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조회 수 35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427
저자 유제프 차프스키
출판사 밤의책
발표자 책밤지기 : 최성은(풍월당 실장)
일자 2021-06-08
장소 이도저도
시간 오후 7:15

3.jpg

 

<책소개 >

 

삶의 막다른 곳에 서있는 당신에게 추천하는 책

감동과 환희가 담긴 유제프 차프스키의 강의

프랑스 현대문학의 영원한 거장 마르셀 프루스트 탄생 150주년을 맞아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를 처음 읽는 이에게, 유폐의 생활을 재현하게 된 이 시대의 이들에게 전하는 감동과 환희의 고백. 2차 세계대전이 한창인 어느 포로수용소에서 오로지 기억에만 의지해 이루어진 프루스트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강의록 『무너지지 않기 위하여-어느 포로수용소에서의 프루스트 강의』는 프랑스 현대문학의 영원한 거장 마르셀 프루스트와 “20세기 최고, 최대의 소설”로 일컬어지는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 대한 유제프 차프스키의 강의를 글로 옮긴 것으로, 국내에는 처음 소개된다.

폴란드의 화가이자 작가이며 비평가인 유제프 차프스키는 폴란드군 장교로 제2차 세계대전에 참전했다가 소련군에 포로로 잡혀 수용소에 수감되었다. 그리고 포로수용소에서 동료들을 대상으로 프루스트 강의를 했다. 나날을 죽음과 대면하며 그것에 잠식되어가는 포로들과 정신적, 정서적 유대를 강화하고 그들로 하여금 삶을 포기하지 않게 하려는 목적에서였다. 오로지 기억에만 의지해 이루어진 이 강의는 적지에서 비밀리에 기획하고 실행한 지적 저항운동, 곧 문학을 통한 레지스탕스가 되었다.

『무너지지 않기 위하여』에 기록된 순간들은 전쟁의 포화 속에서 또 다른 투쟁의 형태로 나타난, 한 위대한 작가와 작품에 바치는 경의의 고백이다. 이 책은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라는 문학작품을 다룬 친절한 해설서이면서, 동시에 그 자체로 ‘문학을 다룬 문학’이라는 완결된 한 편의 문학작품이다. 미술사에 기록된 저자의 탁월한 업적과 같이, 이 작품은 포스트모더니즘을 예고한 선구적 예술로서 문학사에서 그 빛을 발한다. 사위가 충만한 어둠에 포위되어버린 절망적 상황에서 문학을 통한 영혼의 구원이 가능함을 증명한 숭고한 작업. 독자는 노역에 지친 몸을 이끌고 모여 앉은 포로들 곁에서 그 현장에 동참하며, 그들의 지친 숨결과 더불어 놀라운 기적의 순간들을 생생히 호흡하게 될 것이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저자소개 : 유제프 차프스키>

 

저자 : 유제프 차프스키
폴란드의 화가이자 작가. 1896년 지금의 체코 프라하에서 폴란드 귀족 가문의 자제로 태어났다.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법학을 공부하고 바르샤바 미술대학과 크라쿠프 미술대학에서 회화를 전공한 그는 ‘카피스트’로 활동했다. 차프스키는 1939년, 독일 군대가 폴란드를 침공하자 예비역 장교로 참전했다가 소련군에 포로로 잡혀 스타로벨스크 수용소에 수감되었다. 1940년 소련군에 의해 자행된 악명 높은 ‘카틴 대학살’을 피해 살아남은 그는 그랴조베츠 수용소로 이감된 뒤 이듬해 8월에 풀려났다. 이후 재입대해 학살 당시 사라진 폴란드의 장교들을 수색하는 임무를 맡는 한편, 전쟁 막바지에 이탈리아 전선에 다시 투입되었다. 종전 후 파리에 정착한 차프스키는 화가로서 활발히 활동하는 동시에 프랑스의 폴란드 이민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월간지 『쿨투라KULTURA』의 기획 및 편집에 참여하여 작가이자 비평가로서의 입지를 다졌다. 차프스키는 그랴조베츠 수용소에 함께 수감되어 있던 포로들을 위하여 1940년부터 이듬해인 1941년까지 마르셀 프루스트를 주제로 한 강의를 연 바 있고, 그 강의록이 이 『쿨투라』지에 발표되면서 훗날 책으로 출판되었다. 1993년 사망했으며, 메닐르루아 묘지에 묻혔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책밤지기 : 최성은(풍월당 실장)>

 

 

<책밤지기 추천도서 목록>

 

1. [사양] 다자이 오사무 - 민음사
- 추천이유 : 다자이 오사무는 일본의 패망 직후 걸작을 쓰겠다고 선언합니다. 몰락 계급의 비극을 다룬 이 소설은 말 그대로 기우는 해 『사양』입니다.
일본 마지막 귀족의 기품을 간직한 채로 명멸해가는 어머니가 작품의 가운데 있고, 그 아래로 젊은 딸과 그의 남동생인 주인공이 나옵니다. 그리고 남동생이 가깝게 지내는 화가가 한 사람 있습니다. 이 네 명이 중심입니다. 아스라한 분위기와 서늘한 문장과 장엄한 감동은 소설이 가진 아름다움의 극한을 보여줍니다. 마치 문학으로 연주하는 ‘마지막 사중주’처럼 아름답습니다.

2. [체스 이야기, 낯선 여인의 편지] 슈테판 츠바이크 - 문학동네
- 추천이유 : 츠바이크는 평전으로 유명한 사람이지만, 그는 몇 편의 소설을 남긴 소설가이기도 합니다. 결론적으로 말씀 드리자면, 두 소설 모두 마지막 페이지를 덮을 때에 소설이라는 장르가 가진 무한한 감동과 떨리는 감격을 경험하게 되실겁니다. 『낯선 여인의 편지』부터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우리의 기대를 충족시키면서도 작가는 그 이상을 보여주며, 나아가서 우리의 인생과 애정과 타인에 대한 사랑을, 사랑이 무엇인지를 진지하게 생각하게 합니다.

3. [무너지지 않기 위하여] 유제프 차프스키 - 밤의책
(어느 포로수용소에서의 프루스트 강의)
- 추천이유 : 이 책은 마르셀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의 감동적인 강의록입니다.
2차 세계대전이 한창인 어느 포로수용소에서 낮에는 감자를 캐고 밤에는 모여앉아 강의를 들었습니다. 폴란드 화가이자 비평가인 유제프 차프스키는 함께 수감된 포로들을 위해 마르셀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를 한 권의 책이나 자료도 없이 오직 기억에만 의존하여 강의를 했습니다. 언제 죽을지도 모르는 절망적인 상황에서 그들은 무너지지 않기 위하여 예술을 공부하였습니다.
인간이란 이토록 훌륭한 존재입니다.

4. [얼음 속을 걷다] 베르너 헤어초크 - 밤의책
- 추천이유 : 예술영화의 거장 베르너 헤어초크의 22일간의 여정을 담은 특별한 여행의 기록입니다. 존경하던 한 여인이 위독하다는 이야기를 듣고 추운 겨울 뮌헨에서 그녀가 입원한 파리 병원까지 22일 동안 걸어서 갑니다. 그렇게 걸어서 가면 그녀가 죽지 않을 거라고 그는 생각합니다. 그렇게 쓰여진 이글은 다듬어지지 않은 채 우리를 피로하고 아름다운 길로 함께 떠나자고 합니다. 저는 22일 동안 하루 한장 씩 이 글을 읽으며 그와 함께 걸었습니다. 방울새와 말똥가리와 진흙 구덩이와 오두막을 만나면서 걸었습니다. 아.. 정말 감동적인 이야기입니다.
 

<백북스 시즌2 책밤 소개>

https://www.notion.so/f36b20bed246443b883c9345735ac57d

5.jpg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321 185 아이투아이(itoi) 1 file 강신철 2010.03.03 8716 켄 윌버 저/김철수 역 대원출판 권선필 교수 2010-03-0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320 188 아무도 울지 않는 밤은 없다 file 강신철 2010.04.15 7554 이면우 창비 이면우 시인 2010-04-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319 49 아무도 기획하지 않은 자유 file 관리자 2004.06.23 3729 고미숙 휴머니스트 박문호 2004-07-13
318 260 문학예술 아다지오 소스테누토 file 이정원 2013.04.30 4540 문학수 돌베개 문학수 (음악평론가) 2013-05-14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저녁 7시
317 70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 관리자 2005.05.06 26895 올리버 색스 살림터 박문호 2005-05-24
316 89 실마릴리온 file 관리자 2006.02.23 4252 존 로날드 로웰 톨킨 씨앗을뿌리는사람(페이퍼하우스) 서윤경 2006-03-14
315 150 신의 입자를 찾아서 file 박문호 2008.09.10 5576 이종필 마티 이종필 박사 2008-09-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14 381 문학예술 신의 영혼 오로라 file 관리자 2018.07.13 233 권오철 씨네21북스 권오철 천체사진가 2018-07-24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13 63 신의 방정식 file 관리자 2005.01.17 4038 아미르 D. 액셀 지호 박문호 박사 2005-02-01
312 84 신경과학과 마음의 세계 file 관리자 2005.12.13 4014 제럴드 에델만 범양사 박문호 2005-12-20
311 272 식탁 위의 한국사 4 file 유화현 2013.10.25 5821 주영하 교수 휴머니스트 주영하 교수 2013-11-13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310 274 식물은 알고 있다 1 file 유화현 2013.11.27 5858 대니얼 샤모비츠 (Daniel Chamovitz) 다른 류충민 박사(감수자) 2013-12-10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 7시
309 14 시인을 찾아서 file 관리자 2003.06.21 3997 신경림 우리교육 2002-12-20
308 235 시골의사 박경철의 자기혁명 7 file 관리자 2012.03.28 6682 박경철 리더스북 박경철 2012-04-10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오후 7시
307 338 기타 시간을 정복한 남자 류비셰프 1 file 관리자 2016.09.26 322 다닐 알렉산드로비치 그라닌 황소자리 이정원 (에트리 선임연구원) 2016-09-27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06 479 자연과학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 file 조수윤 2024.04.08 460 카를로 로벨리 쌤앤파커스 임석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24-04-23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305 310 자연과학 시간 연대기 file 이근완 2015.06.30 1380 애덤 프랑크 저/고은주 역 에이도스 부산대 물리교육과 김상욱교수 2015-07-14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04 309 문학예술 시각과 예술 2 file 이근완 2015.05.28 1876 마거릿 리빙스턴 저/정호경 역 두성북스 신동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2015-06-23 백북스홀 (대전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303 2 승려와 수수께끼 file 관리자 2003.06.21 5329 랜디 코미사 바다 2002-06-25
302 345 인문사회 습관의 힘 반복되는 행동이 만드는 극적인 변화 file 이근완 2016.12.31 451 찰스 두히그/ 강주헌 번역 갤리온 오진법사 2017-01-10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01 164 슈거블루스 1 file 강신철 2009.04.15 5103 윌리엄 더프티 북라인 한명학 박사 2009-04-28 오후 7시 |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300 315 인문사회 수학의 언어(안 보이는 것을 보이게 하는 수학) file 이근완 2015.09.11 1643 케이스 데블린 해나무 한빛찬 원장(레드스쿨 석좌코치) 2015-09-22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99 271 수학 읽는 CEO file 유화현 2013.10.10 4855 박병하 21세기북스 박병하 박사 2013-10-22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298 410 인문사회 수집가의 철학 file 조수윤 2019.11.27 373 이병철(여주시립 폰박물관장) 천년의상상 이병철(여주시립 폰박물관장) 2019-12-10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297 364 자연과학 송민령의 뇌과학 연구소 세상과 소통하는 뇌과학 이야기 file 이근완 2017.10.31 346 송민령 동아시아 송민령 2017-11-14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19시 15분
296 365 자연과학 송민령의 뇌과학 연구소 (2차) file 관리자 2017.11.22 263 송민령 동아시아 송민령 2017-11-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95 275 송년회 - 트렌드코리아 2014 1 file 유화현 2013.12.16 4444 김난도 미래의창 송윤호 백북스 이사 2013-12-26 백북스 홀 오후 7시
294 369 문학예술 손으로 쓰고 그린 호주 40일 file 관리자 2018.01.12 279 밥장 시루 밥장 (일러스트레이터) 2018-01-2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93 42 소유의 종말 file 관리자 2004.03.10 3726 제레미 리프킨 민음사 송윤호 2004-03-23
292 205 소셜 네트워크 e혁명 1 file 강신철 2010.12.29 10853 매튜 프레이저, 수미트라 두타 공저/최경은 역 행간 유창선 평론가 2011-01-1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291 210 소립자를 찾아서 file 박문호 2011.03.17 11288 네이만 미래사 박문호 박사 2011-03-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290 173 세컨드 네이처 3 file 박문호 2009.09.02 7435 제렐드 에델만 이음 박문호 박사 2009-09-08 저녁7시|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강당
289 215 세종처럼 - 소통과 헌신의 리더십 2 file 강신철 2011.05.25 8391 박현모 미다스북스 현영석 교수 2011-06-14 유성도서관 오후 7시
288 359 인문사회 세상의 끝, 남미 파타고니아 KBS 영상앨범 산 포토 에세이 첫 번째 기록 file 이근완 2017.08.17 293 김석원, 이상은, 이지원 공저 에이디미디 이상은(산악사진가) 2017-08-22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87 123 인문사회 세상을 바꾼 문자, 알파벳 file 박문호 2007.07.25 5399 존 맨 예지 정원수 2007-08-0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86 325 자연과학 세상물정의 물리학 file 이근완 2016.02.18 1405 김범준 교수(성균관대학교 물리학과) 동아시아 김범준 교수(성균관대 물리학과) 2016-02-23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85 176 세계종교사상사 file 박문호 2009.10.23 6741 미르치아 엘리아데 이학사 이병록 제독 2009-10-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284 250 문학예술 세계명화 비밀 file 김홍섭 2012.11.21 5176 모니카 봄 두첸 생각의 나무 정은영 교수(한남대) 2012-11-26 백북스홀(대전 서구 탄방동 747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283 367 인문사회 세계는 왜 싸우는가? 김영미 세계 분쟁 지역 전문 PD가 아들에게 들려주는 분쟁의 진실 file 이근완 2017.12.18 232 김영미PD 추수밭 김영미PD 2017-12-26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82 3 세계가 놀란 히딩크의 힘 file 관리자 2003.06.21 4512 최영균외 중앙M&B 2002-07-0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