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조회 수 27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440
저자 마이클 티어노
출판사 아우라
발표자 책밤지기 : 김용석
일자 2022-01-25
장소 이도저도
시간 오후 7:15

3.jpg

<책소개>

 

유용하고 재밌는 글쓰기 지침서!

『스토리텔링의 비밀』. 글쓰기에서 플롯 구성을 잘하고자 노력하는 사람들을 위한 〈시학〉 입문서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은 현재 할리우드 제작자들에게 ‘시나리오를 쓰기 위한 바이블’로 여기고 있고, 영화감독 게리 로스는 〈시학〉을 시나리오 쓰기에 관한 가장 간결하고 정확한 책이라 평했다.

이 책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시학〉에서 이야기한 플롯 구성 원칙을 현대적으로 되살려놓은 것이다. 극적인 이야기 구조가 현대 영화에서도 중요시 된다는 점을 이야기하며 드라마틱한 글쓰기 방법론을 소개한다. 아리스토텔레스가 가장 중요한 요소로 본 플롯을 짜는 능력, 즉 강력한 이야기 구조를 만들어 내는 능력을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으로 집어 놓았다.

다음으로 저자는 이야기는 반드시 행동에 관한 것이어야 하며, 시나리오 작가들은 반드시 인물의 행동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플롯 구성 단계에서 행동을 이야기의 아이디어로 생각하라고 역설한다. 그리고 시학에서 이끌어낸 액션 아이디어, 행동의 최초 동기, 운명의 반전과 발견, 우연, 필연 등 플롯 구성 원칙과 그 실제 사례를 33개의 장에 걸쳐 이야기한다.?[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저자소개>
 
저자 : 마이클 티어노

지은이 마이클 티어노(MICHAEL TIERNO)
시나리오 작가 겸 독립영화 〈오디션〉의 감독. 미라맥스 필름, IDT 엔터테인먼트 등에서 스토리 애널리스트로 활동했다. 현재 이스트 캐롤라이나 대학(EAST CAROLINA UNIVERSITY)에서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역자 : 김윤철
옮긴이 김윤철(金允澈)
서울대 국문과를 졸업한 뒤 14년간 MBC PD로 활동했으며 칼아츠(CALIFORNIA INSTITUTE OF THE ARTS) 대학원에서 영화연출 석사과정(MFA)을 마쳤다. 연출한 작품으로 미니시리즈 〈내 이름은 김삼순〉 〈케세라세라〉 등이 있고 드라마 〈늪〉으로 2004년 몬테카를로 TV 페스티벌 골드 님프상을 수상했다.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책밤지기 : 김용석>
 

'파워포인트 블루스' 저자

IT 전략 컨설턴트

하이텔 언더그라운드 음악 동호회 창립자 & 운영자

http://www.demitrio.com/?page_id=4427

 

 
<책밤지기 추천도서 목록>
 
오늘 추천할 서적들은 보고서 코치로서 문서와 프레젠테이션이 일상인 모든 분들에게 도움이 될만한 실용서입니다. 강의가 끝난 직후 노트북과 케이블을 정리해 가방에 넣고있다보면 몇 분이 오셔서 질문을 하곤 합니다. 그런데 대부분의 질문이 책 한 권 분량으로 대답할만한, 범위가 넓은 질문들이죠. 자주 나오는 질문 네 가지와 그에 대한 대답으로 추천해 드릴만한 책 네 권을 소개합니다.
 
1. 논증의 기술
앤서니 웨스턴 지음 | 이주명 옮김 | 필맥 | 2019년 08월 15일 출간 (1쇄 2004년 08월 01일)
 
'임팩트 있는 문장과 단락을 만드는 구체적인 방법이 있나요?'라는 질문을 받았을 때 이 책을 추천합니다. 논리구성의 기본부터 복잡한 연역논증, 논리의 확장과 구두표현, 흔한 실수 등 10개 영역에 걸쳐 꼼꼼하게 주제를 커버하고 있습니다. 이 책을 보면서 감명깊었던 것은 간결한 구성때문이었습니다. 10개의 영역(챕터)을 50개 규칙으로 구분하고 각 Rule은 구체적인 문장 예제와 설명을 곁들여 보통 3페이지 정도로 간단하게 끝을 맺습니다. 과자를 한 통에 담아놓지 않고 소포장 해놓아 재미없고 지루할 수 있는 내용에 접근성을 부여한 것이죠.
이러한 간결함은 깊은 내공을 요구합니다.
이 책에 나온 '규칙5. 말의 어감에 기대지 말고 실질적 근거를 대라'는 저도 다른 용어로 항상 교육생들에게 강조하는 부분입니다. 여기에 이런 예문이 나옵니다. '한때 자랑스러웠던 여객열차가 쇠퇴하도록 놔둔 것은 정말로 불명예스러운 일이다. 미국은 지금 당장 명예를 걸고 여객열차를 부흥시켜야 한다' 저자는 감정이 실린 단어만 보일 뿐 결론을 뒷받침하는 증거는 제시되지 않았다고 비판하면서 이 문장의 새로운 방향에 대해 두 페이지 정도를 할애해 얘기합니다. 여러개의 예문을 제시하고도 충분하지 못한 것 보다 훨씬 더 구체적이면서도 간결했습니다. 보고서쓰기가 일상인 지식노동자라면 항상 손이 닿는 곳에 둘 만한 책입니다.

 

2. 필립 퍼키스의 사진강의노트
필립 퍼키스 지음 | 박태희 옮김 | 필립 퍼키스 사진 | 안목 | 2019년 02월 24일 출간 (1쇄 2011년 02월 08일)
 
'남다른 생각이 나오도록 하려면 뭘 연습해야 하나요?'란 질문을 받았을 때 가장 먼저 생각나는 책입니다. 미술시간에 선생님이 추천하셨죠. 사물을 보고 그림을 그리는데 몇 초만 보고 상상으로 그리지 말고 슬로비디오를 돌리듯 매일 보는 간단한 사물을 5분동안 눈으로 따라가보라고 하셨어요.  전 그 사물에 굼벵이가 기어간다 생각하고 천천히 보기 시작했는데 1년이나 매일 보던 그 테이블의 다리 장식과 마감을 그때서야 자세히 알게되었습니다. 그리고 이 책을 추천받았죠. 우리가 아는 유명한 사진작가와 영화감독, 작가 들은 단순히 기술이 좋은게 아니라 사물을 바라보는 시각이 달라 같은걸 봐도 다른 결과가 나온다고 말이죠.
이 책은 사진에 대한 책이지만 사물을 관찰하고 아이디어를 다룬다는 측면에선 모두가 한번 쯤 고민해봐야 할 주제를 던집니다.

 

3. 스토리텔링의 비밀
마이클 티어노 지음 | 김윤철 옮김 | 아우라 | 2008년 11월 01일 출간
 
'스토리텔링에 익숙해지는 방법이 있을까요?'라는 질문도 자주 들어옵니다. 기본적으로 영화를 자주 보고 관객이 아닌 감독, 작가입장이 되어 생각해보는게 도움이 된다고 대답하곤 합니다. 그리고 이 책이 작가입장에서 플롯을 짜고 관객의 반응을 이끌어내는 메커니즘을 설계하는데 기초적인 프레임을 제시합니다. 수천년전 사람인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을 토대로 말이죠.
전 이 책을 읽고 전혀 다른 장르인 보고서 쓰기 강의를 하면서 '플롯'란 용어를 강의에 사용해야 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프레젠테이션을 '매우느린 무성영화'로 간주하기 시작했죠.

 

4. TED 프레젠테이션 세계가 감동하는 TED, 12가지 비밀
제레미 도노반 , 윤지현 (해제) 지음 | 김지향 옮김 | 인사이트앤뷰 | 2020년 07월 15일 출간
 
'논리전개와 스토리텔링의 좋은 사례가 있을까요?'란 질문이 지난 10년간 가장 많았던 것 같습니다. 바둑기사가 남의 기보를 연구하며 자신의 실력을 증진시키듯 논리구성과 전개 역시 다양한 사람들의 발표를 지켜보고 연구하는 것이 최상의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TED는 그런면에서 그 자체로 최고의 학습자원입니다. 이 책은 그런 TED를 12개의 키워드로 분석하는 전문가의 통찰을 볼 수 있는 흥미로운 책입니다. 책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뉘는데 전반부 전체가 스토리구성에 대한 여섯 가지의 키워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저자인 제레미 도노반을 따라가면서 실제 TED를 보고 스스로의 해석을 저자의 것과 비교해 본다면 그보다 더 좋은 논리전개 공부가 없을 듯 합니다.

 

 

<백북스 시즌2 책밤 소개>

https://www.notion.so/f36b20bed246443b883c9345735ac57d

5.jpg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80 231 문학예술 테마 현대미술 노트 5 file 송윤호 2012.02.03 6106 진 로버트슨, 크레이그 맥다니엘 공저 두성북스 미술비평가 김준기 (대전문화예술의전당 학예실장) 2012-02-14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저녁 7시
79 214 달마는 서쪽에서 오지 않았다 file 강신철 2011.05.12 6117 보리 달마 저/덕산 스님 역 비움과 소통 덕산 스님 2011-05-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78 115 자연과학 우주의 구조 2 file 박문호 2007.03.30 6128 브라이언 그린 승산 박문호 2007-04-10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77 282 민주주의에 反하다 file 유화현 2014.03.29 6130 하승우 낮은산 하승우 교수 (저자) 2014-04-08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홈플러스탄방점 맞은편) 오후 7시
76 194 바로크음악의 역사적 해석 file 강신철 2010.07.21 6140 민은기 음악세계 오지희 교수 2010-07-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75 287 기후불황 file 유화현 2014.06.12 6156 김지석 센추리원 김지석 외교관(저자) 2014-06-24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74 167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file 박문호 2009.05.28 6168 신영복 돌베개 신영복 교수 2009-06-09 대전시립미술관 대강당 오후 7시
73 116 팹 (FAB) file 박문호 2007.04.11 6205 닐 거센펠드 비즈앤비즈 안윤호 2007-04-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72 290 진중권의 이미지 인문학 1 file 유화현 2014.07.24 6265 진중권 천년의상상 진중권 작가 2014-08-12 대전시립미술관 1층 대강당 오후 7시-9시
71 224 윤휴와 침묵의 제국 4 file 강신철 2011.10.12 6272 이덕일 다산초당 이덕일 박사 2011-10-25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오후 7시
70 128 인문사회 생각의 탄생 1 file 박문호 2007.10.15 6282 루터번스타인 에코의 서재 박문호 2007-10-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69 140 자연과학 뷰티풀 마인드 2 file 박문호 2008.04.09 6290 실비아 네이사 승산 김갑중 원장 2008-04-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68 270 조일전쟁 file 유화현 2013.09.26 6325 백지원 진명출판사 이병록 교수 (부산 동명대, 백북스 이사) 2013-10-08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 7시
67 146 문학예술 서양미술사 1 : 미학의 눈으로 읽는 고전 예술의 세계 file 박문호 2008.07.09 6424 진중권 휴머니스트 진중권 2008-07-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66 166 뇌와 내부세계 file 관리자 2009.05.15 6511 마크 솜즈 / 김종주 역 하나의학사 역자 김종주 2009-05-26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강당
65 252 여행하는 인문학자 7 file 김형렬 2012.12.28 6527 공원국 민음사 공원국 저자 2013-01-08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64 249 생각의 지도 1 file 이정원 2012.10.30 6587 진중권 천년의 상상 진중권 교수 2012-11-16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63 235 시골의사 박경철의 자기혁명 7 file 관리자 2012.03.28 6682 박경철 리더스북 박경철 2012-04-10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오후 7시
62 227 자연과학 생명 40억년의 비밀 file 문경수 2011.11.18 6687 리처드포티 까치글방 문경수 2011-12-06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저녁 7시
61 172 몽골의 역사 3 file 강신철 2009.08.15 6700 강톨가 동북아역사재단 역자 이평래 2009-08-25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60 177 묵자 2 file 강신철 2009.11.04 6735 기세춘 바이북스 묵점 기세춘 선생 2009-11-10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59 168 자본주의와 자유 file 강신철 2009.06.10 6737 밀턴 프리드먼 청어람미디어 변동열 변호사 2009-06-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오후 7시
58 171 인문사회 대한민국 60년 성찰과 전망 file 박문호 2009.07.30 6737 굿 소사이어티 지식산업사 윤여준 前환경부장관 2009-08-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57 176 세계종교사상사 file 박문호 2009.10.23 6741 미르치아 엘리아데 이학사 이병록 제독 2009-10-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56 230 붉은 광장의 아이스링크 18 file 한빛찬 2012.01.12 6810 김현택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임석희 2012-01-31 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747 박성일한의원 6층) 7:30
55 170 무한의 신비 1 file 강신철 2009.07.16 6895 애머 액젤 승산 신현용 교수 2009-07-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54 218 원자력 딜레마 1 file 강신철 2011.07.13 6973 김명자 사이언스 북스 김명자 전 환경부장관 2011-07-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후7시
53 189 경영경제 Seven Stars 일곱 사장 이야기 file 박문호 2010.04.29 6988 이숙경 성우애드컴 김학민 원장 2010-05-11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07호 소강당
52 174 배려 file 박문호 2009.09.15 6994 한상복 위즈덤하우스 (주)선양 조웅래 회장 2009-09-22 저녁7시|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강당
51 251 내 눈 속의 한의학 혁명 file 김형렬 2012.11.30 7064 박성일 천년의상상 박성일 원장 2012-12-11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50 255 서양미술사 철학으로 읽기 4 file 이정원 2013.02.15 7170 조중걸 한권의책 조중걸 2013-02-27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49 222 클래식명곡을 낳은 사랑이야기 1 file 강신철 2011.09.16 7226 니시하라 미노루 문학사상사 박은아 플룻티스트 2011-09-27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오후7시
48 200 기타 몸의 철학 2 file 관리자 2010.10.18 7236 G.레이코프 저 / 임지룡 역 박이정 회원(200회행사) 2010-10-23 대전 온지당 오후 4시
47 225 블랙홀 전쟁 4 file 강신철 2011.10.26 7282 레너드 서스킨드 - 이종필역 사이언스 북스 이종필 박사 2011-11-08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오후7시
46 253 우린 마을에서 논다 3 file 관리자 2013.01.11 7301 유창복 또하나의문화 저자 유창복 2013-01-22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45 190 한국의 뇌과학자, 세계의 정상에 서다 1 file 관리자 2010.05.14 7315 박방주 궁리 조장희 2010-05-25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44 192 산소 file 박문호 2010.06.17 7316 닉 네인 파스칼 북스 박문호 2010-06-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43 186 물속의 발자국 5 file 강신철 2010.03.15 7394 이강산 문학과 경계 이강산 시인 2010-03-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후7시
42 173 세컨드 네이처 3 file 박문호 2009.09.02 7435 제렐드 에델만 이음 박문호 박사 2009-09-08 저녁7시|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강당
41 223 담금질 7 file 강신철 2011.09.28 7442 안희정 나남 안희정 충남도지사 2011-10-11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오후7시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