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조회 수 39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430
저자 제임스 네스터
출판사 글항아리
발표자 책밤지기 : 박태근 (前 알라딘 MD)
일자 2021-08-24
장소 이도저도
시간 오후 7:15

4.jpg

 

<책소개 >

 

인간의 한계를 확장하는 프리다이버와 바다 속 동물들이 함께하는 황홀하고 압도적인 생명의 춤!

장비 하나 없이 바다 한가운데 뛰어들어 심연 아래로 사라지는 사람들. 90미터 해저까지 내려갔다가 미소를 띠고 올라오는 그들은 맨몸으로 바다와 뭍을 거침없이 넘나드는 프리다이버들이다. 『깊은 바다, 프리다이빙』은 저널리스트 제임스 네스터가 몸소 프리다이버가 되어 전 세계 수많은 프리다이버와 과학자를 만나 바다와 그 안에 간직된 인간의 가능성을 탐사한 기록이다.

저자는 우연한 기회에 단지 수영을 할 줄 안다는 이유로 그리스 남부 칼라마타에 취재를 나가게 되었다. 세계 프리다이빙 챔피언십이 프리다이빙의 ‘프’ 자도 모르던 그에게 주어진 미션이었다. 숙소에 도착한 저자는 프리다이빙 규칙과 스타 선수들을 구글링하며 하루를 보냈다. 잘 모르는 경기지만, 어려울 건 없어 보였다. 그러나 이튿날, 경기 시작을 알리는 카운트다운과 함께 그의 눈앞에 펼쳐진 광경은 두 눈으로 보고도 믿을 수 없는 것들로 가득했다.

대부분의 선수는 전신 마비가 오거나 목숨을 잃는 한이 있더라도 보통 사람들이, 심지어 과학자들도 불가능하다고 여기는 깊이까지 잠수를 시도한다. 죽기를 간절히 소망하는 스포츠로 보일 지경이다. 그런데도 취재를 마치고 샌프란시스코의 집으로 돌아온 저자의 머릿속은 며칠이 지나도록 프리다이빙이라는 다섯 글자로 가득했다. 그길로 그는 프리다이빙에 대해 더 알아가고, 점점 더 그것에 빠져들기 시작했다. 머리와 펜끝으로만이 아니라, 온몸으로.

알려지지 않은 프리다이빙의 세계를 파고들며 과학의 이단아 같은 연구자들과 익스트림 스포츠에 몸을 던진 선수들 틈으로 들어가 몸을 적신 저자는 수백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서도 엄청나게 정교한 의사소통을 주고받는 고래, 칠흑 같은 어둠 속에서 정확히 수직으로 헤엄치는 상어, 수심 730미터 아래에서 80분간 숨을 참으며 유영하는 바다표범, 초심해층에서 빛 한 점 없이 살아가는 심해 생물들의 신비로운 삶을 통해 바다 깊은 곳에서부터 시작된 인간 진화의 자취를 보여준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저자소개 : 제임스 네스터>

 

저자 : 제임스 네스터
작가, 저널리스트. 『뉴욕 타임스』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 『애틀랜틱』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아웃사이드』 『맨스 저널』 『드웰』 『살롱』 등 다수의 매체에 글을 기고했고, 40개가 넘는 텔레비전 및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했다. 2012년 벤 칼린이 수륙양용차로 10년간 세계를 일주한 이야기를 그린 『하프세이프HALF-SAFE』를 발표했고, 2016년 두 프리다이버 연구자가 돌고래의 언어를 해독하는 과정을 담은 VR 다큐멘터리 「클릭 이펙트THE CLICK EFFECT」의 각본을 써 에미상 ‘VR 체험’ 부문 수상 후보작에 이름을 올렸다. 다음 작품으로 인간의 호흡과 관련해 알려지지 않은 놀라운 과학적 사실들을 밝히는 책을 쓰고 있다.

역자 : 김학영
번역한 책 한 권이 누군가에게는 가치 있는 생각거리를 던져주고 또 누군가의 지친 삶에 작은 기쁨이 되어주길 바란다. 과학책을 우리말로 옮기면서 가장 큰 희열과 보람을 느낀다. 옮긴 책으로 『찰스 다윈 서간집 기원』 『찰스 다윈 서간집 진화』 『편집된 과학의 역사』 『의도적 눈감기』 『나, 소시오패스』 『크리에이션』 『원자, 인간을 완성하다』 『과학은 반역이다』 『우주에서 떨어진 주소록』 『멸종하거나, 진화하거나』 『스페이스 미션』 『프리먼 다이슨의 의도된 실수』 등이 있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책밤지기 : 박태근 (前 알라딘 MD)>

 

 

<책밤지기 추천도서 목록>

 

*** 주제 : 여름에 더욱 절실해지는 것들

 

1. 바람과 물 : <생태전환매거진 바람과 물 2021. 여름호> 재단법인 여해와함께 편집부 펴냄

- 추천 이유:
한여름, 바람과 물만큼 절실한 게 있을까. 그렇게 절실한 것을 왜 평소에는 감각하지 못하고 위기라는 소식에도 둔감한 걸까. 어쩌면 더워지는 바람과 뜨거워지는 물과 달리 차갑게 식어버린 마음 때문 아닐까. 이 잡지의 창간호 주제가 ‘기후와 마음’이라는 데에 마음이 움직인다.

2. 얼음 : <얼음의 제국> 에드워드 J. 라슨 지음, 임종기 옮김, 에이도스 펴냄

- 추천 이유:
북반구에 사는 나는 여름이면 남극 이야기를 다시 꺼내곤 한다. 아마도 더위 때문이겠다. 그런데 그곳에 닿으려 했던 그리고 종종 도착했던 그들은 더위 아닌 무엇 때문에 목숨을 걸고 길을 나섰을까. 시원한 얼음이 아니라 차가운 얼음 위에서 무엇을 찾으려 했던 걸까. 어쩌면 여름의 비밀이었을지도 모르겠다.

3. 나무 : <나무의 노래> 데이비드 조지 해스컬 지음, 노승영 옮김, 에이도스 펴냄

- 추천 이유:
땡볕 아래 도심에서는 빌딩숲의 그늘도 도움이 되지만, 그래도 그늘 하면 역시 나무다. 나무 전체가 아니라 지금 내 머리 위를 가려주는 그 나무 한 그루 말이다. 이 책은 이야기를 품고 생명을 이어주는 나무 하나하나의 사연을 전한다. 역시 나무는 품이 넓다. 열두 종의 나무 이야기가 생명 전체를 연결하니 말이다.

4. 바다 : <깊은 바다, 프리다이버> 제임스 네스터 지음, 김학영 옮김, 글항아리 펴냄

- 추천 이유:
여름 휴가지로 산과 바다 가운데 하나를 고르라면 주저하지 않고 바다를 고르겠다. 산은 어떻게든 인간이 꼭대기까지 오를 수 있지만 바다 밑까지 내려가는 일은 아직 어림도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책이 그 일을 해낸다. 바닷속에 머물렀던 인류에게 어쩌면 자연스러운 일 아닐까. 시원한 그곳으로 돌아가보자.
 

 

<백북스 시즌2 책밤 소개>

https://www.notion.so/f36b20bed246443b883c9345735ac57d

5.jpg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121 207 위대한 설계 file 박문호 2011.01.27 13047 스티븐 호킹 까치 국가 핵융합연구소 이경수 소장 2011-02-08 대전 유성구 가정동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120 206 녹색융합비즈니스 file 박문호 2011.01.15 9634 차원용 아스펙 차원용 박사 2011-01-25 전자통신연구원 1동 소강당 오후 7시
119 205 소셜 네트워크 e혁명 1 file 강신철 2010.12.29 10855 매튜 프레이저, 수미트라 두타 공저/최경은 역 행간 유창선 평론가 2011-01-1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118 204 정의란 무엇인가? 4 file 강신철 2010.12.15 10907 마이클 샌델 김영사 강신철 교수 2010-12-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117 203 밀림무정 I, II 9 file 강신철 2010.11.24 9619 김탁환 다산책방 김탁환 소설가 2010-12-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116 202 한권으로 읽는 나노기술의 모든 것 1 file 강신철 2010.11.10 8387 이인식 고즈윈 이광섭 교수 2010-11-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115 201 생태페다고지 2 file 강신철 2010.10.25 8141 우석훈 개마고원 우석훈 교수 2010-11-09 유성도서관 오후 7시
114 200 기타 몸의 철학 2 file 관리자 2010.10.18 7242 G.레이코프 저 / 임지룡 역 박이정 회원(200회행사) 2010-10-23 대전 온지당 오후 4시
113 20 바이오테크 시대 file 관리자 2003.06.21 3831 제레미리프킨 민음사 2003-04-08
112 2 승려와 수수께끼 file 관리자 2003.06.21 5330 랜디 코미사 바다 2002-06-25
111 199 인생이 허기질 때 바다로 가라 4 file 강신철 2010.09.29 7967 한창훈 문학동네 한창훈 소설가 2010-10-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19시
110 198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file 박문호 2010.09.01 7940 사이먼 싱 영림 카디날 송용진 교수 2010-09-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109 197 유한킴벌리 7 file 강신철 2010.09.03 7473 문국현.조동성 한스미디어 문국현 대표 2010-09-14 대전 한남대학교 경상대학 방촌홀 오후 7시
108 196 플라톤에서 비트겐슈타인까지 8 file 강신철 2010.08.13 8876 조중걸 베아르피 조중걸 박사 2010-08-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107 195 새로 쓰는 한일 고대사 6 file 강신철 2010.07.28 8363 김운회 동아일보사 김운회 교수 2010-08-10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19:00
106 194 바로크음악의 역사적 해석 file 강신철 2010.07.21 6143 민은기 음악세계 오지희 교수 2010-07-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105 193 프레시지옹 6 file 박문호 2010.06.30 8465 르 코르뷔지에 동녘 김억중 교수 2010-07-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연구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104 192 산소 file 박문호 2010.06.17 7323 닉 네인 파스칼 북스 박문호 2010-06-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103 191 돌아다보면 문득 file 강신철 2010.05.26 7618 정희성 창비 정희성 시인 2010-06-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102 190 한국의 뇌과학자, 세계의 정상에 서다 1 file 관리자 2010.05.14 7316 박방주 궁리 조장희 2010-05-25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101 19 정상에서 만납시다 file 관리자 2003.06.21 4108 지그 지글러 산수야 강신철 교수 2003-03-25
100 189 경영경제 Seven Stars 일곱 사장 이야기 file 박문호 2010.04.29 6999 이숙경 성우애드컴 김학민 원장 2010-05-11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07호 소강당
99 188 아무도 울지 않는 밤은 없다 file 강신철 2010.04.15 7562 이면우 창비 이면우 시인 2010-04-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98 187 낙타 7 file 강신철 2010.03.24 8450 신경림 창비 신경림 시인 2010-04-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97 186 물속의 발자국 5 file 강신철 2010.03.15 7398 이강산 문학과 경계 이강산 시인 2010-03-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후7시
96 185 아이투아이(itoi) 1 file 강신철 2010.03.03 8722 켄 윌버 저/김철수 역 대원출판 권선필 교수 2010-03-0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95 184 마인드 인 소사이어티 7 file 박문호 2010.02.12 9477 비고츠키 학이시습 박문호 박사 2010-02-23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 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94 183 게르만 신화 바그너 히틀러 5 file 강신철 2010.01.27 8217 안인희 민음사 안인희 박사 2010-02-0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93 182 저항의 인문학 file 강신철 2010.01.13 8764 Edward W. Said 마티 신명식 공동대표 2010-01-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19:00
92 181 경성, 사진에 박히다 file 박문호 2009.12.26 8423 이경민 산책자 이경민 작가 2010-01-12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91 180 진화경제학 4 file 박문호 2009.12.14 7481 마이클셔머 한국경제신문 주명진 원장 2009-12-22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90 18 달라이 라마의 행복론 file 관리자 2003.06.21 3721 류시화 김영사 2003-03-11
89 179 한국사 그들이 숨긴 진실 5 file 강신철 2009.11.25 9149 이덕일 역사의 아침 이덕일 2009-12-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오후7시
88 178 기억을 찾아서 2 file 박문호 2009.11.13 8003 에릭 캔델 랜덤하우스 김갑중 원장 2009-11-24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87 177 묵자 2 file 강신철 2009.11.04 6741 기세춘 바이북스 묵점 기세춘 선생 2009-11-10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86 176 세계종교사상사 file 박문호 2009.10.23 6743 미르치아 엘리아데 이학사 이병록 제독 2009-10-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85 175 나는 문학이다 file 박문호 2009.10.01 7450 장석주 나무이야기 저자 장석주 2009-10-13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강당
84 174 배려 file 박문호 2009.09.15 6995 한상복 위즈덤하우스 (주)선양 조웅래 회장 2009-09-22 저녁7시|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강당
83 173 세컨드 네이처 3 file 박문호 2009.09.02 7436 제렐드 에델만 이음 박문호 박사 2009-09-08 저녁7시|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강당
82 172 몽골의 역사 3 file 강신철 2009.08.15 6703 강톨가 동북아역사재단 역자 이평래 2009-08-25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