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문학예술
2021.06.23 17:25

[백북스시즌2 책밤16] 길 위의 독서

조회 수 3950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429
저자 전성원
출판사 뜨란
발표자 책밤지기 : 전성원 (황해문화 편집장)
일자 2021-07-13
장소 이도저도
시간 오후 7:15

1.jpg

 

<책소개 >

 

온몸으로 책을 읽고 글을 쓰며 살아온 독서인간의 인생

날마다 책을 읽고, 책을 만들고, 책을 쓰고, 책에 관해 강의하며 살아가는 독서인간 전성원. 계간 《황해문화》 편집장이며, 여러 매체에 글을 기고하는 칼럼니스트이자 개인 홈페이지 <바람구두연방의 문화망명지-사람으로 본 20세기 문화예술사>의 운영자이기도 하다. ‘바람구두’라는 닉네임으로 활동한 유명한 서평가로 먼저 기억하는 이들도 많다. 그가 그동안 써온 500편 이상의 서평들 가운데 자신의 삶에 대한 자전적 성찰이 담긴 글들을 골라 새롭게 고쳐 묶은 ‘인생 서평집’을 펴냈다. 여기에는 ‘개인사적 절망과 사회사적 절망이라는 두 겹의 절망’을 짊어진 채 누구보다 치열하게 살아온 그의 목소리가 생생하게 담겨 있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저자 및 책밤지기 소개?:?전성원 (황해문화 편집장) >

 

저자 전성원은 전태일이 세상을 떠난 1970년 통일로 연변 구파발에서 태어나 특전사 사령부 인근 거여동에서 성장했다. 할아버지와 아버지가 연이어 세상을 떠난 1979년 12월, 특전사 사령부에서 갑자기 울린 총소리를 들었다. 1980년 입원한 담임교사를 병문안하러 간 대학병원에서 중무장한 계엄군과 맞닥뜨린 뒤 ‘5월 광주’에 대해 의문을 품게 되었고, 중학교 3학년이던 1985년 11월 민정당 중앙정치연수원 농성사건을 학교 옥상에서 바라보았다. 1986년 올림픽선수촌 아파트 인근 고등학교에 진학하면서 건국대 근처 사회과학서점 인에 들락거리다 우연찮게 건국대 사태를 목격했고, 이후 시위 현장을 기웃거리기 시작했다. 1987년 서울지역고등학생운동연합을 결성해 그해 겨울 공정한 대통령선거와 교육민주화를 주장하며 명동성당에서 벌어진 농성시위에 참여했다. 이후 3년간 막노동자로 전국을 떠돌았다. 1991년 고교 2년 후배 천세용의 분신사건을 접하고 이듬해 서울예대 문예창작과에 진학했다. 졸업 후 광고기획사에서 한보, 삼성그룹 등의 광고를 제작하다가 수서비리사건으로 한보그룹이 문을 닫게 되자 그간의 삶에 회의를 느껴 퇴사한 뒤 새얼문화재단에 입사해 현재까지 《황해문화》를 만들고 있다. 성공회대학교에서 문화연구를 전공하여 석·박사과정을 수료했다.

《황해문화》 편집장, 성공회대학교 교양학부 겸임교수를 지내며 《시사IN》, 《경향신문》 등 여러 매체에 청탁받아 글을 쓰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누가 우리의 일상을 지배하는가』, 『무엇이 우리를 인간이게 하는가』(공저), 『아름다운 세상을 꿈꾸다』(공저), 『아뿔사, 난 성공하고 말았다』(공저) 등이 있다.

웹상에 ‘바람구두연방의 문화망명지(HTTP://WINDSHOES.NEW21.ORG)’를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책밤지기 추천도서 목록>

 

1. 『길 위의 독서』 전성원 - 뜨란

(바람구두 인생 서평)


- 추천이유 : 제가 쓴 책입니다만, 한 인간이 책을 통해, 독서를 통해 자신의 삶을 어떻게 직조할 수 있었는가를 살펴보는 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여 추천해 드립니다. 책은 누군가 한 인간과 만나게 해주고, 그 사람의 마음을 내 마음에 깃들 수 있게 해주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2. 『어려운 책을 읽는 기술』 다카다 아키노리 저, 안천 옮김 - 바다출판사

(어떻게 하면 시대를 뛰어넘는 명저를 제대로 읽을 수 있을까)


- 추천이유 : 현장에서 독서를 통한 교육, 대학, 대학원 등에서 책과 관련한 강의를 진행하면서 대졸 이상의 학력을 가진 이들도 인문사회과학 분야의 조금 난해한 책 읽기를 어려워하는 것을 많이 보았습니다. 이 책이 정답도 아니고, 이 책을 읽는다고 해서 누구나 어려운 책을 읽는 기술을 습득할 수는 없더라도 책읽기에 대한 생각을 좀 더 깊이 하실 수 있습니다.

3. 『신화의 역사』 카렌 암스트롱 저, 이다희 옮김 - 문학동네

(세계신화총서 1)


- 추천이유 : T. W. 아도르노는 『계몽의 변증법』에서 ‘신화가 죽은 것을 산 것과 동일시한다면 계몽은 산 것을 죽은 것과 동일화한다.’라면서 신화의 세계에서 자연과 사물을 생명을 지닌 대상으로 취급한다면 계몽은 자연을 죽은 것으로 취급하여 이용과 정복의 대상으로 대한다고 말했습니다. 자연과 사물을 죽은 것으로 취급하는 서구 계몽의 결과, 우리는 자신의 삶과 죽음을 수용하는 방법도 잃어버리고 말았지요. 신화의 역사를 통해 바라본 인류사에 대한 깊은 통찰을 담고 있으면서도 매우 쉽게 읽을 수 있습니다.

4. 『프롤레타리아여 안녕』 앙드레 고르 저, 이현웅 옮김 - 생각의나무

(사회주의를 넘어서)


- 추천이유 : 개인적으로 사랑하는 사상가이자 실천하는 활동가였던 앙드레 고르의 대표작 중 하나입니다. 헤겔에서 마르크스에 이르는 사상적 자원이 일부 요구되기는 하지만, 후기산업사회(포스트모던) 사회에서 살아가고 있는 우리에게 일과 노동, 젠더, 생태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삶의 대안을 모색할 수 있게 도와주는 책입니다.

 

 

<백북스 시즌2 책밤 소개>

https://www.notion.so/f36b20bed246443b883c9345735ac57d

5.jpg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380 405 문학예술 Paint it Rock file 관리자 2019.09.12 321 남무성 북폴리오 김용석 2019-09-24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379 53 무탄트 메시지 file 관리자 2004.08.25 3848 말로 모건 정신세계사 김용전 2004-09-07
378 107 기타 토사구팽 당하라 file 관리자 2006.12.03 4694 김용전 미다스북스 김용전 2006-12-1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77 269 초파리의 기억 3 file 관리자 2013.09.12 5703 조너던 와이너 이끌리오 김우재 박사 2013-09-24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376 347 문학예술 새벽 2시, 페소아를 만나다(나를 묻는 밤의 독서) file 이근완 2017.01.31 330 김운하 필로소픽 김운하 2017-02-14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75 268 카프카의 서재 2 file 유화현 2013.08.29 4836 김운하 한권의 책 김운하 작가 2013-09-10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 7시
374 279 릴케의 침묵 file 유화현 2014.02.12 4939 김운하 한권의 책 김운하 작가 2014-02-25 탄방동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홈플러스탄방점 맞은편) 오후 7시
373 195 새로 쓰는 한일 고대사 6 file 강신철 2010.07.28 8354 김운회 동아일보사 김운회 교수 2010-08-10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19:00
372 328 인문사회 상식철학으로 읽는 인류문명과 한국 사회 현실(김의수 교수의 철학에세이) file 이근완 2016.03.24 1543 김의수 (전북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 서광사 김의수(전북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 2016-04-12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371 24 문학 속 우리 도시 기행 file 관리자 2003.06.21 3731 김정동 옛오늘 김정동 교수 2003-06-10
370 60 생활의 발견 file 관리자 2004.11.23 3799 임어당 홍신문화사 김정렬 2004-12-28
369 217 청춘에게 안부를 묻다 2 file 강신철 2011.06.29 7707 김조년 바이북스 김조년 교수 2011-07-12 유성도서관 오후 7시
368 216 공론장의 구조변동 file 강신철 2011.06.18 8157 위르겐 하버마스 나남 김준기 대전시립미술관 학예실장 2011-06-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367 266 현대미술의 심장 뉴욕미술 file 유화현 2013.07.31 4336 이주헌 학고재 김준기 학예실장님 2013-08-09 대전시립미술관 오후 7시
366 287 기후불황 file 유화현 2014.06.12 6157 김지석 센추리원 김지석 외교관(저자) 2014-06-24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365 129 문학예술 열하광인 file 박문호 2007.10.27 5491 김탁환 민음사 김탁환 2007-11-1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64 350 인문사회 거짓말이다. 1 file 이근완 2017.03.20 1130 김탁환 북스피어 김탁환 2017-03-28 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오후 7시 15분
363 220 김탁환 쉐이크 - 영혼을 흔드는 스토리텔링 1 file 강신철 2011.08.10 7904 김탁환 다산북스 김탁환 소설가 2011-08-30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7시
362 203 밀림무정 I, II 9 file 강신철 2010.11.24 9616 김탁환 다산책방 김탁환 소설가 2010-12-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361 189 경영경제 Seven Stars 일곱 사장 이야기 file 박문호 2010.04.29 6988 이숙경 성우애드컴 김학민 원장 2010-05-11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07호 소강당
360 276 How to be happy(행복도 연습이 필요하다) 1 file 유화현 2013.12.30 5323 소냐 류보머스키(Sonja Lyubomirsky) 지식노마드 김항중 교수(대전대) 2014-01-14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359 403 자연과학 욕망이 멈추는 곳, 라오스 file 조수윤 2019.08.21 274 오소희 북하우스 김현옥(한국항공우주연구원 선임연구원) 2019-08-27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58 468 경영경제 그렇게 물어보면 원하는 답을 들을 수 없습니다 file 조수윤 2023.04.26 363 김호 더랩에이치 대표 위즈덤하우스 김호 더랩에이치 대표 2023-05-23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357 69 사다리 걷어차기 관리자 2005.03.22 3718 장하준 부키 김홍기 2005-05-10
356 160 모두에게 공정한 무역 file 박문호 2009.02.11 4518 앤드루 찰턴 지식의 숲 김홍기 교수 2009-02-24
355 33 대화의 법칙 file 관리자 2003.09.30 3972 래리 킹 청년정신 김홍범 2003-11-05
354 134 고대문명교류사 file 박문호 2008.01.09 4828 정수일 사계절출판사 김홍섭 회원 2008-01-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53 246 창의성의 또다른 이름 트리즈(TRIZ) 2 file 김형렬 2012.09.16 4760 김효준 인피니티북스 김효준 소장 2012-09-26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352 323 문학예술 풀꽃 나태주 시선집 file 이근완 2016.01.14 1677 나태주 지혜 나태주 2016-01-26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351 158 사라진 손바닥 file 박문호 2009.01.14 5111 나희덕 문학과지성사 나희덕 시인 2009-01-30
350 302 인문사회 사람의 거짓말, 말의 거짓말 2 file 김홍섭 2015.02.13 1149 남재일 천년의상상 남재일 경북대 교수 2015-02-24 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747 박성일한의원 6층) (화) 오후 7시
349 472 인문사회 교양 고전 독서 file 조수윤 2023.08.23 559 노명우 교수(아주대학교 사회학과) 노명우 교수(아주대학교 사회학과) 2023-09-26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348 393 인문사회 인생극장 file 관리자 2019.03.13 324 노명우(아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사계절 노명우(아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2019-03-26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7시 15분
347 214 달마는 서쪽에서 오지 않았다 file 강신철 2011.05.12 6118 보리 달마 저/덕산 스님 역 비움과 소통 덕산 스님 2011-05-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346 240 그리스인 조르바 1 file 한빛찬 2012.06.17 5433 카잔차키스 저 |이윤기 역 |열린책들|2009.12.20 도예작가 변승훈 2012-06-26 백북스홀 (대전 서구 탄방동 747 박성일한의원 6층) 7시
345 130 인문사회 만들어진 신 4 file 박문호 2007.11.17 6061 리처드 도킨스 김영사 도정일 2007-11-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44 147 기타 위트로 읽는 위트 file 박문호 2008.07.25 5507 류종영 유로서적 류종영 교수 2008-08-1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43 274 식물은 알고 있다 1 file 유화현 2013.11.27 5858 대니얼 샤모비츠 (Daniel Chamovitz) 다른 류충민 박사(감수자) 2013-12-10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 7시
342 96 기타 타인최면 file 관리자 2006.06.20 5255 류한평 갑진출판사 류한평 2006-06-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41 177 묵자 2 file 강신철 2009.11.04 6736 기세춘 바이북스 묵점 기세춘 선생 2009-11-10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