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조회 수 32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446
저자 조너선 갓셜
출판사 민음사
발표자 책밤지기 : 백정민(방구석 살롱 대표)
일자 2022-04-26
장소 이도저도
시간 오후 7:15

35621353.jpg

 

<책소개>

 

스토리텔링은 인류 생존의 기술이다!

우리를 웃고 울리며 잘 살게 만드는 스토리텔링의 모든 것 『스토리텔링 애니멀』. 우리는 재미삼아 드라마를 보거나 소설을 읽고, 아이를 재우고자 할 때 옛날이야기를 들려준다. 때문에 이야기를 밥처럼 매일 먹어야 하는 필수품이 아닌, 커피처럼 그저 삶을 윤택하게 하는 일종의 기호품으로 취급하기 쉽지만 이 책의 저자인 조너선 갓셜에 따르면 이야기는 인간의 본질적 측면 중 하나이다.

저자는 우리가 이야기에 사정없이 빠져드는 이유는 이야기가 인류의 생존에 유익하기 때문이라고 말하며, ‘이야기의 시뮬레이션 이론’을 제시한다. 이는 전투기 조종사가 위험한 실전 연습 대신 안전한 시뮬레이터로 훈련하는 것처럼, 우리도 일상에서 맞닥뜨리는 온갖 사건을 안전한 머릿속에서 부딪치며 대응 능력을 키운다는 이론으로, 저자는 이러한 이론을 통해 우리가 왜 ‘스토리텔링 애니멀’이 되었는지 추적한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저자소개 : 조너선 갓셜(Jonathan Gottschall)>

 

워싱턴&제퍼슨 칼리지에서 영문학을 강의하고 있으며 과학적 인문학 운동의 선두 주자이다. 뉴욕 주립 대학에서 영문학을 전공했고 데이비드 슬론 윌슨 밑에서 연구했다. 저서로 『트로이의 강간: 진화, 폭력 그리고 호메로스의 세계』, 『문학, 과학 그리고 새로운 인문학』, 『진화, 문학 그리고 영화』가 있으며 《뉴욕 타임스》,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뉴요커》, 《애틀랜틱》 등의 필자이다. 스티븐 핑커는 조너선 갓셜에 대해 “탁월한 젊은 학자로, 그의 저작은 명료함과 재치, 흥미를 두루 갖추었다.”라고 평했다. [예스24 제공]

 

<책밤지기 : 백정민(방구석 살롱 대표)>

 

책을 매개로 서로의 마음을 들키는 순간이 좋아 함께 읽기를 사랑한다. 독서 공동체 <방구석 살롱>, 인문 강독회 <격주 강창래>를 운영한다. 백북스 시즌2 <책밤>의 열혈 에디터다. 누군가에게 추천한 책이 좋았다는 말에 에너지를 받는다.
10년 전 백두대간을 완주했다. 지리산의 넉넉한 품과 설악산의 빼어난 미모를 아낀다. 형님들과 하염없이 능선을 걷던 때가 늘 그립다. 통일을 기다린다.
잘 반하고 들뜨며 그땐 수다를 막을 수 없다. 때로는 수다가 고파서 책을 읽는다. 동네 책방을 좋아하고, 책 사는 건 더 좋아한다.
장래희망은 살롱의 우아한 마담. 커피도 잘 내린다. 무엇보다 좋은 점을 잘 발견한다. 의리보단 우정이다!

 

 

<책밤지기 추천도서 목록>

 

1. 스토리텔링 애니멀 | 조너선 갓셜, 노승영 옮김 | 민음사 | 2014. 4
: 인간은 왜 그토록 이야기에 빠져드는가

이야기를 연구하는 사람이 최신 연구(진화생물학, 심리학, 신경과학)를 바탕으로 인간의 스토리텔링 본능을 밝혀낸 책입니다. 저자는 이야기는 매력적이라고 명료함과 위트를 담아 매력적으로 말합니다. "이야기에 푹 빠지면 지성의 방패를 떨어뜨리고 만다. 감정이 움직이면 우리는 무방비 상태에 놓인다." 우리 지성의 방패를 치켜들고 저자가 제시하는 '이야기의 시뮬레이션 이론'을 들여다봅시다. 그래봤자 곧 무방비 상태에 놓일테지만 말이죠.


2. 2022 제13회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 | 문학동네 | 2022. 4

해마다 봄꽃과 함께 찾아오는 소설집이 있습니다. 지금의 이야기를 지금의 문법과 속도로 담아내 읽는 이의 마음을 움직이는, 한국소설의 현재를 멋지게 보여주는 <젊은작가상 수상작품집>입니다. 임솔아, 김멜라, 김병운, 김지연, 김혜진, 서수진, 서이제. 잘 쓴 소설은 독자를 움직여 다른 방향을 보게 합니다. 일곱 편의 이야기를 만나 저도 조금쯤은 싱그러워진 느낌을 받았습니다. 생각지 못했던 주제나 내용들에 대해 이야기 나누다보면 어느덧 세상의 변화에도 익숙해지지 않을까요.


3. 휠체어 탄 소녀를 위한 동화는 없다 | 어맨다 레덕 지음, 김소정 옮김 | 을유문화사 | 2021. 2
: 이야기를 통해 보는 장애에 대한 편견들

"우리가 장애가 있는 몸은 가치가 적다는 식으로 이야기할 때마다, 걸을 수 없던 사람이 결국 걷게 되는 이야기를 받아들일 때마다, 예쁘기 때문에 원하는 모든 것을 얻는 공주 이야기를 받아들일 때마다, 비장애인만의 행복한 결말을 받아들일 때마다 우리는 덤불 가시를 자라게 하는 것이다.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 우리를 가로막고 있는 가시를 잘라내고 새로운 것이 자랄 수 있게 할 책임이 우리에게 있다."(344) 추천사를 쓴 박연준 시인의 말처럼 이 책은 정말 한번 제대로 읽어 보는 것만으로도 의식의 지각변동이 일어납니다. 저도 책을 읽는 내내 밝았던 동화의 색이 뿌옇게 바래지며 무너져 내렸습니다. 이 세상을 나와 같은 몸에게도 맞게 바꾸어야 한다는 저자의 말에 적극 공감합니다. 이제 우리는 새로운 이야기로 다른 세상을 만들어야 합니다.


4. 잠깐 애덤 스미스씨, 저녁은 누가 차려줬어요? | 카트리네 마르살 지음, 김희정 옮김 | 부키 | 2017. 2
: 유쾌한 페미니스트의 경제학 뒤집어보기

제목부터 말을 걸어 오는 책! "애덤 스미스의 저녁을 차린 건 보이지 않는 손이 아니라 보이지 않는 그의 어머니였다. 보이지 않는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이지 않는 성이 있다." 이 책은 성별이 한 가지인 경제학에게 잊고 있던 여성을 알려주며 그로부터 생겨나는 모순을 통쾌하게 고발합니다. 또한 주류 경제학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페미니스트적 관점이 얼마나 필수적인지 힘주어 말합니다. 오늘도 당연하게 자유의지로 저녁을 차려야 하는 제게 임팩트 있게 다가온 책입니다.
 

 

<백북스 시즌2 책밤 소개>

https://www.notion.so/f36b20bed246443b883c9345735ac57d

04aa4fe2c0f42d0662e46dc35e4c529c.jpg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280 427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14] 무너지지 않기 위하여 file 조수윤 2021.05.28 355 유제프 차프스키 밤의책 책밤지기 : 최성은(풍월당 실장) 2021-06-08 이도저도 오후 7:15
279 84 신경과학과 마음의 세계 file 관리자 2005.12.13 4020 제럴드 에델만 범양사 박문호 2005-12-20
278 119 마이크로코스모스 file 박문호 2007.05.29 5028 린 마굴리스, 도리언 세이건 범양사 홍욱희 2007-06-1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77 157 나스타샤 file 박문호 2008.12.24 5130 조지수 베아르피 조지수 2009-01-13
276 196 플라톤에서 비트겐슈타인까지 8 file 강신철 2010.08.13 8876 조중걸 베아르피 조중걸 박사 2010-08-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75 156 문학예술 엄마와 나 file 강신철 2008.12.10 5446 박기범 보리 박기범 2008-12-23 대전시립미술관
274 69 사다리 걷어차기 관리자 2005.03.22 3723 장하준 부키 김홍기 2005-05-10
273 455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42] 모던 팝 스토리 file 조수윤 2022.08.30 228 밥 스탠리 북라이프 책밤지기 : 정일서 PD 2022-09-13 이도저도 오후 7:15
272 164 슈거블루스 1 file 강신철 2009.04.15 5105 윌리엄 더프티 북라인 한명학 박사 2009-04-28 오후 7시 |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271 91 한국의 전통마을을 가다 1,2 file 관리자 2006.03.23 3985 한필원 북로드 한필원 2006-04-11
270 350 인문사회 거짓말이다. 1 file 이근완 2017.03.20 1132 김탁환 북스피어 김탁환 2017-03-28 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오후 7시 15분
269 133 자연과학 상대성 이론 1 file 박문호 2008.01.01 5561 차동우 북스힐 박문호 2008-01-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68 12 현대과학과리더십 file 관리자 2003.06.21 4397 마가렛휘틀리 북이십일 2002-11-26
267 16 항우와 유방 file 관리자 2003.06.21 3940 시바료타로 북이십일 2003-01-28
266 137 기타 한국의 이공계는 글쓰기가 두렵다 file 박문호 2008.02.27 5724 임재춘 북코리아 임재춘 교수 2008-03-1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65 405 문학예술 Paint it Rock file 관리자 2019.09.12 327 남무성 북폴리오 김용석 2019-09-24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264 403 자연과학 욕망이 멈추는 곳, 라오스 file 조수윤 2019.08.21 281 오소희 북하우스 김현옥(한국항공우주연구원 선임연구원) 2019-08-27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63 431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18] 시간과 물에 대하여 file 조수윤 2021.08.25 259 안드리 스나이르 마그나손 북하우스 책밤지기 : 윤고은 작가 2021-09-14 이도저도 오후 7:15
262 463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50] 다락방의 미친여자 file 조수윤 2023.01.03 345 샌드라 길버트, 수전 구바 북하우스 책밤지기 : 강창래 작가 2023-01-10 이도저도 오후 7:15
261 454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41] 욕망의 모호한 대상 file 조수윤 2022.08.11 287 피에르 루이스 불란서책방 책밤지기 : 조진주 바이올리니스트 2022-08-23 이도저도 오후 7:15
260 93 문학예술 지각대장 존 file 관리자 2006.04.28 4108 존 버닝햄 비룡소 강영희 2006-05-0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59 151 논어의 자치학 file 박문호 2008.09.24 4948 강형기 비봉 출판사 강형기 교수 2008-10-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58 214 달마는 서쪽에서 오지 않았다 file 강신철 2011.05.12 6126 보리 달마 저/덕산 스님 역 비움과 소통 덕산 스님 2011-05-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257 263 문학예술 카메라로 명상하기 1 file 유화현 2013.06.15 4803 임민수 작가님 비움과소통 임민수 작가님 2013-06-25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256 79 미래기업의 조건 file 관리자 2005.09.04 3641 클레이튼 크리스텐슨 비즈니스 북스 현영석 2005-10-11
255 116 팹 (FAB) file 박문호 2007.04.11 6207 닐 거센펠드 비즈앤비즈 안윤호 2007-04-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54 452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39] 여름은 오래 그곳에 남아 file 조수윤 2022.07.16 249 마쓰이에 마사시 비채 책밤지기 : 도헌정(폴인 에디터) 2022-07-26 이도저도 오후 7:15
253 124 자연과학 생명 최초의 30억년 file 박문호 2007.08.09 5778 앤드류 놀 뿌리와이파리 이진석 회원 2007-08-2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52 337 자연과학 미토콘드리아(박테리아에서 인간으로, 진화의 숨은 지배자) file 이근완 2016.08.11 370 닉 레인, 김정은 역 뿌리와이파리 김순하 (LG생명과학연구소) 2016-08-23 대전 탄방역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51 114 인문사회 얼굴, 한국인의 낯 file 관리자 2007.03.18 5162 조용진 사계절 조용진 2007-03-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50 393 인문사회 인생극장 file 관리자 2019.03.13 334 노명우(아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사계절 노명우(아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2019-03-26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7시 15분
249 415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2] 어린이라는 세계 3 file 조수윤 2020.11.25 350 김소영 사계절 책밤지기 : 요조 2020-12-08 미정 오후 7:15
248 32 마당을 나온 암탉 file 관리자 2003.09.30 3954 황선미 사계절 아동문고 장미란 2003-10-25
247 134 고대문명교류사 file 박문호 2008.01.09 4828 정수일 사계절출판사 김홍섭 회원 2008-01-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46 257 피렌체, 시간에 잠기다 3 file 이정원 2013.03.13 5027 고형욱 사월의책 이정원 2013-03-26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245 387 자연과학 이명현의 과학책방(별처럼 시처럼, 과학을 읽다) file 이근완 2018.12.03 371 이명현 사월의책 이명현(연구인) 2018-12-11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30분
244 398 자연과학 과학책은 처음입니다만 file 조수윤 2019.05.29 298 이정모(서울시립과학관장) 사월의책 이정모(서울시립과학관장) 2019-06-11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43 61 사랑을 위한 과학 file 관리자 2004.11.25 26888 토머스 루이스,패리 애미니 등저 사이언스 북스 오대곤 2005-01-11
242 65 코스모스 관리자 2005.02.16 3808 칼 세이건 사이언스 북스 조재흥 2005-03-08
241 218 원자력 딜레마 1 file 강신철 2011.07.13 6980 김명자 사이언스 북스 김명자 전 환경부장관 2011-07-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후7시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