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문학예술
2022.05.10 02:30

[백북스시즌2 책밤34] 스토너

조회 수 33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447
저자 존 윌리엄스
출판사 RHK
발표자 책밤지기 : 곽아람 기자
일자 2022-05-10
장소 이도저도
시간 오후 7:15

1.jpg

 

<책소개>

 

★★★영화평론가 이동진, 문학평론가 신형철, 소설가 김연수ㆍ최은영 추천!
★★★입소문이 만들어낸 역주행 베스트셀러의 살아 있는 신화!
★★★〈오만과 편견〉, 〈어톤먼트〉 조 라이트 감독 영화화 확정!

“이 소설에 대해선 할 말이 너무 많아서 나는 제대로 시작할 수조차 없다.”
_신형철(문학평론가)

전 세계 수많은 문학 애호가들의 인생 소설로 손꼽히는 명작 《스토너》가 1965년 미국에서 처음 발행됐을 때의 표지로 출간된다. 50여 년 전, 이 책의 초판은 출간 1년 만에 절판되었지만 2010년대 영국, 네덜란드, 프랑스를 비롯해 유럽 전역에서 재출간되며 역주행 베스트셀러 신화를 쓴다. 이 책을 두고 평론가 모리스 딕스타인은 “당신이 여태껏 들어본 적 없는 최고의 소설”이라 극찬했으며, 영국의 유명 작가 닉 혼비, 이언 매큐언, 줄리언 반스는 물론 수많은 국내 명사와 독자 역시 애정을 드러냈다. 이번 에디션에서는 기존 판의 문장을 다듬고 문학평론가 신형철의 추천사 전문을 실었다. 또한 초판에 담긴 일러스트레이션을 완벽히 재현했다. 주인공 스토너가 평생을 보낸 대학에 있는, 화재로 모든 게 스러지고 기둥만 남은 어느 건물 그림이다. 폐허가 된 자리에서도 기둥만은 불쑥 솟아 괴상하지만 아름다운 풍경을 보여준다. 이는 스토너가 받아들인 삶의 방식을 상징한다는 점에서 더욱 큰 의미가 있다.

이 작품은 묵묵히 자신의 길을 걷고자 했던 한 남자에 대한 이야기다. 스토너는 농부의 아들로 태어나 농과대학에 입학하지만, 부모님의 바람과 달리 전공을 영문학으로 바꾼다. 전쟁의 열기가 젊은이들을 휩쓸고 갈 때도 그는 아랑곳하지 않으며, 교수직에 몸담은 뒤에도 출세의 뜻을 내비치지 않는다. 조용하고 소박하게, 그러나 쉬지 않고 열정을 좇아가는 스토너를 보며 특별한 감동에 젖을 수 있다. 평생 한곳에 살았던 스토너가 문학을 통해 자신의 공간을 넘어서는 기쁨을 느낄 수 있었던 것처럼, 당신 또한 《스토너》 초판본을 통해 이 소설이 견뎌낸 수십 년의 시간을 건너뛰는 경이로움을 경험하기를 바란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저자소개 : 존 윌리엄스>

 

1922년 8월 29일, 텍사스 주 클락스빌에서 태어났으며 윌리엄스는 덴버 대학교에서 학사학위와 석사학위를, 미주리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뒤 1954년에 덴버 대학교로 돌아와 30년 동안 문학과 문예창작을 가르쳤다.어릴 때부터 연기와 글쓰기에 재능이 있었고 사우스웨스트의 신문사와 라디오 방송국에서 잠시 일하기도 했다. 1942년부터 1945년까지 미국 공군 소속으로 중국, 버마, 인도에서 복무했다.

미국 공군 소속으로 전쟁에 참전한 윌리엄스는 복무 기간 동안 1948년 발표한 그의 첫 소설 『오직 밤뿐인』의 초안을 작성한다. 전쟁이 끝난 후 콜로라도 덴버로 이주한 그는 덴버 대학교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이 시기에 소설 『오직 밤뿐인』과 시집 『The Broken Landscape』를 출간한다. 이후 미주리 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고 1954년 다시 덴버 대학교로 돌아와 본격적으로 문학과 문예창작을 가르치며 교수의 길을 걷는다.

1960년 출간한 그의 두 번째 소설 『도살자의 건널목Butcher’s Crossing』은 1870년대 캔자스 개척자의 삶을 다룬 작품이었으며, 이후 두 번째 시집 『The Necessary Lie』도 발표하였다. 윌리엄스의 세 번째 소설은 미주리 대학교 영문학 교수의 삶을 다룬 『스토너』였고 1965년 출간되었다. 네 번째 소설은 1972년 발표한 로마의 가장 폭력적인 시대를 다룬 『아우구스투스』인데 그는 이 작품으로 전미도서 상을 수상하기에 이른다. 윌리엄스는 1985년 덴버 대학교에서 은퇴한 후 1994년 아칸소 페이예트빌의 집에서 숨을 거두었다. 집필 중이던 소설은 결국 미완성으로 남았다.

저서로는 『오로지 밤뿐 Nothing But the Night』(1948), 『도살자의 건널목 Butcher's Crossing』(1960),『스토너 Stoner』(1965), 『아우구스투스 Augustus』(1972) 총 네 편의 소설과 두 권의 시집을 발표했으며, 영국 르네상스 시대 시선집을 편집했다. [예스24 제공]

 

 

<책밤지기 : 곽아람 기자(조선일보 편집국 문화부 Books 팀장)>

 

 

<책밤지기 추천도서 목록>

 

읽을 거리와 생각할 거리를 동시에 주는 책들로 골라 보았습니다.

 

1. 스토너 (존 윌리엄스 지음, 김승욱 옮김, RHK)
- 학계에 이름을 떨치지 못하더라도, 아무도 알아주지 않더라도 꾸준히 공부하는 삶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알려준다. 학문을 사랑하는 모든 이들을 위한 책이다.

2. 모스크바의 신사 (에이모 토울스 지음, 서창렬 옮김, 현대문학)
- 품위란 무엇인가? 아무리 고난에 처할지라도 바닥과 민낯이 아름다운 삶의 태도를 말한다. '소공녀'의 성인 남자 버전.

3. 한낮의 우울 (앤드루 솔로몬 지음, 민승남 옮김, 민음사)

 : 내면의 어두운 그림자, 우울의 모든 것
- 자신의 문제이자 개인의 문제인 우울증을 학술적으로 파고들어 사회 전체의 문제로 인식하며 바라보기를 시도하고, 그 성과를 이루어낸 책.

4. 아파트 담장 넘어 도망친 도시 생활자 (한은화 지음, 동아시아)

 : 도심 속 다른 집, 다른 삶 짓기

- 서울 한복판 서촌에 한옥을 짓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커플의 이야기. 읽고 나면 '집 절대 짓지 말아야지'라는 깨달음과 '저렇게 살고 싶다'는 부러움이 동시에 밀려온다.

 

 

<백북스 시즌2 책밤 소개>

https://www.notion.so/f36b20bed246443b883c9345735ac57d

5.jpg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267 236 피로사회 12 file 관리자 2012.04.12 5966 한병철 문학과지성사 박성일 원장 (장소: 백북스홀) 2012-04-24 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266 237 김수영을 위하여 7 file 관리자 2012.04.25 5763 강신주 천년의상상 저자 강신주 (장소: 유성도서관) 2012-05-08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265 246 창의성의 또다른 이름 트리즈(TRIZ) 2 file 김형렬 2012.09.16 4760 김효준 인피니티북스 김효준 소장 2012-09-26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264 251 내 눈 속의 한의학 혁명 file 김형렬 2012.11.30 7068 박성일 천년의상상 박성일 원장 2012-12-11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263 232 삶의 정도 3 file 이정원 2012.02.16 5294 윤석철 위즈덤하우스 현영석 교수 2012-02-28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262 254 누구와 함께 살 것인가 file 관리자 2013.02.05 5312 또 하나의 문화 또 하나의 문화 김억중 교수 2013-02-12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261 234 공감의 시대 6 file 관리자 2012.03.14 5540 제레미 리프킨 민음사 김갑중 원장 2012-03-27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260 238 남극은 왜? 3 file 관리자 2012.05.09 5962 장순근 지성사 장순근 박사 (장소: 백북스홀) 2012-05-25 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259 255 서양미술사 철학으로 읽기 4 file 이정원 2013.02.15 7179 조중걸 한권의책 조중걸 2013-02-27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258 247 닥터스 씽킹 (How Doctors Think) 3 file 김형렬 2012.09.29 4711 제롬 그루프먼 해냄 김대경 교수 2012-10-09 유성도서관, 3층 저녁 7시
257 252 여행하는 인문학자 7 file 김형렬 2012.12.28 6531 공원국 민음사 공원국 저자 2013-01-08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256 253 우린 마을에서 논다 3 file 관리자 2013.01.11 7308 유창복 또하나의문화 저자 유창복 2013-01-22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255 259 예수전 4 file 이정원 2013.04.12 4718 김규항 돌베개 김규항 저자 2013-04-23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254 304 인문사회 거창고 아이들의 직업을 찾는 위대한 질문 2 file 김홍섭 2015.03.20 1079 강현정,전성은 공저 메디치미디어 강현정(교육전문기자) 2015-03-24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253 260 문학예술 아다지오 소스테누토 file 이정원 2013.04.30 4541 문학수 돌베개 문학수 (음악평론가) 2013-05-14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저녁 7시
252 261 인류의 발자국 1 file 이정원 2013.05.17 4275 앤터니 페나 삼천리 고원용 박사 2013-05-28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251 299 근대예술 file 이정원 2014.12.24 2857 조중걸 지혜정원 조중걸 2015-01-13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250 467 문학예술 만지고 싶은 기분 2 file 조수윤 2023.03.29 460 요조 가수/작가 마음산책 요조 가수/작가 2023-04-25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249 469 인문사회 은유가 만드는 삶 file 조수윤 2023.05.24 557 김용규, 김유림 공저 천년의상상 김용규, 김유림 작가 2023-06-27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248 471 기타 여행준비의 기술 file 조수윤 2023.07.26 579 박재영 작가 글항아리 박재영 작가 2023-08-22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247 472 인문사회 교양 고전 독서 file 조수윤 2023.08.23 576 노명우 교수(아주대학교 사회학과) 노명우 교수(아주대학교 사회학과) 2023-09-26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246 468 경영경제 그렇게 물어보면 원하는 답을 들을 수 없습니다 file 조수윤 2023.04.26 373 김호 더랩에이치 대표 위즈덤하우스 김호 더랩에이치 대표 2023-05-23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245 470 자연과학 하늘과 바람과 별과 인간 5 file 조수윤 2023.07.03 1095 김상욱 교수(경희대학교 물리학과) 바다출판사 김상욱 교수(경희대학교 물리학과) 2023-07-25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244 320 자연과학 정신병을 만드는 사람들- 한 정신 의학자의 정신병 산업에 대한 경고 3 file 이근완 2015.11.25 1603 앨런 프랜시스 (지은이),김명남 (옮긴이) 사이언스북스 송민령(KAIST 바이오 및 뇌공학 박사과정) 2015-12-08 탄방동 엘리먼트랩 카페 2층(백북스홀 뒷골목 20m거리) 저녁 19시 15분
243 364 자연과학 송민령의 뇌과학 연구소 세상과 소통하는 뇌과학 이야기 file 이근완 2017.10.31 348 송민령 동아시아 송민령 2017-11-14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19시 15분
242 374 문학예술 미술관에 간 의학자 file 이근완 2018.03.28 300 박광혁(내과전문의) 어바웃어북 박광혁(내과전문의) 2018-04-10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19시 15분
241 362-363 인문사회 우리는 고독할 기회가 적기 때문에 외롭다 file 이근완 2017.09.28 358 김규항 알마 김규항 2017-10-10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19시 15분
240 376 자연과학 문경수의 제주 과학 탐험 file 이근완 2018.04.27 315 문경수 동아시아 문경수 2018-05-08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19시 15분
239 296 바리연가집 file 강신철 2014.11.12 4054 강은교 실천문학사 강은교 시인 2014-11-25 백북스홀 오후7시30분
238 179 한국사 그들이 숨긴 진실 5 file 강신철 2009.11.25 9149 이덕일 역사의 아침 이덕일 2009-12-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오후7시
237 213 호모 코뮤니타스 4 file 강신철 2011.04.28 8445 고미숙 그린비 고미숙 박사 2011-05-11 한남대학교 경상대학 방촌홀 오후7시
236 220 김탁환 쉐이크 - 영혼을 흔드는 스토리텔링 1 file 강신철 2011.08.10 7908 김탁환 다산북스 김탁환 소설가 2011-08-30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7시
235 222 클래식명곡을 낳은 사랑이야기 1 file 강신철 2011.09.16 7228 니시하라 미노루 문학사상사 박은아 플룻티스트 2011-09-27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오후7시
234 185 아이투아이(itoi) 1 file 강신철 2010.03.03 8722 켄 윌버 저/김철수 역 대원출판 권선필 교수 2010-03-0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233 223 담금질 7 file 강신철 2011.09.28 7444 안희정 나남 안희정 충남도지사 2011-10-11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오후7시
232 186 물속의 발자국 5 file 강신철 2010.03.15 7398 이강산 문학과 경계 이강산 시인 2010-03-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후7시
231 228 생강 발가락 file 관리자 2011.12.07 5746 권덕하 애지 권덕하 시인 2011-12-20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오후7시
230 188 아무도 울지 않는 밤은 없다 file 강신철 2010.04.15 7562 이면우 창비 이면우 시인 2010-04-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229 191 돌아다보면 문득 file 강신철 2010.05.26 7618 정희성 창비 정희성 시인 2010-06-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228 278 삶을 위한 철학수업 file 강신철 2014.02.02 4280 이진경 문학동네 이진경 박사 2014-02-10 백북스홀 오후7시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