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조회 수 25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434
저자 셀던 솔로몬, 제프 그린버그, 톰 피진스키
출판사 흐름출판
발표자 책밤지기 : 천관율(시사IN 기자)
일자 2021-10-26
장소 이도저도
시간 오후 7:15

4.jpg

 

<책소개>

 

“인류 문명은 필멸하는 인간의 불멸을 향한 집념의 기록이다”

왜 인간은 다른 동물들처럼 생존을 추구하는 데에서 그치지 않고 자존감에 목숨 걸며 여러 집단에 소속되고 각종 문화 활동에 전념하는 것일까? 셸던 솔로몬, 제프 그린버그, 톰 피진스키, 이 세 명의 실험사회심리학자는 인간 행동의 근원적인 동기가 죽음의 공포에서 벗어나려는 것임을 30여 년간 500건이 넘는 연구관찰, 실험을 통해 입증함으로써 세계 심리학계에 지각변동을 일으킨 ‘공포 관리 이론(TERROR MANAGEMENT THEORY, TMT)’을 정립했다.

책은 공포 관리 이론과 연구를 설명한다. 1부에서는 공포 관리 이론의 기본 원리와 공포 관리의 양대 기둥인 문화적 세계관과 자존감을 소개한다. 2부에서는 ‘우리 선조에게 죽음이라는 문제가 어떻게 발생했는가’와 ‘그들은 죽음의 문제에 어떻게 대처했는가’라는 질문에 답하고자 고대사를 탐구한다. 3부는 언젠가 죽는다는 암시가 개인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한다. 아울러 현대 세계를 이해하고 죽음이라는 현실에 대처할 때 이 연구가 함축하는 바를 생각해본다.

대니얼 길버트 하버드 대학 심리학과 교수는 “삶을 이끄는 강력한 힘에 대한 독창적인 연구 성과”라고 격찬했고 하지현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는 “광범위한 연구와 조사를 통해 죽음의 불가피성이 인간을 얼마나 고귀하게, 또 바보같이 만드는 양날의 검 같은지 낱낱이 보여준다. 또 종교, 문화, 예술, 철학도 알고 보면 죽음에 대한 고민의 결과물이라는 것을 입증한다. 여러모로 죽음의 속살과 민낯을 함께 보는 낯선 경험을 선사하는 귀한 책”이라는 감회를 밝혔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저자소개>

 

저자 : 셸던 솔로몬
저자 셸던 솔로몬은 프랭클린 앤 마셜 대학에서 화학을 공부하다가 심리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심리학으로 전공을 바꾼 뒤 캔자스 대학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린버그 교수와 피진스키 교수와 함께 자아 존중, 문화, 종족 간 대립 등에 대해 협동 연구를 시작했고 이는 공포 관리 이론의 창시와 실증적 평가 연구로 이어졌다. 현재 스키드모어 대학에서 심리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자 : 제프 그린버그
저자 제프 그린버그는 펜실베이니아 대학에서 심리학을 전공하고 서던 메소디스트 대학에서 사회심리학 석사 학위를, 캔자스 대학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인간의 사회적 행동을 결정하는 요인에 대한 탐구를 연구 주제로 삼고 있으며, 여러 차례 관련 상을 수상했다. 현재 애리조나 대학에서 심리학을 가르치고 있다.

저자 : 톰 피진스키
저자 톰 피진스키는 위스콘신 밀워키 대학을 졸업한 뒤 캔자스 대학에서 사회심리학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죽음, 자유, 고립과 같은 인간 존재의 문제에 엄격한 과학적 방법을 적용하는 실험적 실존심리학 분야에서 중심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현재 콜로라도 대학 콜로라도 스프링스 캠퍼스에서 심리학을 가르치고 있다.

역자 : 이은경
역자 이은경은 연세대학교에서 영어영문학과 심리학을 공부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영문에디터로 근무하며 바른번역 아카데미를 수료한 후 현재 바른번역 소속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우리는 어떻게 마음을 움직이는가》 《긍정의 재발견》 《창조의 탄생》 《누가 내 생각을 움직이는가》 《인생학교 역경에 맞서는 법》 《인생학교 나이 드는 법》 《나와 마주서는 용기》 《슈퍼 서바이버》 《네이키드 퓨처》 등이 있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책밤지기 : 천관율(시사IN 기자)>

 

<시사IN> 기자. 대학에서 역사학을 공부했다. 기자가 글 쓰는 직업이라고 잘못 알고 골랐다. 되고 보니 사람 만나는 직업이었다. 2008년부터 기자로 일하면서 주로 정치 기사를 썼다. 하도 낯을 가리니 정치권 네트워크가 경력 대비 알량하다. 데이터 저널리즘을 비교적 일찍 시도해 2011년부터 이런저런 강연 연사로 불려 다녔다. 정작 쓸 줄 아는 프로그램은 워드프로세서 하나다. 의사소통 도구 중에 그나마 멀쩡하게 다루는 도구가 글이다. 영상이 지배하는 시대에도 활자의 매력은 사라지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다닌다. 할 줄 아는 게 그거 하나라 예측이라기보다는 염원에 가깝다. 저서로 <천관율의 줌아웃>이 있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책밤지기 추천도서 목록>

 

대학때 역사를 전공했습니다. ‘문화사’라는 게 있었는데, 도대체가 의미를 모르겠더라고요. 그때는 대학생이면 다들 맑시스트였던 시절이라 ‘경제사’가 대세였습니다. 인간 행동을 이해하려면 물질적 조건을 봐야지 말랑말랑하고 실체도 없는 문화가 웬 말이냐, 였죠.

제가 요즘에서야 문화가 인간 행동을 설명하는 강력한 힘인 이유를 이해하고 있습니다. 문화라는 게 꼭 블록체인 같아요. 중앙기억장치가 없으면 데이터가 엄청나게 취약해 보이지만, 사실은 아주 많은 기억장치에 분산저장을 해 두면 훨씬 더 안전하죠. 데이터를 바꿔 쓰기가 훨씬 어렵습니다. 문화도 그런 것 같습니다. 눈에 보이지 않지만, 그 문화를 공유하는 사람들에게 ‘분산저장’해 두면 그거 진짜 안 바뀌죠. 제사상을 뒤집어엎는 건 상대적으로 쉽지만, 제사를 지내야 한다는 어떤 합의를 바꾸는 건 훨씬 더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제가 문화의 힘을 이해하게 해 준 책 네 권을 소개합니다.

0. 숲 속의 평등 (크리스토퍼 보엠, 김성동 옮김, 토러스북)


원제 <숲 속의 위계>가 훨씬 함축적입니다. 흔히 말하는 수렵채집민의 평등 상태를 ‘뒤집힌 위계 상태’로 바꿔 보는데, 그 순간 자유와 평등이라는 익숙한 개념을 이해하는 방식이 완전히 달라집니다. 인류학자가 쓴 위대한 정치학.

1. 감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리사 펠드먼 배럿, 최호영 옮김, 생각연구소)


이 책은 우리 뇌의 입장에서 세상을 상상해 보라는 희한한 제안을 합니다. 물리세계는 그저 존재하는 것이지 인간이 만든 개념(대표적으로 시간이나 색깔)에는 관심이 없습니다. 우리 뇌는 어두운 통 속에 들어가 외부세계를 탐색합니다. 감각기관을 통해 들어오는 정보 조각을 끌어모아 필사적으로 세계에 대한 인식을 구성합니다. 그러려면 개념으로 가설을 세워야 합니다. 그리고 이 개념의 타당성은 다른 뇌에 서로 의존해 맞춰 갑니다. 문화란 가장 깊은 의미로는, ‘물리세계에 개념을 부여하는 집단적 방식’일지도 모릅니다.

2. 호모 사피엔스, 그 성공의 비밀 (조지프 헨릭, 주명진, 이병권 옮김, 뿌리와이파리)

: 문화는 어떻게 인간의 진화를 주도하며 우리를 더 영리하게 만들어왔는가


인간이 다른 동물과 근본적으로 갈라지는 능력은 모방하는 능력이라는 주장. 거기서부터 인간 행동에 대한 통찰로 나아가는 책입니다. 문화-유전자 공진화 이론을 계승합니다. 문화적 학습이 뇌를 만들고, 뇌가 문화적 학습거리를 만듭니다. 집단두뇌가 먼저고 개별 지성이 나중입니다. 문화란 분산저장 매커니즘입니다. 따라서 정보손실에 취약하므로, 집단의 크기와 연결성이 높아야 지속가능의 문턱값을 넘습니다. 이른바 문명과 야만의 갈림길이란, 사실은 집단의 크기와 연결성 차이에서 나온 걸지도 모릅니다. 이 책을 읽고 문화를 일종의 블록체인으로 상상하게 됐습니다.

3. 변화는 어떻게 일어나는가 (데이먼 센톨라, 이충호 옮김, 웅진지식하우스)

: 새로운 행동, 믿음, 아이디어가 퍼져나가는 연결의 법칙


소셜 네트워크 연구를 다룬 책 중에서 제가 가장 인상깊게 읽은 책은 바라바시, 링크입니다. 이 책은 링크 이후 이 주제로 제가 읽은 가장 우아한 책입니다. 약한 연결이 중요하다는 이 바닥 대세에 맞서서, 바이러스 전염은 약한 연결이 핵심이지만, 인간의 모방 행동은 강한 연결을 요구한다는 테제를 내놓습니다. 모방 행동은 조정 문제(이 책에서는 ‘협응 문제’)니까요. 문화를 바꾼다는 건 분산저장 체제에서 덮어쓰기를 한다는 뜻이고, 그러려면 모두가 모두의 눈치를 보게 되니까요. 그런데도 인간의 모방 행동이 바뀌려면? 네, 약한 연결로는 안 되고 강한 연결이 필요합니다. 그러니까 이 책에서 인간이란 ‘조정 문제 풀이 머신’입니다. 즉, 인간이란 같은 문화권의 사람들에게 분산저장된 데이터(문화!)를 지키거나 덮어쓰는 기계입니다.

4. 슬픈 불멸주의자 (셀던 솔로몬, 제프 그린버그, 톰 피진스키, 이은경 옮김, 흐름출판)

: 인류 문명을 움직여온 죽음의 사회심리학


이 책의 주제는 ‘공포 관리 이론’입니다. 인간은 자신이 죽는다는 걸 아는 유일한 종입니다. 그 두려움이 너무나 크기 때문에, 인간은 죽음 이후에도 ‘나’가 영원히 존재한다는 믿음의 토대를 발전시켰습니다. 첫째, 내가 속한 문화권은 영속합니다. 둘째, 내가 거기에 무언가 기여한다는 감각, 자존감입니다. 경제학과 경제사는 인간이 효용 극대화를 추구한다는 전제(그걸 아무리 느슨하게 적용하든간에) 위에 서 있습니다. 이 책은 인간 행동의 근본 바탕에는 효용 극대화보다 깊은 ‘물적 토대’가 존재한다고 주장합니다. 죽음입니다. 그리고 인간이 죽음을 대하는 방식에서 문화가 등장하고 자존감이 등장합니다. 따라서 문화와 자존감이라는 동기는, 경제적 이익 추구라는 동기보다 더 근본적입니다.

어라…. 쓰고 보니 다섯권이군요(…) 제 손으로 한 권을 뺄 수가 없어서 전부 보냅니다만, 백북스 규칙에 따라 네 권으로 줄여야 한다면, <숲 속의 평등>을 빼겠습니다. 여기 나온 책 중에 제가 두 번째로 좋아하는 책이기는 하지만, 나머지 네 권과는 궤가 약간 다릅니다.

 

 

<백북스 시즌2 책밤 소개>

https://www.notion.so/f36b20bed246443b883c9345735ac57d

5.jpg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480 358 자연과학 히든 피겨스 file 이근완 2017.08.03 271 마고 리 셰털리 동아엠앤비 임석희(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17-08-08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479 289 휴보이즘 file 유화현 2014.07.10 5144 전승민 MID 전승민 기자(저자) 2014-07-22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478 377 문학예술 휠체어는 나의 날개 file 이근완 2018.05.11 231 차인홍 (오하이오 라이트 주립대학교 음악원 교수) 마음과생각 차인홍(오하이오 라이트 주립대학교 음악원 교수) 2018-05-2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수요일 오후 7시 15분
477 81 후손을 위한 원자력 file 관리자 2005.10.25 4518 장인순 한국원자력연구소 장인순 2005-11-08
476 382 문학예술 획: 글자쓰기에 대해 file 이정원 2018.07.27 484 헤릿 노르트제이 안그라픽스 유지원 (타이포그래피 연구자) 2018-08-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475 372 문학예술 회색인간 file 관리자 2018.03.04 476 김동식 요다 김동식 & 김민섭 2018-03-1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474 23 file 관리자 2003.06.21 3634 틱낫한 명진 강신철 교수 2003-05-27
473 126 기타 호주 file 박문호 2007.09.18 4977 일자 샤프 휘슬러 호주학습탐사팀 2007-09-2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72 213 호모 코뮤니타스 4 file 강신철 2011.04.28 8440 고미숙 그린비 고미숙 박사 2011-05-11 한남대학교 경상대학 방촌홀 오후7시
471 351 자연과학 호기심의 과학 (수식과 공식 뒤에 감춰진 살아 있는 물리학의 세계) file 이근완 2017.04.03 328 유재준 계단 유재준 2017-04-11 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오후 7시 15분
470 277 현대자동차 스피드경영 4 file 유화현 2014.01.18 4817 현영석 한국린경영연구원 현영석 교수(백북스 이사장) 2014-01-28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469 139 문학예술 현대음악사 file 박문호 2008.03.26 5648 폴그리피스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박순희 교수 2008-04-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68 239 현대예술 (형이상학적 해명) 7 file 한빛찬 2012.05.29 24453 조중걸 지혜정원 조중걸 2012-06-12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7시
467 266 현대미술의 심장 뉴욕미술 file 유화현 2013.07.31 4336 이주헌 학고재 김준기 학예실장님 2013-08-09 대전시립미술관 오후 7시
466 12 현대과학과리더십 file 관리자 2003.06.21 4388 마가렛휘틀리 북이십일 2002-11-26
465 209 허허당 - 비고 빈 집 6 file 강신철 2011.02.23 11255 허허당 스님 고인돌 허허당 스님 2011-03-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464 474 인문사회 해양실크로드 문명사 file 조수윤 2023.10.25 572 주강현 바다위의정원 주강현 2023-11-28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463 16 항우와 유방 file 관리자 2003.06.21 3935 시바료타로 북이십일 2003-01-28
462 135 문학예술 한시로 읽는 우리 문학사 4 file 강신철 2008.01.23 5665 김갑기 새문사 김갑기 2008-02-1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61 62 한남자의 그림사랑 file 관리자 2005.01.11 3812 김순응 생각의 나무 허진권 2005-01-25
460 202 한권으로 읽는 나노기술의 모든 것 1 file 강신철 2010.11.10 8381 이인식 고즈윈 이광섭 교수 2010-11-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459 400 문학예술 한국화의 기초 - 세기의 전환기 file 조수윤 2019.06.26 292 선승혜(대전시립미술관장) 앤스로디자인 선승혜(대전시립미술관장) 2019-07-09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458 91 한국의 전통마을을 가다 1,2 file 관리자 2006.03.23 3982 한필원 북로드 한필원 2006-04-11
457 137 기타 한국의 이공계는 글쓰기가 두렵다 file 박문호 2008.02.27 5714 임재춘 북코리아 임재춘 교수 2008-03-1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56 141 문학예술 한국의 디자인1,2 file 박문호 2008.04.24 5516 김영철 외 시지락 김영철 교수 2008-05-1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55 190 한국의 뇌과학자, 세계의 정상에 서다 1 file 관리자 2010.05.14 7315 박방주 궁리 조장희 2010-05-25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454 179 한국사 그들이 숨긴 진실 5 file 강신철 2009.11.25 9146 이덕일 역사의 아침 이덕일 2009-12-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오후7시
453 389 인문사회 하늘에 새긴 우리 역사 file 이근완 2019.01.19 250 박창범 김영사 샤론 2019-01-22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4번 출구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452 470 자연과학 하늘과 바람과 별과 인간 5 file 조수윤 2023.07.03 1085 김상욱 교수(경희대학교 물리학과) 바다출판사 김상욱 교수(경희대학교 물리학과) 2023-07-25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451 236 피로사회 12 file 관리자 2012.04.12 5962 한병철 문학과지성사 박성일 원장 (장소: 백북스홀) 2012-04-24 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450 257 피렌체, 시간에 잠기다 3 file 이정원 2013.03.13 5023 고형욱 사월의책 이정원 2013-03-26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449 196 플라톤에서 비트겐슈타인까지 8 file 강신철 2010.08.13 8867 조중걸 베아르피 조중걸 박사 2010-08-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448 193 프레시지옹 6 file 박문호 2010.06.30 8462 르 코르뷔지에 동녘 김억중 교수 2010-07-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연구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447 373 문학예술 프랑스 미술관 산책 file 관리자 2018.03.16 266 이영선 시공아트 이영선 2018-03-27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446 323 문학예술 풀꽃 나태주 시선집 file 이근완 2016.01.14 1677 나태주 지혜 나태주 2016-01-26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445 397 경영경제 포노사피엔스(스마트폰이 낳은 신인류) file 조수윤 2019.05.15 1329 최재붕(성균관대 기계공학부 교수) 쌤앤파커스 최재붕(성균관대 기계공학부 교수) 2019-05-28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444 198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file 박문호 2010.09.01 7933 사이먼 싱 영림 카디날 송용진 교수 2010-09-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443 144 문학예술 페니미즘 미술사 6 file 박문호 2008.06.12 5394 린다 노클린 예경 이지호 2008-06-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42 116 팹 (FAB) file 박문호 2007.04.11 6205 닐 거센펠드 비즈앤비즈 안윤호 2007-04-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41 390 인문사회 파이 굽는 엄마 file 이근완 2019.01.25 364 김요한 바이북스 김요한 2019-02-12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4번 출구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