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자연과학
2022.06.20 18:25

[백북스시즌2 책밤37] 천개의 뇌

조회 수 29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450
저자 제프 호킨스
출판사 이데아
발표자 책밤지기 : 박성일 원장(박성일한의원)
일자 2022-06-28
장소 대전 백북스홀 (대전 탄방역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시간 오후 7:15

4.JPG

 

<책소개>

 

우리의 뇌 속에서 민주주의가 작동한다고?

『천 개의 뇌』는 미국의 신경과학자이자 컴퓨터 공학자인 제프 호킨스는 ‘지능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서 시작해, ‘뇌는 지능을 어떻게 만들어내는지’, ‘지금까지의 AI에는 왜 지능이 없는지’, ‘이 상황을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을지’, 나아가 ‘인류와 기계 지능의 미래는 어떻게 다가올지’를 풀어낸다. 책의 내용이 획기적이고 도발적이기에 세계적인 진화생물학자 리처드 도킨스는 저자를 “다윈을 닮은” 과학자에 비유한다. 그래서 이 책을 읽으면 “잠을 자는 대신에 밖으로 달려나가 누군가에게 이야기 하고 싶은 충동이 솟구칠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 빌 게이츠 또한 “진정한?AI를 만들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알고 싶은 당신에게 『천 개의 뇌』는 매우 흥미로운 이론을 선사할 것”이라며 2021년 ‘올해의 책’으로 꼽았다.

인간의 뇌는 ‘오래된 뇌’와 ‘새로운 뇌’로 나뉜다. ‘오래된 뇌’는 인간의 생존과 번식 등의 본능적 기능을 담당하고, 진화의 산물인 ‘새로운 뇌’는 ‘오래된 뇌’를 통제한다. 리처드 도킨스는 책의 서문에서 이를 통증과 연관 지어 비유한다. 뜨거운 숯덩이를 가지고 놀면 통증을 느끼고 생명을 지키기 위해 숯덩이를 멀리하는 것은 ‘오래된 뇌’이지만, 끔찍한 고통을 수반하는 고문을 기꺼이 견디며 자신의 생명보다 ‘조국을 배신하면 안 돼’라는 신념에 따르는 것은 ‘새로운 뇌’이다. 이 ‘새로운 뇌’가 인간의 지능을 만든다. 그렇다면 이 ‘새로운 뇌’는 어떻게 작동되는가?

책은 먼저 그동안의 뇌과학 연구 성과를 종합하며 뇌의 생물학적 구조를 설명한다. 핵심적인 내용은 이렇다. 뇌에서 가장 새로운 부분은 ‘신피질(NEOCORTEX)’이다. 인간을 비롯한 포유류에만 존재하며 인간의 신피질은 뇌 전체의 70%를 차지한다. 이 신피질이 지능을 만들며 머물게 한다. 신피질은 대략 쌀알 크기(2.5㎣)만한 공간에 신경세포가 10만 개 있으며, 이 신경세포들 사이의 연결(시냅스)은 5억 개이다. 이러한 쌀알 크기의 형태 하나를 ‘피질 기둥(CORTICAL COLUMN)’이라고 부른다. 신피질 전체에 이러한 피질 기둥이 15만 개나 있다. 신피질을 이루는 15만 개의 이 피질 기둥 하나하나가 서로 연결되어 세계를 인식하고 지능을 창조한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저자소개 : 제프 호킨스>

 

저자 : 제프 호킨스

신경과학자이자 컴퓨터 공학자인 제프 호킨스는 신경과학 연구 기업인 누멘타 NUMENTA와 레드우드신경과학연구소 REDWOOD NEUROSCIENCEINSTITUTE의 창립자이다. 핸드헬드 컴퓨팅 분야를 개척한 사람 중 한 명으로 꼽히며 미국 공학학술원 회원이다.
제프 호킨스는 지능은 무엇이고, 뇌는 지능을 어떻게 만들어내는지 질문하고 답을 찾는 데에 ‘천 개의 뇌’ 이론을 제안한다. 오늘날의?AI는 왜 지능이 없는지, 이 상황을 바꿀 방법은 무엇인지, 기계 지능과 인류의 미래는 어떻게 다가올지 설명하고 근거를 제시한다. 도발적이고 혁신적이기에 세계적인 진화생물학자인 리처드 도킨스는 이 책의 서문에서 제프 호킨스를 “다윈과 닮은” 과학자로 묘사한다.
국내에 출간된 저서로는 《생각하는 뇌, 생각하는 기계》가 있다.

역자 : 이충호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화학과를 졸업하고, 현재 과학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신은 왜 우리 곁을 떠나지 않는가》로 2001년 제20회 한국과학기술도서 번역상을 받았다. 옮긴 책으로 《뇌과학자들》, 《오리진》, 《통제 불능》, 《그러므로 나는 의심한다》, 《진화심리학》, 《사라진 스푼》, 《내 안의 유인원》, 《초파리》, 《루시퍼 이펙트》, 《동물의 생각에 관한 생각》, 《우주의 비밀》, 《미적분의 힘》, 《유전자는 네가 한 일을 알고 있다》 등이 있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책밤지기 : 박성일 원장(박성일한의원)>

 

대전 박성일한의원 원장.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을 졸업한 뒤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7년 세계응용홍채학회에 한국인 의사 최초로 참석하여 한국의학계에 홍채학자가 있음을 알렸고, 1998년 대한홍채의학회를 설립하여 회장으로 활동하면서 한국에서 홍채학 연구를 처음 시작하였고 20여년 이 지난 지금도 그 기반을 단단하게 다지고 있다.
그는 30여 년에 걸쳐 한의사 겸 한의학 연구자로 활동하면서 홍채학을 접목해 한의학의 과학화를 시도하고 있다. 여러 편의 논문 중에서 2009년 1월에 발표한 논문 〈사상의학의 뇌 과학적 해석과 RSIA(Response, Stimulus, Intelligence, Awareness) 홍채유전체질 분류를 통한 정신치료〉는 그런 노력의 결실이다. 이 논문에 따르면 홍채로 본 사람의 체질은 R, S, I, A 등 네 가지 타입으로 나뉘고, 이는 이제마의 사상체질로는 각각 소양인, 태음인, 소음인, 태양인에 해당한다. 박 원장은 “이 논문이 신경학을 기초로 한 홍채학이 동양의학과 만나는 지점을 설명하고 있다”며 “1894년에 이제마가 저술한 《동의수세보원》은 유전학과 뇌과학적 관점을 선험적으로 담고 있는 최초의 한의학서”라고 평가했다.
그의 ‘의학적 통섭’은 오래전부터 시작되었다. 경희대학교 한의대에서 한방내과를 전공하였고 수련 과정에서 양의사의 지도를 함께 받았다. 경희의료원 한방병원 동서의학센터의 수련의 과정을 통해 중풍신경을 공부하면서 뇌과학에도 관심을 가졌다.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교수를 그만둔 뒤 대전에서 한의원을 하면서도 대구한의과대학에서는 임상병리학을, 대전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에서는 심신치료학과 홍채학을 계속 강의하였다. 또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박문호 박사(《뇌, 생각의 출현》저자) , 뇌과학 분야의 전문가인 가천의과학대학의 조장희 박사 등과 교류하면서 뇌과학 분야의 전문적 지식을 쌓아왔다.
그는 한국 최고의 북클럽 ‘백북스(100Books)’ 대표로 활동하면서 인문학, 자연과학, 사회과학 등의 학습모임과 강연에 참가하고 각종 세미나를 듣고, 강의를 하기도 한다. 현재는 박성일한의원(대전 소재) 원장으로 활동하면서 환자들과 깊고 넓은 교감을 나누고 있다. 의사로서 박성일은 홍채를 통해 병을 살펴 정확한 진단을 내리는 명의이지만, 평상시의 그는 눈을 맞추며 상대의 마음을 헤아리고 마음을 터놓고 만날 수 있는 보통의 이웃사람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책밤지기 추천도서 목록>

 

1. 루드비히 비트겐슈타인 천재의 의무 / 레이뭉크

비트겐슈타인은 철학자 이전에 엔지니어였고 철학자가 된 후에도 군인, 교사, 정원사, 건축가였다. 외면적으로는 고작 아마추어 철학자로 보이지만, 그의 내면으로 찾아온 철학의 문제들을 그는 인류 전체의 숙제를 풀듯 마치 고문과도 같은 삶을 살았다. 그 결과 철학을 끝낸 철학자라 불리운다. 비트겐슈타인은 ‘타임’지가 선정한 20세기의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100명에 속한 유일한 철학자다. 그의 전기를 읽는 일은 경건 그 자체가 된다.

2. 나스타샤 / 조지수

우크라이나에서 온 난민 여성 나스타샤를 만나면서 사랑하게 되고, 얽히면서 겪는 운명에 대한 한 남자의 자세를 보여준다. 철학, 예술, 역사, 논리학, 언어학 등 다양한 인문 분야를 넘나드는 해박한 지식과 통찰을 바탕으로 이미 스무 권이 넘는 인문서를 집필한 예술사 전공의 조중걸 교수의 첫 장편 소설. 사랑, 우정, 삶에 대한 성찰이 건조하게 표현되면서 현대소설의 진수를 보여 준다.

3. 마르케스의 서재에서 / 탕누어

저자인 대만의 탕누어는 문화평론가이자 출판인이지만, 그는 스스로를 전문 독자(professional reader)라고 한다. 그의 아내이자 타이완에서 최고의 명성을 누리고 있는 소설가 주톈신과 함께 매일 아침 단골 카페로 출근하여 아침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책읽기와 글쓰기로 하루를 보낸다. 반세기에 걸친 집중적인 책읽기로부터 얻은 지혜와 소회, 질의와 한탄, 유머 그리고 그 밖의 모든 것을 옛날 이야기 하듯 들려주는 묵직하고 아름다운 독서론.

4. 천개의 뇌 / 제프 호킨스

이론신경과학자인 저자의 결기와 통찰은 대단하다. 뇌에 관한 일관된 이론을 구성하기로 결정하고 성공에 이른다. 그 과정을 상세히 보고하는 인문학 다큐같은 최고의 뇌과학책. 그는 뇌이론이 중고교 핵심 교과 과정에 들어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지난 수십년간 뇌과학 실험 결과들을 무용하게 만드는 용기와 세계에 관한 새로운 인식을 뇌 피질기둥을 통해 전도하고 싶어한다. 그는 마치 세상을 구원하러 두번째 진화론의 찰스 다윈이다.

 

<백북스 시즌2 책밤 소개>

https://www.notion.so/f36b20bed246443b883c9345735ac57d

5.jpg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227 205 소셜 네트워크 e혁명 1 file 강신철 2010.12.29 10854 매튜 프레이저, 수미트라 두타 공저/최경은 역 행간 유창선 평론가 2011-01-1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226 303 인문사회 다시, 사람이다 file 강신철 2015.02.25 1285 고상만 책담 고상만 2015-03-10 백북스홀 오후7시
225 214 달마는 서쪽에서 오지 않았다 file 강신철 2011.05.12 6125 보리 달마 저/덕산 스님 역 비움과 소통 덕산 스님 2011-05-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224 216 공론장의 구조변동 file 강신철 2011.06.18 8161 위르겐 하버마스 나남 김준기 대전시립미술관 학예실장 2011-06-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223 218 원자력 딜레마 1 file 강신철 2011.07.13 6977 김명자 사이언스 북스 김명자 전 환경부장관 2011-07-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후7시
222 221 이준연 아동문학 50년 2 file 강신철 2011.08.31 6088 이은하 국학자료원 이은하 교수 2011-09-15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7시
221 225 블랙홀 전쟁 4 file 강신철 2011.10.26 7283 레너드 서스킨드 - 이종필역 사이언스 북스 이종필 박사 2011-11-08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오후7시
220 229 나는 아이폰 아이패드 앱으로 음악한다 3 file 강신철 2011.12.31 5459 이진호 코드미디어 이진호 2012-01-10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오후7시
219 241 그림과 눈물 3 file 김홍섭 2012.07.02 4707 제임스 엘킨스 아트북스 정은영 교수(한남대 예술문화학과) 2012-07-10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7시
218 242 꽃봇대 1 file 김홍섭 2012.07.13 5022 함민복 대상 함민복 시인 2012-07-22 계족산 숲속 야외 무대 오후4시~6시
217 290 진중권의 이미지 인문학 1 file 유화현 2014.07.24 6271 진중권 천년의상상 진중권 작가 2014-08-12 대전시립미술관 1층 대강당 오후 7시-9시
216 306 문학예술 키워드로 읽는 현대 미술 file 이정원 2015.04.20 1118 허나영 미진사 저자 허나영 2015-04-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15 308 인문사회 그림자 여행 file 이근완 2015.05.23 1311 정여울 추수밭 저자 정여울 2015-05-26 백북스홀 (대전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14 331 문학예술 베토벤: 불굴의 힘 file 유화현 2016.05.13 1476 필리프 A. 오텍시에 저/박은영 역 시공사 오혁준 (객석 음악평론가) 2016-05-31 클라라하우스 (대전 도룡동) 오후 7시 15분
213 341 자연과학 김상욱의 과학공부 file 이근완 2016.10.29 259 김상욱 동아시아 김상욱 2016-11-0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12 354 인문사회 문명 안으로 : 문명 개념의 형성과 한자문화권의 번역 과정(문명이란 무엇인가?) 1 file 이근완 2017.05.29 354 박노자, 김헌, 안성찬, 김월회, 이혜경, 안연희, 우효경, 김민정, 성해영 한길사 안성찬(공동저자,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 2017-06-13 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오후 7시 15분
211 380 인문사회 등대의 세계사 file 관리자 2018.06.29 257 주강현 서해문집 주강현 2018-07-10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10 403 자연과학 욕망이 멈추는 곳, 라오스 file 조수윤 2019.08.21 279 오소희 북하우스 김현옥(한국항공우주연구원 선임연구원) 2019-08-27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09 307 인문사회 모델링 file 강신철 2015.05.04 1246 강신철 글누리 강신철 2015-05-12 백북스홀 (대전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08 333 문학예술 반 룬의 예술사 1 file 이근완 2016.06.18 688 헨드릭 빌렘 반 룬 들녘 오병권 (대전문화예술의전당 관장) 2016-06-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07 336 자연과학 뉴튼의 프린키피아 file 관리자 2016.08.02 290 안상현 동아시아 안상현 박사 2016-08-09 대전 탄방역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06 337 자연과학 미토콘드리아(박테리아에서 인간으로, 진화의 숨은 지배자) file 이근완 2016.08.11 370 닉 레인, 김정은 역 뿌리와이파리 김순하 (LG생명과학연구소) 2016-08-23 대전 탄방역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05 310 자연과학 시간 연대기 file 이근완 2015.06.30 1385 애덤 프랑크 저/고은주 역 에이도스 부산대 물리교육과 김상욱교수 2015-07-14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04 338 문학예술 [취소되었습니다] 그림 영혼의 부딪힘(명화로 배우는 감정의 인문학) 1 file 이근완 2016.08.30 360 김민성 알에이치코리아 김민성 2016-09-27 대전 탄방역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03 311 문학예술 통찰의 시대 (뇌과학이 밝혀내는 예술과 무의식의 비밀, The Age of Insight) file 이근완 2015.07.17 1363 에릭 캔델 저 /이한음 역 알에이치코리아 이정원(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임연구원) 2015-07-28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02 312 인문사회 뇌처럼 현명하게 file 이근완 2015.08.03 1212 패트리샤 처칠랜드 저/박제윤 역 자연과 철학사 박제윤 철학박사 2015-08-11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01 338 기타 시간을 정복한 남자 류비셰프 1 file 관리자 2016.09.26 328 다닐 알렉산드로비치 그라닌 황소자리 이정원 (에트리 선임연구원) 2016-09-27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00 313 인문사회 상처받은 내면아이 치유 file 이근완 2015.08.16 1229 존 브래드쇼 학지사 김영돈(정신건강의학 전문의) 2015-08-25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99 342 인문사회 중국을 만들고 일본을 사로잡고 조선을 뒤흔든 책 이야기(삼국지 박사 이은봉의 한중일 삼국지 문화사) file 이근완 2016.11.11 377 이은봉 천년의 상상 이은봉 2016-11-22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98 345 인문사회 습관의 힘 반복되는 행동이 만드는 극적인 변화 file 이근완 2016.12.31 453 찰스 두히그/ 강주헌 번역 갤리온 오진법사 2017-01-10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97 355 문학예술 작은 집 1 file 이근완 2017.06.21 281 르 코르뷔지에(건축가) 저 이관석 역 열화당 김억중(한남대학교 교수) 2017-06-27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96 357 자연과학 믿음의 엔진 1 file 이근완 2017.07.23 281 루이스 월퍼트 저 / 황소연 역 에코의 서재 송호준 (망원동 인공위성, F학점 공대생) 2017-07-25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95 358 자연과학 히든 피겨스 file 이근완 2017.08.03 273 마고 리 셰털리 동아엠앤비 임석희(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17-08-08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94 359 인문사회 세상의 끝, 남미 파타고니아 KBS 영상앨범 산 포토 에세이 첫 번째 기록 file 이근완 2017.08.17 297 김석원, 이상은, 이지원 공저 에이디미디 이상은(산악사진가) 2017-08-22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93 360 문학예술 미술의 집은 어디인가 file 이근완 2017.08.30 388 김병수 미술평론가 신원 김병수 미술평론가 2017-09-12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92 369 문학예술 손으로 쓰고 그린 호주 40일 file 관리자 2018.01.12 279 밥장 시루 밥장 (일러스트레이터) 2018-01-2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91 329 자연과학 인공지능과 딥러닝 (인공지능이 불러올 산업 구조의 변화와 혁신) file 이근완 2016.04.14 1265 마쓰오 유타카 박기원 역 동아엠앤비 이정원(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임연구원) 2016-04-26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90 370 인문사회 대리사회 file 이근완 2018.01.28 329 김민섭 와이즈베리 김민섭 2018-02-13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89 330 문학예술 그림이 된 여인 file 이근완 2016.04.28 1323 허나영(미술평론가) 은행나무 허나영(미술평론가) 2016-05-10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88 332 자연과학 중력파, 아인슈타인의 마지막 선물 file 이근완 2016.06.02 981 오정근(국가수리과학연구소(NIMS) 선임연구원) 동아시아 오정근(국가수리과학연구소(NIMS) 선임연구원) 2016-06-14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