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자연과학
2022.06.20 18:25

[백북스시즌2 책밤37] 천개의 뇌

조회 수 27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450
저자 제프 호킨스
출판사 이데아
발표자 책밤지기 : 박성일 원장(박성일한의원)
일자 2022-06-28
장소 대전 백북스홀 (대전 탄방역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시간 오후 7:15

4.JPG

 

<책소개>

 

우리의 뇌 속에서 민주주의가 작동한다고?

『천 개의 뇌』는 미국의 신경과학자이자 컴퓨터 공학자인 제프 호킨스는 ‘지능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서 시작해, ‘뇌는 지능을 어떻게 만들어내는지’, ‘지금까지의 AI에는 왜 지능이 없는지’, ‘이 상황을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을지’, 나아가 ‘인류와 기계 지능의 미래는 어떻게 다가올지’를 풀어낸다. 책의 내용이 획기적이고 도발적이기에 세계적인 진화생물학자 리처드 도킨스는 저자를 “다윈을 닮은” 과학자에 비유한다. 그래서 이 책을 읽으면 “잠을 자는 대신에 밖으로 달려나가 누군가에게 이야기 하고 싶은 충동이 솟구칠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 빌 게이츠 또한 “진정한?AI를 만들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알고 싶은 당신에게 『천 개의 뇌』는 매우 흥미로운 이론을 선사할 것”이라며 2021년 ‘올해의 책’으로 꼽았다.

인간의 뇌는 ‘오래된 뇌’와 ‘새로운 뇌’로 나뉜다. ‘오래된 뇌’는 인간의 생존과 번식 등의 본능적 기능을 담당하고, 진화의 산물인 ‘새로운 뇌’는 ‘오래된 뇌’를 통제한다. 리처드 도킨스는 책의 서문에서 이를 통증과 연관 지어 비유한다. 뜨거운 숯덩이를 가지고 놀면 통증을 느끼고 생명을 지키기 위해 숯덩이를 멀리하는 것은 ‘오래된 뇌’이지만, 끔찍한 고통을 수반하는 고문을 기꺼이 견디며 자신의 생명보다 ‘조국을 배신하면 안 돼’라는 신념에 따르는 것은 ‘새로운 뇌’이다. 이 ‘새로운 뇌’가 인간의 지능을 만든다. 그렇다면 이 ‘새로운 뇌’는 어떻게 작동되는가?

책은 먼저 그동안의 뇌과학 연구 성과를 종합하며 뇌의 생물학적 구조를 설명한다. 핵심적인 내용은 이렇다. 뇌에서 가장 새로운 부분은 ‘신피질(NEOCORTEX)’이다. 인간을 비롯한 포유류에만 존재하며 인간의 신피질은 뇌 전체의 70%를 차지한다. 이 신피질이 지능을 만들며 머물게 한다. 신피질은 대략 쌀알 크기(2.5㎣)만한 공간에 신경세포가 10만 개 있으며, 이 신경세포들 사이의 연결(시냅스)은 5억 개이다. 이러한 쌀알 크기의 형태 하나를 ‘피질 기둥(CORTICAL COLUMN)’이라고 부른다. 신피질 전체에 이러한 피질 기둥이 15만 개나 있다. 신피질을 이루는 15만 개의 이 피질 기둥 하나하나가 서로 연결되어 세계를 인식하고 지능을 창조한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저자소개 : 제프 호킨스>

 

저자 : 제프 호킨스

신경과학자이자 컴퓨터 공학자인 제프 호킨스는 신경과학 연구 기업인 누멘타 NUMENTA와 레드우드신경과학연구소 REDWOOD NEUROSCIENCEINSTITUTE의 창립자이다. 핸드헬드 컴퓨팅 분야를 개척한 사람 중 한 명으로 꼽히며 미국 공학학술원 회원이다.
제프 호킨스는 지능은 무엇이고, 뇌는 지능을 어떻게 만들어내는지 질문하고 답을 찾는 데에 ‘천 개의 뇌’ 이론을 제안한다. 오늘날의?AI는 왜 지능이 없는지, 이 상황을 바꿀 방법은 무엇인지, 기계 지능과 인류의 미래는 어떻게 다가올지 설명하고 근거를 제시한다. 도발적이고 혁신적이기에 세계적인 진화생물학자인 리처드 도킨스는 이 책의 서문에서 제프 호킨스를 “다윈과 닮은” 과학자로 묘사한다.
국내에 출간된 저서로는 《생각하는 뇌, 생각하는 기계》가 있다.

역자 : 이충호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화학과를 졸업하고, 현재 과학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신은 왜 우리 곁을 떠나지 않는가》로 2001년 제20회 한국과학기술도서 번역상을 받았다. 옮긴 책으로 《뇌과학자들》, 《오리진》, 《통제 불능》, 《그러므로 나는 의심한다》, 《진화심리학》, 《사라진 스푼》, 《내 안의 유인원》, 《초파리》, 《루시퍼 이펙트》, 《동물의 생각에 관한 생각》, 《우주의 비밀》, 《미적분의 힘》, 《유전자는 네가 한 일을 알고 있다》 등이 있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책밤지기 : 박성일 원장(박성일한의원)>

 

대전 박성일한의원 원장.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을 졸업한 뒤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7년 세계응용홍채학회에 한국인 의사 최초로 참석하여 한국의학계에 홍채학자가 있음을 알렸고, 1998년 대한홍채의학회를 설립하여 회장으로 활동하면서 한국에서 홍채학 연구를 처음 시작하였고 20여년 이 지난 지금도 그 기반을 단단하게 다지고 있다.
그는 30여 년에 걸쳐 한의사 겸 한의학 연구자로 활동하면서 홍채학을 접목해 한의학의 과학화를 시도하고 있다. 여러 편의 논문 중에서 2009년 1월에 발표한 논문 〈사상의학의 뇌 과학적 해석과 RSIA(Response, Stimulus, Intelligence, Awareness) 홍채유전체질 분류를 통한 정신치료〉는 그런 노력의 결실이다. 이 논문에 따르면 홍채로 본 사람의 체질은 R, S, I, A 등 네 가지 타입으로 나뉘고, 이는 이제마의 사상체질로는 각각 소양인, 태음인, 소음인, 태양인에 해당한다. 박 원장은 “이 논문이 신경학을 기초로 한 홍채학이 동양의학과 만나는 지점을 설명하고 있다”며 “1894년에 이제마가 저술한 《동의수세보원》은 유전학과 뇌과학적 관점을 선험적으로 담고 있는 최초의 한의학서”라고 평가했다.
그의 ‘의학적 통섭’은 오래전부터 시작되었다. 경희대학교 한의대에서 한방내과를 전공하였고 수련 과정에서 양의사의 지도를 함께 받았다. 경희의료원 한방병원 동서의학센터의 수련의 과정을 통해 중풍신경을 공부하면서 뇌과학에도 관심을 가졌다.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교수를 그만둔 뒤 대전에서 한의원을 하면서도 대구한의과대학에서는 임상병리학을, 대전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에서는 심신치료학과 홍채학을 계속 강의하였다. 또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박문호 박사(《뇌, 생각의 출현》저자) , 뇌과학 분야의 전문가인 가천의과학대학의 조장희 박사 등과 교류하면서 뇌과학 분야의 전문적 지식을 쌓아왔다.
그는 한국 최고의 북클럽 ‘백북스(100Books)’ 대표로 활동하면서 인문학, 자연과학, 사회과학 등의 학습모임과 강연에 참가하고 각종 세미나를 듣고, 강의를 하기도 한다. 현재는 박성일한의원(대전 소재) 원장으로 활동하면서 환자들과 깊고 넓은 교감을 나누고 있다. 의사로서 박성일은 홍채를 통해 병을 살펴 정확한 진단을 내리는 명의이지만, 평상시의 그는 눈을 맞추며 상대의 마음을 헤아리고 마음을 터놓고 만날 수 있는 보통의 이웃사람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책밤지기 추천도서 목록>

 

1. 루드비히 비트겐슈타인 천재의 의무 / 레이뭉크

비트겐슈타인은 철학자 이전에 엔지니어였고 철학자가 된 후에도 군인, 교사, 정원사, 건축가였다. 외면적으로는 고작 아마추어 철학자로 보이지만, 그의 내면으로 찾아온 철학의 문제들을 그는 인류 전체의 숙제를 풀듯 마치 고문과도 같은 삶을 살았다. 그 결과 철학을 끝낸 철학자라 불리운다. 비트겐슈타인은 ‘타임’지가 선정한 20세기의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100명에 속한 유일한 철학자다. 그의 전기를 읽는 일은 경건 그 자체가 된다.

2. 나스타샤 / 조지수

우크라이나에서 온 난민 여성 나스타샤를 만나면서 사랑하게 되고, 얽히면서 겪는 운명에 대한 한 남자의 자세를 보여준다. 철학, 예술, 역사, 논리학, 언어학 등 다양한 인문 분야를 넘나드는 해박한 지식과 통찰을 바탕으로 이미 스무 권이 넘는 인문서를 집필한 예술사 전공의 조중걸 교수의 첫 장편 소설. 사랑, 우정, 삶에 대한 성찰이 건조하게 표현되면서 현대소설의 진수를 보여 준다.

3. 마르케스의 서재에서 / 탕누어

저자인 대만의 탕누어는 문화평론가이자 출판인이지만, 그는 스스로를 전문 독자(professional reader)라고 한다. 그의 아내이자 타이완에서 최고의 명성을 누리고 있는 소설가 주톈신과 함께 매일 아침 단골 카페로 출근하여 아침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책읽기와 글쓰기로 하루를 보낸다. 반세기에 걸친 집중적인 책읽기로부터 얻은 지혜와 소회, 질의와 한탄, 유머 그리고 그 밖의 모든 것을 옛날 이야기 하듯 들려주는 묵직하고 아름다운 독서론.

4. 천개의 뇌 / 제프 호킨스

이론신경과학자인 저자의 결기와 통찰은 대단하다. 뇌에 관한 일관된 이론을 구성하기로 결정하고 성공에 이른다. 그 과정을 상세히 보고하는 인문학 다큐같은 최고의 뇌과학책. 그는 뇌이론이 중고교 핵심 교과 과정에 들어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지난 수십년간 뇌과학 실험 결과들을 무용하게 만드는 용기와 세계에 관한 새로운 인식을 뇌 피질기둥을 통해 전도하고 싶어한다. 그는 마치 세상을 구원하러 두번째 진화론의 찰스 다윈이다.

 

<백북스 시즌2 책밤 소개>

https://www.notion.so/f36b20bed246443b883c9345735ac57d

5.jpg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226 426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13] 이제 당신의 손을 보여줘요 file 조수윤 2021.05.17 250 알렉상드르 타로 풍월당 책밤지기 : 최성은(풍월당 실장) 2021-05-25 이도저도 오후 7:15
225 429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16] 길 위의 독서 file 조수윤 2021.06.23 39485 전성원 뜨란 책밤지기 : 전성원 (황해문화 편집장) 2021-07-13 이도저도 오후 7:15
224 436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1주년] 쫌 이상한 사람들 file 조수윤 2021.11.16 478 미겔 탕코 문학동네 한빛찬, 임석희, 박정애, 조수윤, 이정원, 이주영, 백정민, 박순필, 김홍섭, 태병권 2021-11-23 대전 신성동 책방 이도저도 오후 7:15
223 438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25] 돈키호테 1~2권 file 조수윤 2021.12.20 328 미구엘 드 세르반테스 시공사 책밤지기 : 이상혁 헤드헌터 2021-12-28 이도저도 오후 7:15
222 441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28] 인수공통 모든 전염병의 열쇠 file 조수윤 2022.02.08 216 데이비드 콰먼 꿈꿀자유 책밤지기 : 박대기 기자 2022-02-08 이도저도 오후 7:15
221 443 경영경제 [백북스시즌2 책밤30]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실리콘 밸리 file 조수윤 2022.03.07 244 애덤 피셔 워터베어프레스 책밤지기 : 윤수영 트레바리 대표 2022-03-08 이도저도 오후 7:15
220 466 자연과학 창문을 열면, 우주 file 조수윤 2023.03.17 350 문경수 과학탐험가 시공사 문경수 과학탐험가 2023-03-28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219 473 문학예술 내 머릿속 미술관 file 관리자 2023.10.14 527 임현균 지식의 날개 임현균 2023-10-24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218 476 인문사회 기억되는 것은 사라지지 않는다 file 조수윤 2024.01.02 462 진용주 작가 단추 진용주 작가 2024-01-23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217 478 인문사회 법정으로 간 정신과 의사 file 조수윤 2024.03.07 460 차승민 아몬드 차승민 2024-03-26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216 479 자연과학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 file 조수윤 2024.04.08 448 카를로 로벨리 쌤앤파커스 임석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24-04-23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215 480 문학예술 마지막 외출 file 조수윤 2024.04.30 180 조지수 지혜정원 조지수 2024-05-28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214 170 무한의 신비 1 file 강신철 2009.07.16 6895 애머 액젤 승산 신현용 교수 2009-07-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13 167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file 박문호 2009.05.28 6168 신영복 돌베개 신영복 교수 2009-06-09 대전시립미술관 대강당 오후 7시
212 168 자본주의와 자유 file 강신철 2009.06.10 6737 밀턴 프리드먼 청어람미디어 변동열 변호사 2009-06-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오후 7시
211 169 적도의 침묵 6 file 박문호 2009.06.24 8251 주강현 김영사 주강현 교수 2009-07-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41-3호 오후 7시
210 217 청춘에게 안부를 묻다 2 file 강신철 2011.06.29 7707 김조년 바이북스 김조년 교수 2011-07-12 유성도서관 오후 7시
209 172 몽골의 역사 3 file 강신철 2009.08.15 6700 강톨가 동북아역사재단 역자 이평래 2009-08-25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08 183 게르만 신화 바그너 히틀러 5 file 강신철 2010.01.27 8213 안인희 민음사 안인희 박사 2010-02-0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07 187 낙타 7 file 강신철 2010.03.24 8446 신경림 창비 신경림 시인 2010-04-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06 190 한국의 뇌과학자, 세계의 정상에 서다 1 file 관리자 2010.05.14 7315 박방주 궁리 조장희 2010-05-25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05 197 유한킴벌리 7 file 강신철 2010.09.03 7467 문국현.조동성 한스미디어 문국현 대표 2010-09-14 대전 한남대학교 경상대학 방촌홀 오후 7시
204 226 정재승+진중권 크로스 3 file 강신철 2011.11.10 5838 정재승, 진중권 웅진지식하우스 진중권 2011-11-17 중구문화원 오후 7시
203 248 머물지 마라 그 아픈 상처에 4 file 이정원 2012.10.12 5439 허허당 스님 예당 허허당 스님 2012-10-23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오후 7시
202 262 뇌과학과 학습혁명 1 file 이정원 2013.05.29 4962 테리 도일 돋을새김 역자 강신철 교수 2013-06-11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오후 7시
201 265 나는 왜 일하는가 file 유화현 2013.07.11 4754 헬렌 S. 정 인라잇먼트 문경목 회원님 2013-07-23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200 273 더 선(The Son) 3 file 유화현 2013.11.15 5234 필립 마이어 (Philipp Meyer) 올(사피엔스21) 임재서 번역가(백북스 회원) 2013-11-26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99 274 식물은 알고 있다 1 file 유화현 2013.11.27 5858 대니얼 샤모비츠 (Daniel Chamovitz) 다른 류충민 박사(감수자) 2013-12-10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 7시
198 276 How to be happy(행복도 연습이 필요하다) 1 file 유화현 2013.12.30 5322 소냐 류보머스키(Sonja Lyubomirsky) 지식노마드 김항중 교수(대전대) 2014-01-14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97 280 대중문화와 미술 file 유화현 2014.03.01 4214 유현주 미진사 유현주 박사(저자) 2014-03-11 대전유성도서관(유성구 가정동) 3층 강당 오후 7시
196 281 자아폭발 - 타락 file 유화현 2014.03.15 6054 스티브 테일러(Steve Taylor) 다른세상 이병록 교수님(동명대) 2014-03-25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홈플러스탄방점 맞은편)) 오후 7시
195 282 민주주의에 反하다 file 유화현 2014.03.29 6130 하승우 낮은산 하승우 교수 (저자) 2014-04-08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홈플러스탄방점 맞은편) 오후 7시
194 283 내가 사랑한 유럽 TOP10 file 유화현 2014.04.12 4579 정여울 홍익출판사 정여울 작가 2014-04-22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홈플러스탄방점 맞은편) 오후 7시
193 194 바로크음악의 역사적 해석 file 강신철 2010.07.21 6140 민은기 음악세계 오지희 교수 2010-07-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192 284 영혼의 미술관 file 유화현 2014.04.24 4852 알랭 드 보통 (Alain de Botton) 문학동네 이보경 박사(큐레이터) 2014-05-13 박성일한의원 6층, 홈플러스탄방점 맞은편 오후 7시
191 285 키치, 달콤한 독약 file 유화현 2014.05.14 4975 조중걸 지혜정원 조중걸 박사(저자) 2014-05-27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90 286 조선시대 책과 지식의 역사 file 유화현 2014.05.30 5212 강명관 천년의 상상 강명관 교수(저자) 2014-06-10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89 287 기후불황 file 유화현 2014.06.12 6156 김지석 센추리원 김지석 외교관(저자) 2014-06-24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88 196 플라톤에서 비트겐슈타인까지 8 file 강신철 2010.08.13 8867 조중걸 베아르피 조중걸 박사 2010-08-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187 289 휴보이즘 file 유화현 2014.07.10 5144 전승민 MID 전승민 기자(저자) 2014-07-22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