁 2004-06-22
36 185 아이투아이(itoi) 1 file 강신철 2010.03.03 8722 켄 윌버 저/김철수 역 대원출판 권선필 교수 2010-03-0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35 228 생강 발가락 file 관리자 2011.12.07 5746 권덕하 애지 권덕하 시인 2011-12-20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오후7시
34 207 위대한 설계 file 박문호 2011.01.27 13047 스티븐 호킹 까치 국가 핵융합연구소 이경수 소장 2011-02-08 대전 유성구 가정동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33 327 자연과학 외계생명체 탐사기 file 이근완 2016.03.09 1364 이명현, 문경수, 이유경 외 2명 저 서해문집 공저자 문경수 2016-03-22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32 252 여행하는 인문학자 7 file 김형렬 2012.12.28 6531 공원국 민음사 공원국 저자 2013-01-08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31 301 자연과학 불멸의 이론 file 김홍섭 2015.02.10 1008 샤론 버치 맥그레인 휴먼사이언스 고원용 박사 2015-02-10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화) 오후7시
30 136 자연과학 과학의 새로운 언어, 정보 file 박문호 2008.02.14 5597 한스 베이어 승산 고원용 박사 2008-02-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9 261 인류의 발자국 1 file 이정원 2013.05.17 4275 앤터니 페나 삼천리 고원용 박사 2013-05-28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28 324 자연과학 사피엔스(유인원에서 사이보그까지, 인간 역사의 대담하고 위대한 질문) file 이근완 2016.01.29 1600 유발 하라리 김영사 고원용 박사 2016-02-16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7 348 자연과학 인포메이션 인간과 우주에 담긴 정보의 빅히스토리 file 이근완 2017.02.20 287 제임스 글릭, 박래선, 김태훈 역 동아시아 고원용 2017-02-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6 303 인문사회 다시, 사람이다 file 강신철 2015.02.25 1285 고상만 책담 고상만 2015-03-10 백북스홀 오후7시
25 125 인문사회 니체의 위험한 책,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file 박문호 2007.08.26 5268 고병권 그린비 고병권 2007-09-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4 213 호모 코뮤니타스 4 file 강신철 2011.04.28 8445 고미숙 그린비 고미숙 박사 2011-05-11 한남대학교 경상대학 방촌홀 오후7시
23 233 동의보감, 몸과 우주 그리고 삶의 비전을 찾아서 8 file 관리자 2012.02.29 5258 고미숙 그린비 고미숙 박사 2012-03-13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저녁 7시
22 111 인문사회 나비와 전사 file 관리자 2007.01.24 4932 고미숙 휴머니스트 고미숙 2007-02-1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1 44 지식의 나무 file 관리자 2004.04.06 3994 피에르 레비 철학과 현실사 강형식 2004-04-2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