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자연과학
2022.05.18 02:30

[백북스시즌2 책밤35] 리얼리티 버블

조회 수 29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448
저자 지야 통
출판사 코쿤북스
발표자 책밤지기 : 고원용 박사
일자 2022-05-24
장소 이도저도
시간 오후 7:15

2.JPG

 

<책소개>

 

보는 방법을 바꾸면, 세상을 바꿀 수 있다!

『리얼리티 버블』은 캐나다의 과학 저널리스트이자 방송인인 지야 통의 첫 책이다. 통은 17년간의 방송 경력을 통해 과학에 대한 사랑을 키워 왔다. 인터뷰어로서 그녀는 생각할 수 있는 모든 전문가들을 만났고, 다른 사람들의 눈을 통해 세계를 보는 법을 배웠다. 이 책은 바로 그 ‘보는’ 방법에 관한 이야기이다. 또 과학이라는 새로운 눈으로 본 우리 세계의 진실들에 관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통은 우리가 ‘거품 속에서 현실을 대한다’고 지적한다. 보이지 않는 것들과 보기 싫은 것들을 무시하고, 거품 속 안온한 현실을 즐긴다는 것이다. 문제는 거품이 언젠가는 터진다는 것이고, 그러면 우리의 현실도 산산이 무너질 것이라는 사실이다.

통은 보이지 않는 현실의 추세들을 과학이라는 렌즈를 통해 가시적인 것으로 변환시킨다. 수많은 흥미로운 과학적 사례들을 통해, 거품을 걷고 현실을 직시할 때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보여준다. 이 책은 정세랑 작가가 추천사에 쓴 것처럼, “불온한 균열의 에너지로 가득하다.” 거품을 깨트려 새로운 현실을 열어젖힐 혁명적 생각들로 말이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저자소개 : 지야 통>

 

캐나다의 대표적인 과학 저널리스트이자 방송인이다. 영국에서 태어나 홍콩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고, 캐나다로 이주해 현재까지 살고 있다. 2018년까지 10년에 걸쳐 캐나다 디스커버리 채널의 간판 과학 프로그램인 「데일리 플래닛」을 진행했으며, 과학자인 닐 디그래스 타이슨과 함께 「NOVA scienceNOW」 등의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현재는 세계 자연 기금(WWF) 캐나다 부의장이자, 왕립 캐나다 지리학회 회원으로 활동한다.

통은 저널리스트이자 리포터로서 17년간의 경력을 통해 과학에 대한 사랑을 키워 왔다. 인터뷰어로서 그녀는 상상할 수 있는 모든 전문가들을 만났고, 다른 사람들의 눈을 통해 세계를 ‘보는’ 법을 배웠다. 그중에서도 가장 인상적이었던 경험은 21살에 아프리카에서 제인 구달을 인터뷰한 것이다. 이를 계기로 자연을 보는 그녀의 시각이 완전히 달라졌다.

『리얼리티 버블』에서 통은 우리가 보는 방법을 바꿀 때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보여준다. 과학이라는 렌즈를 통해 이 세계의 놀라운 진실들을 볼 수만 있다면, 우리가 지금껏 우리의 환경과 맺어온 관계를 바꿀 수 있다는 것이다. 통은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한다고 주장하지 않는다. 이 경이로운 과학적 진실을 알게 된다면 누구라도 더 이상 이전과 같은 방식으로는 세계를 바라볼 수 없을 것이기 때문에. [예스24 제공]

 

<책밤지기 : 고원용 박사>

 

<책밤지기 추천도서 목록>

 

1. 보이는 세상은 실재가 아니다 (저자 카를로 로벨리, 출판 쌤앤파커스)

: 카를로 로벨리의 존재론적 물리학 여행(La realta non e come ci appare)

- 추천이유 : "현실은 겉보기와 다르다 (Reality is not what it seems)"라고 제목을 번역할 수도 있었을 것 같습니다. 그렇습니다. 내가 당연하게 생각하는 (아니면 생각하지도 않고 당연하게 여기는) "현실"이 실제로는 그렇지 않습니다. 주머니 속의 스마트폰을 움직이는 반도체에 양자역학이 너무나 잘 응용되고 있지만, 양자역학으로 설명하는 "현실"은 기묘합니다. 양자역학이 확립된지 약 1백년이 되었지만 아직도 물리학자와 과학철학자들은 양자역학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 합의를 이루지 못했습니다. 양자역학의 "해석"에 관심이 있는 예외적인 분들께는 2020년에 출간되어 2021년에 한국어로 번역된 "퀀텀 리얼리티"(짐 배것 지음, 배지은 옮김, 반니, 2021)를 권합니다. 골치아픈 양자역학은 나와 상관없다고 생각하시는 다수에게는 카를로 로벨리의 책 중에 "첫번째 과학자, 아낙시만드로스"(이희정 옮김, 푸른지식, 2017)을 권합니다. 세계가 위쪽 하늘과 아래쪽 땅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둥그런 지구 바깥에 하늘이 있다는 생각을 처음으로 한 사람의 이야기입니다. 겉보기와 다른 "현실"을 찾아내는 "과학적 사고"에 대해 배울 수 있습니다.

 

2. 리얼리티 버블 (저자 지야 통, 출판 코쿤북스)

: 우리의 현실을 바꿀 보이지 않는 것들의 과학

- 추천이유 : 정세랑 작가가 "올해, 단 한 권의 책을 읽어야 한다면 바로 이 책이다"라고 말했습니다. 캐나다의 과학 저널리스트이자 방송인인 지야 통은 우리가 거품 속에서 살고 있다고, 현실을 왜곡되게 인식하고 있다고 말합니다. 거품이 터지면 세계 인식이 뒤집힐 수 있다고, 이 책으로부터 그런 일이 일어날 수 있다고 말합니다.?????????
 

3. 마음을 바꾸는 방법 (저자 아이클 폴란, 출판 소우주)

: 금지된 약물이 우울증, 중독을 치료할 수 있을까

- 추천이유 : 우리가 "현실"이라고 여기는 것과 완전히 다른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책밤에서 소개되었던 "작은 것들이 만든 거대한 세계"에 나온 마법 버섯을 먹으면 확실하게 신비 체험, 즉 자아가 해체되어 자연이나 우주와 합쳐지는 느낌을 경험할 수 있다고 합니다. 제 정신을 잃을 우려가 있기 때문에 현재 대부분의 국가에서 엄격하게 금지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아주 제한된 의학적 연구에서는 이 약물이 우울증이나 중독을 치료할 가능성을 보여주었습니다. 2006년 논문에 실린 결과에서 "가장 놀라웠던 것은 참여자들이 이 체험을 인생에서 가장 의미 있는 일 중 하나이며 '첫 아이의 탄생이나 부모님의 죽음'과 비견할 정도로 여겼다는 점이다. 참여자 중 3분의 2가 이 체험을 자신의 인생에서 '영적으로 가장 강렬한 경험' 5위 안에 든다고 했고, 3분의 1은 인생에서 가장 강렬한 경험으로 꼽았다. 14개월 후, 이 순위는 아주 약간 내려갔을 뿐이었다. 자원자들은 자신들의 '개인적 안녕과 삶에 대한 만족감, 긍정적인 행동 변화' 면에서 상당한 발전이 있었다고 말했고, 이런 변화는 그들의 가족과 친구들도 입증했다." 단 한 번의 경험이 우리가 세상을 보는 방법을 바꾸어 놓는다면 우리가 "현실"이라고 여기는 것이 얼마나 탄탄한 것일까요? 카를로 로벨리는 젊었을 때 사이키델릭 체험에서 시간이 사라지는 것을 경험한 것이 자신이 물리학을 연구하는 데에 영향을 미쳤다고 말한 적이 있습니다.
 

4. 그리고 나는 스토아주의자가 되었다 (저자 마시모 피글리우치, 출판 든)

: 성격 급한 뉴요커, 고대 철학의 지혜를 만나다

- 추천이유 : 더 큰 자동차를 타고 다니고, 더 큰 집에 살기를 원하는 것과 다르게 사는 방법이 있습니다. 2천년 전에 로마시대에 살았던 에픽테토스가 그런 길을 보여 주었습니다.


『나는 반드시 죽습니다, 그래야겠지요
만약 당장이라면 나는 지금 죽고 있는 것이겠지요.
만약 조만간이라면, 나는 지금 저녁을 먹을 겁니다.
지금은 저녁 식사 시간이니까요.
그리고 나중에 그 시간이 오면 죽을 겁니다. (에픽테토스)

 

 

<백북스 시즌2 책밤 소개>

https://www.notion.so/f36b20bed246443b883c9345735ac57d

5.jpg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400 44 지식의 나무 file 관리자 2004.04.06 3993 피에르 레비 철학과 현실사 강형식 2004-04-21
399 290 진중권의 이미지 인문학 1 file 유화현 2014.07.24 6265 진중권 천년의상상 진중권 작가 2014-08-12 대전시립미술관 1층 대강당 오후 7시-9시
398 469 인문사회 은유가 만드는 삶 file 조수윤 2023.05.24 553 김용규, 김유림 공저 천년의상상 김용규, 김유림 작가 2023-06-27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397 237 김수영을 위하여 7 file 관리자 2012.04.25 5763 강신주 천년의상상 저자 강신주 (장소: 유성도서관) 2012-05-08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396 251 내 눈 속의 한의학 혁명 file 김형렬 2012.11.30 7064 박성일 천년의상상 박성일 원장 2012-12-11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395 258 마음의 서재 file 이정원 2013.03.29 4950 정여울 천년의상상 정여울 작가 2013-04-09 대전 유성도서관 오후 7시
394 302 인문사회 사람의 거짓말, 말의 거짓말 2 file 김홍섭 2015.02.13 1149 남재일 천년의상상 남재일 경북대 교수 2015-02-24 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747 박성일한의원 6층) (화) 오후 7시
393 349 문학예술 윤구병일기 1 file 이근완 2017.03.03 305 윤구병 천년의상상 윤구병 2017-03-14 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오후 7시 15분
392 383 인문사회 나, 참 쓸모 있는 인간 file 관리자 2018.09.01 353 김연숙 천년의상상 김연숙 2018-09-11 대전 백북스혹 (탄방역 4번출구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91 410 인문사회 수집가의 철학 file 조수윤 2019.11.27 373 이병철(여주시립 폰박물관장) 천년의상상 이병철(여주시립 폰박물관장) 2019-12-10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390 249 생각의 지도 1 file 이정원 2012.10.30 6587 진중권 천년의 상상 진중권 교수 2012-11-16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389 286 조선시대 책과 지식의 역사 file 유화현 2014.05.30 5212 강명관 천년의 상상 강명관 교수(저자) 2014-06-10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388 335 인문사회 더 힘들어질 거야 더 강해질 거야 더 즐거울 거야(프랑스 녹색당 해바라기상 수상 작가 김수박의 만화 에세이) file 이근완 2016.07.15 397 김수박 천년의 상상 김수박 2016-07-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화요일 오후 7시 15분
387 342 인문사회 중국을 만들고 일본을 사로잡고 조선을 뒤흔든 책 이야기(삼국지 박사 이은봉의 한중일 삼국지 문화사) file 이근완 2016.11.11 370 이은봉 천년의 상상 이은봉 2016-11-22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86 318 문학예술 상상의 아테네 베를린 도쿄 서울 : 기억과 건축이 빚어낸 불협화음의 문화사 file 이근완 2015.10.28 1473 전진성 천년의 상상 전진성(부산교육대 사회학과 교수) 2015-11-10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385 303 인문사회 다시, 사람이다 file 강신철 2015.02.25 1281 고상만 책담 고상만 2015-03-10 백북스홀 오후7시
384 109 인문사회 역사의 등불 사마천, 피로 쓴 사기 file 관리자 2006.12.27 4854 김영수 창해 김영수 교수 2007-01-0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83 187 낙타 7 file 강신철 2010.03.24 8447 신경림 창비 신경림 시인 2010-04-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382 456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43] 페퍼민트 file 조수윤 2022.09.14 294 백온유 작가 창비 책밤지기 : 오세란 작가 2022-09-27 이도저도 오후 7:15
381 461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48] 소년이 온다 file 조수윤 2022.11.24 274 한강 창비 책밤지기 : 편성준 작가 2022-12-13 이도저도 오후 7:15
380 188 아무도 울지 않는 밤은 없다 file 강신철 2010.04.15 7554 이면우 창비 이면우 시인 2010-04-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379 191 돌아다보면 문득 file 강신철 2010.05.26 7616 정희성 창비 정희성 시인 2010-06-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378 270 조일전쟁 file 유화현 2013.09.26 6326 백지원 진명출판사 이병록 교수 (부산 동명대, 백북스 이사) 2013-10-08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 7시
377 132 이보디보 : 생명의 블랙박스를 열다 file 박문호 2007.12.12 5125 션 캐럴 지호 황보영 회원 2007-12-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76 63 신의 방정식 file 관리자 2005.01.17 4038 아미르 D. 액셀 지호 박문호 박사 2005-02-01
375 239 현대예술 (형이상학적 해명) 7 file 한빛찬 2012.05.29 24460 조중걸 지혜정원 조중걸 2012-06-12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7시
374 285 키치, 달콤한 독약 file 유화현 2014.05.14 4977 조중걸 지혜정원 조중걸 박사(저자) 2014-05-27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373 299 근대예술 file 이정원 2014.12.24 2850 조중걸 지혜정원 조중걸 2015-01-13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372 480 문학예술 마지막 외출 file 조수윤 2024.04.30 204 조지수 지혜정원 조지수 2024-05-28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371 323 문학예술 풀꽃 나태주 시선집 file 이근완 2016.01.14 1677 나태주 지혜 나태주 2016-01-26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370 160 모두에게 공정한 무역 file 박문호 2009.02.11 4518 앤드루 찰턴 지식의 숲 김홍기 교수 2009-02-24
369 473 문학예술 내 머릿속 미술관 file 관리자 2023.10.14 535 임현균 지식의 날개 임현균 2023-10-24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368 122 인문사회 논어 file 박문호 2007.07.13 4957 동양고전연구회 지식산업사 이숙희 2007-07-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67 171 인문사회 대한민국 60년 성찰과 전망 file 박문호 2009.07.30 6737 굿 소사이어티 지식산업사 윤여준 前환경부장관 2009-08-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366 276 How to be happy(행복도 연습이 필요하다) 1 file 유화현 2013.12.30 5323 소냐 류보머스키(Sonja Lyubomirsky) 지식노마드 김항중 교수(대전대) 2014-01-14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365 238 남극은 왜? 3 file 관리자 2012.05.09 5960 장순근 지성사 장순근 박사 (장소: 백북스홀) 2012-05-25 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364 3 세계가 놀란 히딩크의 힘 file 관리자 2003.06.21 4512 최영균외 중앙M&B 2002-07-09
363 100 자연과학 블랙홀이 불쑥불쑥 file 관리자 2006.08.10 4598 박석재 주니어김영사 박석재 원장 2006-08-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62 53 무탄트 메시지 file 관리자 2004.08.25 3848 말로 모건 정신세계사 김용전 2004-09-07
361 46 뇌로부터 마음을 읽는다 file 관리자 2004.05.18 3868 오키고스케 전파과학사 박문호 박사 2004-05-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