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문학예술
2021.06.23 17:25

[백북스시즌2 책밤16] 길 위의 독서

조회 수 3951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429
저자 전성원
출판사 뜨란
발표자 책밤지기 : 전성원 (황해문화 편집장)
일자 2021-07-13
장소 이도저도
시간 오후 7:15

1.jpg

 

<책소개 >

 

온몸으로 책을 읽고 글을 쓰며 살아온 독서인간의 인생

날마다 책을 읽고, 책을 만들고, 책을 쓰고, 책에 관해 강의하며 살아가는 독서인간 전성원. 계간 《황해문화》 편집장이며, 여러 매체에 글을 기고하는 칼럼니스트이자 개인 홈페이지 <바람구두연방의 문화망명지-사람으로 본 20세기 문화예술사>의 운영자이기도 하다. ‘바람구두’라는 닉네임으로 활동한 유명한 서평가로 먼저 기억하는 이들도 많다. 그가 그동안 써온 500편 이상의 서평들 가운데 자신의 삶에 대한 자전적 성찰이 담긴 글들을 골라 새롭게 고쳐 묶은 ‘인생 서평집’을 펴냈다. 여기에는 ‘개인사적 절망과 사회사적 절망이라는 두 겹의 절망’을 짊어진 채 누구보다 치열하게 살아온 그의 목소리가 생생하게 담겨 있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저자 및 책밤지기 소개?:?전성원 (황해문화 편집장) >

 

저자 전성원은 전태일이 세상을 떠난 1970년 통일로 연변 구파발에서 태어나 특전사 사령부 인근 거여동에서 성장했다. 할아버지와 아버지가 연이어 세상을 떠난 1979년 12월, 특전사 사령부에서 갑자기 울린 총소리를 들었다. 1980년 입원한 담임교사를 병문안하러 간 대학병원에서 중무장한 계엄군과 맞닥뜨린 뒤 ‘5월 광주’에 대해 의문을 품게 되었고, 중학교 3학년이던 1985년 11월 민정당 중앙정치연수원 농성사건을 학교 옥상에서 바라보았다. 1986년 올림픽선수촌 아파트 인근 고등학교에 진학하면서 건국대 근처 사회과학서점 인에 들락거리다 우연찮게 건국대 사태를 목격했고, 이후 시위 현장을 기웃거리기 시작했다. 1987년 서울지역고등학생운동연합을 결성해 그해 겨울 공정한 대통령선거와 교육민주화를 주장하며 명동성당에서 벌어진 농성시위에 참여했다. 이후 3년간 막노동자로 전국을 떠돌았다. 1991년 고교 2년 후배 천세용의 분신사건을 접하고 이듬해 서울예대 문예창작과에 진학했다. 졸업 후 광고기획사에서 한보, 삼성그룹 등의 광고를 제작하다가 수서비리사건으로 한보그룹이 문을 닫게 되자 그간의 삶에 회의를 느껴 퇴사한 뒤 새얼문화재단에 입사해 현재까지 《황해문화》를 만들고 있다. 성공회대학교에서 문화연구를 전공하여 석·박사과정을 수료했다.

《황해문화》 편집장, 성공회대학교 교양학부 겸임교수를 지내며 《시사IN》, 《경향신문》 등 여러 매체에 청탁받아 글을 쓰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누가 우리의 일상을 지배하는가』, 『무엇이 우리를 인간이게 하는가』(공저), 『아름다운 세상을 꿈꾸다』(공저), 『아뿔사, 난 성공하고 말았다』(공저) 등이 있다.

웹상에 ‘바람구두연방의 문화망명지(HTTP://WINDSHOES.NEW21.ORG)’를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책밤지기 추천도서 목록>

 

1. 『길 위의 독서』 전성원 - 뜨란

(바람구두 인생 서평)


- 추천이유 : 제가 쓴 책입니다만, 한 인간이 책을 통해, 독서를 통해 자신의 삶을 어떻게 직조할 수 있었는가를 살펴보는 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여 추천해 드립니다. 책은 누군가 한 인간과 만나게 해주고, 그 사람의 마음을 내 마음에 깃들 수 있게 해주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2. 『어려운 책을 읽는 기술』 다카다 아키노리 저, 안천 옮김 - 바다출판사

(어떻게 하면 시대를 뛰어넘는 명저를 제대로 읽을 수 있을까)


- 추천이유 : 현장에서 독서를 통한 교육, 대학, 대학원 등에서 책과 관련한 강의를 진행하면서 대졸 이상의 학력을 가진 이들도 인문사회과학 분야의 조금 난해한 책 읽기를 어려워하는 것을 많이 보았습니다. 이 책이 정답도 아니고, 이 책을 읽는다고 해서 누구나 어려운 책을 읽는 기술을 습득할 수는 없더라도 책읽기에 대한 생각을 좀 더 깊이 하실 수 있습니다.

3. 『신화의 역사』 카렌 암스트롱 저, 이다희 옮김 - 문학동네

(세계신화총서 1)


- 추천이유 : T. W. 아도르노는 『계몽의 변증법』에서 ‘신화가 죽은 것을 산 것과 동일시한다면 계몽은 산 것을 죽은 것과 동일화한다.’라면서 신화의 세계에서 자연과 사물을 생명을 지닌 대상으로 취급한다면 계몽은 자연을 죽은 것으로 취급하여 이용과 정복의 대상으로 대한다고 말했습니다. 자연과 사물을 죽은 것으로 취급하는 서구 계몽의 결과, 우리는 자신의 삶과 죽음을 수용하는 방법도 잃어버리고 말았지요. 신화의 역사를 통해 바라본 인류사에 대한 깊은 통찰을 담고 있으면서도 매우 쉽게 읽을 수 있습니다.

4. 『프롤레타리아여 안녕』 앙드레 고르 저, 이현웅 옮김 - 생각의나무

(사회주의를 넘어서)


- 추천이유 : 개인적으로 사랑하는 사상가이자 실천하는 활동가였던 앙드레 고르의 대표작 중 하나입니다. 헤겔에서 마르크스에 이르는 사상적 자원이 일부 요구되기는 하지만, 후기산업사회(포스트모던) 사회에서 살아가고 있는 우리에게 일과 노동, 젠더, 생태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삶의 대안을 모색할 수 있게 도와주는 책입니다.

 

 

<백북스 시즌2 책밤 소개>

https://www.notion.so/f36b20bed246443b883c9345735ac57d

5.jpg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81 216 공론장의 구조변동 file 강신철 2011.06.18 8161 위르겐 하버마스 나남 김준기 대전시립미술관 학예실장 2011-06-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80 234 공감의 시대 6 file 관리자 2012.03.14 5540 제레미 리프킨 민음사 김갑중 원장 2012-03-27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79 297 고전의 향기에 취하다 file 강신철 2014.11.26 4330 김갑기 21세기북스 김갑기 교수 2014-12-09 백북스홀 7시30분
78 103 인문사회 고수기행 file 관리자 2006.09.27 4935 조용헌 랜덤하우스중앙 조용헌 2006-10-10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77 244 고산자 1 file 김형렬 2012.08.14 5356 박범신 문학동네 박범신 2012-08-26 장동산림욕장 16:00
76 134 고대문명교류사 file 박문호 2008.01.09 4828 정수일 사계절출판사 김홍섭 회원 2008-01-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75 162 고대도시 경주의 탄생 file 박문호 2009.03.12 4753 이기봉 박사 푸른 역사 이기봉 박사 2009-03-24
74 85 경영.경제.인생 강좌 45편 file 관리자 2005.12.21 3612 윤석철 위즈덤하우스 강신철 2006-01-10
73 181 경성, 사진에 박히다 file 박문호 2009.12.26 8422 이경민 산책자 이경민 작가 2010-01-12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72 183 게르만 신화 바그너 히틀러 5 file 강신철 2010.01.27 8217 안인희 민음사 안인희 박사 2010-02-0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71 346 자연과학 게놈 익스프레스 (유전자의 실체를 벗기는 가장 지적인 탐험) file 이근완 2017.01.13 467 조진호 위즈덤하우스 조진호 2017-01-24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70 304 인문사회 거창고 아이들의 직업을 찾는 위대한 질문 2 file 김홍섭 2015.03.20 1079 강현정,전성은 공저 메디치미디어 강현정(교육전문기자) 2015-03-24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69 350 인문사회 거짓말이다. 1 file 이근완 2017.03.20 1131 김탁환 북스피어 김탁환 2017-03-28 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오후 7시 15분
68 392 인문사회 같이 읽고 함께 살다 file 관리자 2019.02.27 371 장은수 느티나무책방 장은수 2019-03-12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7시 30분
67 167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file 박문호 2009.05.28 6169 신영복 돌베개 신영복 교수 2009-06-09 대전시립미술관 대강당 오후 7시
66 401 문학예술 갈매기의 꿈 file 관리자 2019.07.11 456 리처드 바크 나무옆의자 서윤신 (몸짓 아티스트, FCD무용단 대표) 2019-07-23 대전 백북스홀 (대전 탄방역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65 143 문학예술 가재미 3 file 박문호 2008.05.28 5281 문태준 문학과 지성 문태준 시인 2008-06-10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64 338 문학예술 [취소되었습니다] 그림 영혼의 부딪힘(명화로 배우는 감정의 인문학) 1 file 이근완 2016.08.30 360 김민성 알에이치코리아 김민성 2016-09-27 대전 탄방역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63 422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9] 내 이름은 빨강 1~2권 file 조수윤 2021.03.11 318 오르한 파묵 민음사 책밤지기 : 장은수 2021-03-23 이도저도 오후 7:15
62 421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8] 페르세폴리스 file 조수윤 2021.03.03 270 마르잔 사트라피 휴머니스트 책밤지기 : 김태형 2021-03-09 대전 대흥동 가까운책방 오후 7:15
61 420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7] 사람, 장소, 환대 file 조수윤 2021.02.10 306 김현경 문학과지성사 책밤지기 : 김겨울 2021-02-23 이도저도 오후 7:15
60 419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6] 건지 감자껍질파이 북클럽 file 조수윤 2021.01.27 261 메리 앤 섀퍼, 애니 배로스 이덴슬리벨 책밤지기 : 전원경(세종사이버대 휴머니티칼리지 교수) 2021-02-09 이도저도 오후 7:15
59 418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5] 기억하는 몸 file 조수윤 2021.01.13 279 이토 아사 현암사 책밤지기 : 김초엽 작가 2021-01-26 이도저도 오후 7:15
58 465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52] 빛과 물질에 관한 이론 file 조수윤 2023.02.15 379 앤드루 포터 문학동네 책밤지기 : 박혜진 문학평론가 2023-02-28 이도저도 오후 7:15
57 464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51] 빼앗긴 자들 file 조수윤 2023.01.30 240 어슐러 K. 르 귄 황금가지 책밤지기 : 복도훈 문학평론가 2023-02-14 이도저도 오후 7:15
56 463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50] 다락방의 미친여자 file 조수윤 2023.01.03 342 샌드라 길버트, 수전 구바 북하우스 책밤지기 : 강창래 작가 2023-01-10 이도저도 오후 7:15
55 417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4] 향모를 땋으며 1 file 조수윤 2020.12.23 281 로빈 월 키머러 에이도스 책밤지기 : 이정모(국립과천과학관장) 2021-01-12 이도저도 오후 7:15
54 462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49] 생명이란 무엇인가 file 조수윤 2022.12.16 289 린 마굴리스, 도리언 세이건 공저 리수 책밤지기 : 하리하라 이은희 작가 2022-12-27 이도저도 오후 7:15
53 461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48] 소년이 온다 file 조수윤 2022.11.24 277 한강 창비 책밤지기 : 편성준 작가 2022-12-13 이도저도 오후 7:15
52 459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46] 해부학자 file 조수윤 2022.10.26 259 빌 헤이스 알마 책밤지기 : 이지유 작가 2022-11-08 이도저도 오후 7:15
51 458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45] 커리어 그리고 가정 file 조수윤 2022.10.12 251 클라우디아 골딘 생각의힘 책밤지기 : 유정훈 변호사 2022-10-25 이도저도 오후 7:15
50 457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44] 칠드런 액트 file 조수윤 2022.09.29 267 이언 매큐언 한겨레출판 책밤지기 : 정여울 작가 2022-10-11 이도저도 오후 7:15
49 456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43] 페퍼민트 file 조수윤 2022.09.14 301 백온유 작가 창비 책밤지기 : 오세란 작가 2022-09-27 이도저도 오후 7:15
48 455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42] 모던 팝 스토리 file 조수윤 2022.08.30 221 밥 스탠리 북라이프 책밤지기 : 정일서 PD 2022-09-13 이도저도 오후 7:15
47 454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41] 욕망의 모호한 대상 file 조수윤 2022.08.11 282 피에르 루이스 불란서책방 책밤지기 : 조진주 바이올리니스트 2022-08-23 이도저도 오후 7:15
46 453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40] 런던에서 만난 도시의 미래 file 조수윤 2022.08.03 234 김정후 21세기북스 책밤지기 : 유정미(대전대 교수 및 이유출판 대표) 2022-08-09 이도저도 오후 7:15
45 416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3] 당신 인생의 이야기 file 조수윤 2020.12.09 275 테트 창 엘리 책밤지기 : 유지원 2020-12-22 미정 오후 7:15
44 452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39] 여름은 오래 그곳에 남아 file 조수윤 2022.07.16 247 마쓰이에 마사시 비채 책밤지기 : 도헌정(폴인 에디터) 2022-07-26 이도저도 오후 7:15
43 451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38] 달리기를 말할 때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 file 조수윤 2022.06.30 277 무라카미 하루키 문학사상사 책밤지기 : 곽한영 교수(부산대 사범대 일반사회교육과) 2022-07-12 이도저도 오후 7:15
42 450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37] 천개의 뇌 file 조수윤 2022.06.20 295 제프 호킨스 이데아 책밤지기 : 박성일 원장(박성일한의원) 2022-06-28 대전 백북스홀 (대전 탄방역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