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조회 수 27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440
저자 마이클 티어노
출판사 아우라
발표자 책밤지기 : 김용석
일자 2022-01-25
장소 이도저도
시간 오후 7:15

3.jpg

<책소개>

 

유용하고 재밌는 글쓰기 지침서!

『스토리텔링의 비밀』. 글쓰기에서 플롯 구성을 잘하고자 노력하는 사람들을 위한 〈시학〉 입문서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은 현재 할리우드 제작자들에게 ‘시나리오를 쓰기 위한 바이블’로 여기고 있고, 영화감독 게리 로스는 〈시학〉을 시나리오 쓰기에 관한 가장 간결하고 정확한 책이라 평했다.

이 책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시학〉에서 이야기한 플롯 구성 원칙을 현대적으로 되살려놓은 것이다. 극적인 이야기 구조가 현대 영화에서도 중요시 된다는 점을 이야기하며 드라마틱한 글쓰기 방법론을 소개한다. 아리스토텔레스가 가장 중요한 요소로 본 플롯을 짜는 능력, 즉 강력한 이야기 구조를 만들어 내는 능력을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으로 집어 놓았다.

다음으로 저자는 이야기는 반드시 행동에 관한 것이어야 하며, 시나리오 작가들은 반드시 인물의 행동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플롯 구성 단계에서 행동을 이야기의 아이디어로 생각하라고 역설한다. 그리고 시학에서 이끌어낸 액션 아이디어, 행동의 최초 동기, 운명의 반전과 발견, 우연, 필연 등 플롯 구성 원칙과 그 실제 사례를 33개의 장에 걸쳐 이야기한다.?[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저자소개>
 
저자 : 마이클 티어노

지은이 마이클 티어노(MICHAEL TIERNO)
시나리오 작가 겸 독립영화 〈오디션〉의 감독. 미라맥스 필름, IDT 엔터테인먼트 등에서 스토리 애널리스트로 활동했다. 현재 이스트 캐롤라이나 대학(EAST CAROLINA UNIVERSITY)에서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역자 : 김윤철
옮긴이 김윤철(金允澈)
서울대 국문과를 졸업한 뒤 14년간 MBC PD로 활동했으며 칼아츠(CALIFORNIA INSTITUTE OF THE ARTS) 대학원에서 영화연출 석사과정(MFA)을 마쳤다. 연출한 작품으로 미니시리즈 〈내 이름은 김삼순〉 〈케세라세라〉 등이 있고 드라마 〈늪〉으로 2004년 몬테카를로 TV 페스티벌 골드 님프상을 수상했다.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책밤지기 : 김용석>
 

'파워포인트 블루스' 저자

IT 전략 컨설턴트

하이텔 언더그라운드 음악 동호회 창립자 & 운영자

http://www.demitrio.com/?page_id=4427

 

 
<책밤지기 추천도서 목록>
 
오늘 추천할 서적들은 보고서 코치로서 문서와 프레젠테이션이 일상인 모든 분들에게 도움이 될만한 실용서입니다. 강의가 끝난 직후 노트북과 케이블을 정리해 가방에 넣고있다보면 몇 분이 오셔서 질문을 하곤 합니다. 그런데 대부분의 질문이 책 한 권 분량으로 대답할만한, 범위가 넓은 질문들이죠. 자주 나오는 질문 네 가지와 그에 대한 대답으로 추천해 드릴만한 책 네 권을 소개합니다.
 
1. 논증의 기술
앤서니 웨스턴 지음 | 이주명 옮김 | 필맥 | 2019년 08월 15일 출간 (1쇄 2004년 08월 01일)
 
'임팩트 있는 문장과 단락을 만드는 구체적인 방법이 있나요?'라는 질문을 받았을 때 이 책을 추천합니다. 논리구성의 기본부터 복잡한 연역논증, 논리의 확장과 구두표현, 흔한 실수 등 10개 영역에 걸쳐 꼼꼼하게 주제를 커버하고 있습니다. 이 책을 보면서 감명깊었던 것은 간결한 구성때문이었습니다. 10개의 영역(챕터)을 50개 규칙으로 구분하고 각 Rule은 구체적인 문장 예제와 설명을 곁들여 보통 3페이지 정도로 간단하게 끝을 맺습니다. 과자를 한 통에 담아놓지 않고 소포장 해놓아 재미없고 지루할 수 있는 내용에 접근성을 부여한 것이죠.
이러한 간결함은 깊은 내공을 요구합니다.
이 책에 나온 '규칙5. 말의 어감에 기대지 말고 실질적 근거를 대라'는 저도 다른 용어로 항상 교육생들에게 강조하는 부분입니다. 여기에 이런 예문이 나옵니다. '한때 자랑스러웠던 여객열차가 쇠퇴하도록 놔둔 것은 정말로 불명예스러운 일이다. 미국은 지금 당장 명예를 걸고 여객열차를 부흥시켜야 한다' 저자는 감정이 실린 단어만 보일 뿐 결론을 뒷받침하는 증거는 제시되지 않았다고 비판하면서 이 문장의 새로운 방향에 대해 두 페이지 정도를 할애해 얘기합니다. 여러개의 예문을 제시하고도 충분하지 못한 것 보다 훨씬 더 구체적이면서도 간결했습니다. 보고서쓰기가 일상인 지식노동자라면 항상 손이 닿는 곳에 둘 만한 책입니다.

 

2. 필립 퍼키스의 사진강의노트
필립 퍼키스 지음 | 박태희 옮김 | 필립 퍼키스 사진 | 안목 | 2019년 02월 24일 출간 (1쇄 2011년 02월 08일)
 
'남다른 생각이 나오도록 하려면 뭘 연습해야 하나요?'란 질문을 받았을 때 가장 먼저 생각나는 책입니다. 미술시간에 선생님이 추천하셨죠. 사물을 보고 그림을 그리는데 몇 초만 보고 상상으로 그리지 말고 슬로비디오를 돌리듯 매일 보는 간단한 사물을 5분동안 눈으로 따라가보라고 하셨어요.  전 그 사물에 굼벵이가 기어간다 생각하고 천천히 보기 시작했는데 1년이나 매일 보던 그 테이블의 다리 장식과 마감을 그때서야 자세히 알게되었습니다. 그리고 이 책을 추천받았죠. 우리가 아는 유명한 사진작가와 영화감독, 작가 들은 단순히 기술이 좋은게 아니라 사물을 바라보는 시각이 달라 같은걸 봐도 다른 결과가 나온다고 말이죠.
이 책은 사진에 대한 책이지만 사물을 관찰하고 아이디어를 다룬다는 측면에선 모두가 한번 쯤 고민해봐야 할 주제를 던집니다.

 

3. 스토리텔링의 비밀
마이클 티어노 지음 | 김윤철 옮김 | 아우라 | 2008년 11월 01일 출간
 
'스토리텔링에 익숙해지는 방법이 있을까요?'라는 질문도 자주 들어옵니다. 기본적으로 영화를 자주 보고 관객이 아닌 감독, 작가입장이 되어 생각해보는게 도움이 된다고 대답하곤 합니다. 그리고 이 책이 작가입장에서 플롯을 짜고 관객의 반응을 이끌어내는 메커니즘을 설계하는데 기초적인 프레임을 제시합니다. 수천년전 사람인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을 토대로 말이죠.
전 이 책을 읽고 전혀 다른 장르인 보고서 쓰기 강의를 하면서 '플롯'란 용어를 강의에 사용해야 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프레젠테이션을 '매우느린 무성영화'로 간주하기 시작했죠.

 

4. TED 프레젠테이션 세계가 감동하는 TED, 12가지 비밀
제레미 도노반 , 윤지현 (해제) 지음 | 김지향 옮김 | 인사이트앤뷰 | 2020년 07월 15일 출간
 
'논리전개와 스토리텔링의 좋은 사례가 있을까요?'란 질문이 지난 10년간 가장 많았던 것 같습니다. 바둑기사가 남의 기보를 연구하며 자신의 실력을 증진시키듯 논리구성과 전개 역시 다양한 사람들의 발표를 지켜보고 연구하는 것이 최상의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TED는 그런면에서 그 자체로 최고의 학습자원입니다. 이 책은 그런 TED를 12개의 키워드로 분석하는 전문가의 통찰을 볼 수 있는 흥미로운 책입니다. 책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는데 전반부 전체가 스토리구성에 대한 여섯 가지의 키워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저자인 제레미 도노반을 따라가면서 실제 TED를 보고 스스로의 해석을 저자의 것과 비교해 본다면 그보다 더 좋은 논리전개 공부가 없을 듯 합니다.

 

 

<백북스 시즌2 책밤 소개>

https://www.notion.so/f36b20bed246443b883c9345735ac57d

5.jpg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159 248 머물지 마라 그 아픈 상처에 4 file 이정원 2012.10.12 5439 허허당 스님 예당 허허당 스님 2012-10-23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오후 7시
158 123 인문사회 세상을 바꾼 문자, 알파벳 file 박문호 2007.07.25 5398 존 맨 예지 정원수 2007-08-0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57 24 문학 속 우리 도시 기행 file 관리자 2003.06.21 3730 김정동 옛오늘 김정동 교수 2003-06-10
156 370 인문사회 대리사회 file 이근완 2018.01.28 322 김민섭 와이즈베리 김민섭 2018-02-13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55 80 요가와 뇌 file 관리자 2005.10.06 4069 안의태 요가코리아사 안의태 2005-10-25
154 372 문학예술 회색인간 file 관리자 2018.03.04 476 김동식 요다 김동식 & 김민섭 2018-03-1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53 14 시인을 찾아서 file 관리자 2003.06.21 3996 신경림 우리교육 2002-12-20
152 66 사상 관리자 2005.02.17 3985 추만호 우리문화연구원 추만호 2005-03-22
151 343 문학예술 이반 일리치의 죽음 file 이근완 2016.11.25 586 레프 톨스토이(소설가) 저/ | 박은정 역 웅진씽크빅 최나경 플룻티스트 2016-12-1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50 226 정재승+진중권 크로스 3 file 강신철 2011.11.10 5838 정재승, 진중권 웅진지식하우스 진중권 2011-11-17 중구문화원 오후 7시
149 443 경영경제 [백북스시즌2 책밤30]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실리콘 밸리 file 조수윤 2022.03.07 244 애덤 피셔 워터베어프레스 책밤지기 : 윤수영 트레바리 대표 2022-03-08 이도저도 오후 7:15
148 174 배려 file 박문호 2009.09.15 6994 한상복 위즈덤하우스 (주)선양 조웅래 회장 2009-09-22 저녁7시|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강당
147 85 경영.경제.인생 강좌 45편 file 관리자 2005.12.21 3612 윤석철 위즈덤하우스 강신철 2006-01-10
146 232 삶의 정도 3 file 이정원 2012.02.16 5287 윤석철 위즈덤하우스 현영석 교수 2012-02-28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45 346 자연과학 게놈 익스프레스 (유전자의 실체를 벗기는 가장 지적인 탐험) file 이근완 2017.01.13 463 조진호 위즈덤하우스 조진호 2017-01-24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44 468 경영경제 그렇게 물어보면 원하는 답을 들을 수 없습니다 file 조수윤 2023.04.26 360 김호 더랩에이치 대표 위즈덤하우스 김호 더랩에이치 대표 2023-05-23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143 147 기타 위트로 읽는 위트 file 박문호 2008.07.25 5507 류종영 유로서적 류종영 교수 2008-08-1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42 7 상하이 리포트 file 관리자 2003.06.21 4343 한국경제 특별 취재팀 은행나무 2002-09-10
141 475 문학예술 불타는 작품 file 조수윤 2023.11.29 609 윤고은 작가 은행나무 윤고은 작가 2023-12-26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140 330 문학예술 그림이 된 여인 file 이근완 2016.04.28 1319 허나영(미술평론가) 은행나무 허나영(미술평론가) 2016-05-10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39 394 인문사회 글자 풍경 file 관리자 2019.03.27 345 유지원 을유문화사 유지원 2019-04-09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38 412 기타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 file 조수윤 2020.01.15 1313 유현준 을유문화사 오한솔 2020-01-28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137 194 바로크음악의 역사적 해석 file 강신철 2010.07.21 6140 민은기 음악세계 오지희 교수 2010-07-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136 22 미래속으로 file 관리자 2003.06.21 3627 에릭 뉴트 이끌리오 2003-05-06
135 269 초파리의 기억 3 file 관리자 2013.09.12 5703 조너던 와이너 이끌리오 김우재 박사 2013-09-24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34 450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37] 천개의 뇌 file 조수윤 2022.06.20 276 제프 호킨스 이데아 책밤지기 : 박성일 원장(박성일한의원) 2022-06-28 대전 백북스홀 (대전 탄방역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133 375 자연과학 생각의 기원 file 관리자 2018.04.12 363 마이클 토마셀로 이데아 이정원 2018-04-24 대전 오후 7:15
132 419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6] 건지 감자껍질파이 북클럽 file 조수윤 2021.01.27 259 메리 앤 섀퍼, 애니 배로스 이덴슬리벨 책밤지기 : 전원경(세종사이버대 휴머니티칼리지 교수) 2021-02-09 이도저도 오후 7:15
131 173 세컨드 네이처 3 file 박문호 2009.09.02 7435 제렐드 에델만 이음 박문호 박사 2009-09-08 저녁7시|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강당
130 404 자연과학 사람의 자리 과학의 마음에 닿다 file 조수윤 2019.08.28 261 전치형(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 이음 전치형(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 2019-09-10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29 176 세계종교사상사 file 박문호 2009.10.23 6741 미르치아 엘리아데 이학사 이병록 제독 2009-10-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128 139 문학예술 현대음악사 file 박문호 2008.03.26 5648 폴그리피스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박순희 교수 2008-04-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27 314 인문사회 동물들의 침묵 (진보를 비롯한 오늘날의 파괴적 신화에 대하여) 1 file 이근완 2015.08.28 1314 존 그레이 이후 박성일(백북스 대표) 2015-09-08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126 105 경영경제 디트로이트의 종말 file 관리자 2006.11.09 4784 미쉐린 메이너드 인디북 현영석 교수 2006-11-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25 246 창의성의 또다른 이름 트리즈(TRIZ) 2 file 김형렬 2012.09.16 4760 김효준 인피니티북스 김효준 소장 2012-09-26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24 117 원효의 대승기신론 소. 별기 file 박문호 2007.05.03 5473 은정희 일지사 박문호 2007-05-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23 340 문학예술 책의 역사 file 이근완 2016.10.17 393 부길만(대학교수) 일진사 부길만(대학교수) 2016-10-25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22 312 인문사회 뇌처럼 현명하게 file 이근완 2015.08.03 1207 패트리샤 처칠랜드 저/박제윤 역 자연과 철학사 박제윤 철학박사 2015-08-11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21 90 유뇌론 file 관리자 2006.03.20 3645 요로다케시 재인 박문호 2006-03-28
120 46 뇌로부터 마음을 읽는다 file 관리자 2004.05.18 3867 오키고스케 전파과학사 박문호 박사 2004-05-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