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조회 수 22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424
저자 구정은
출판사 후마니타스
발표자 책밤지기 : 정혜승
일자 2021-04-27
장소 이도저도
시간 오후 7:15

3.jpg

 

<책소개 >

 

세상은 쓰레기로 넘쳐 난다.
만들어 내는 만큼, 파내는 만큼 버려진다.

버리고 지우고 폐기하는 존재인 우리,
버림받고 지워지고 폐기당하는 존재인 우리

우리가 눈여겨보지 않고 있는 사이에,
가장 취약하고 가난한 존재가 이미 우리보다 먼저
우리가 저지른 짓의 피해를 입고 있다.


“곁에 두고 쓰던 물건은 물론이고 시간과 공간도 사람들에게 버림받는다. 무덤이, 공원이, 때로는 도시 자체가 버려진다. 죽음도 역사도 버려진다. 시간이 흘러 잊히는 것도 있고, 누군가가 의도적으로 지우거나 감추는 것도 있다. 버려지는 것들 틈에서 살아가야 하는 사람들 또한 많다. 하지만 책을 쓰며 느낀 가장 큰 역설은 지구상에서 가장 많이 폐기되는 것 중 하나가 ‘사람’이라는 사실이다.”
버려진 존재들을 만나는 여행

이 책은 여행기다. 네부카드네자르 2세가 왕비를 위해 세웠다는, 이라크 바빌론의 공중 정원 유적에서 시작된 여정은 지구 곳곳을 거쳐, 터키의 고즈넉한 휴양지 보드룸 해변에서 끝난다. 글쓴이의 시선은 영화롭고 평온한 곳보다는 파괴되어 간신히 남은 흔적들과 버려지고 외면당한 것들에 오래 머문다. 메소포타미아문명의 유적에 서려 있던 압도감은 미군의 침공과 이슬람국가(IS)의 유적 파괴 앞에 빛을 잃고, 자신의 터전에서 버텨 내지 못한 ‘난민’의 삶은 망망대해를 넘고도 깃들 곳을 찾지 못해 두 번, 세 번 거듭 무너진다. 2015년 9월 세 살 난 시리아 난민 아일란 쿠르디가 짧은 생을 마감한 터키의 해변이 더는 평범한 휴양지일 수 없듯이, 버려진 존재들을 만나는 여행은 익숙했거나 보이지 않던 것들을 새로운 방식으로 찾아간다. 오랜 국제부 기자 생활을 바탕으로 쓴 이 책 『사라진, 버려진, 남겨진』은 ‘버려지고 잊히는 모든 것들’을 향한 시선, 주관을 되도록 배제한 서술을 날실과 씨실 삼아 엮은 글로 채워졌다. 이 스산한 이야기들은 끝내 버려진 존재들과 이제 우리 곁에 없는 생명들의 삶을 기억하고 상상하며, 아직 살아 있는 이들의 의미를 환기한다.

[예스24 제공]

 

 

<저자소개 : 구정은>

 

『경향신문』 기자로 일하면서 분쟁과 테러와 재해에 대한 기사를 많이 썼다. 앞으로는 평화와 인권과 환경과 평등에 대한 글을 쓰고 싶다. 미래보다는 과거에, 강한 것보다는 힘없고 약한 것에, 글이든 물건이든 쓰는 것보다는 안 쓰는 것에 관심이 많다. 『10년 후 세계사』, 『지구의 밥상』을 함께 썼고, 『나는 라말라를 보았다』 등을 옮겼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책밤지기 : 정혜승>

 

문화일보에서 기자로 일하는 법을 배우고, 다음에서 포털의 인터넷 정책과 GR(대외협력)을 담당하며 올드미디어와 뉴미디어를 두루 경험했다. 카카오에서는 소셜임팩트, 홍보로 경험을 넓히며 부사장을 역임했다. 2017년 뉴미디어비서관으로 청와대에 합류, 디지털소통센터를 이끌며 국민청원 등 새로운 소통을 모색했다. 2019년 여름 청와대를 떠난 뒤 메디치포럼 프로그래머로 일하며 인터뷰집 『힘의 역전』을 냈다. ‘마냐’라는 이름으로 2000년부터 서평 블로그를 운영했고, 트레바리 독서 모임도 꾸준히 하고 있다.

연세대 노어노문학과 재학 시절의 공부는 이후 써먹지 못했으나 인문학 소양을 갖추는 데 도움이 됐다고 믿는다. 연세대 정보통신·미디어산업/정책 과정 석사, 기술정책협동과정 박사 과정을 수료하며 가방끈을 늘였으나 평생 꿈은 책을 쓰는 것이었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책밤지기 추천도서 목록>

 

안녕하세요.

 

#남은건책밖에없다 북리뷰를 쌓아왔고, #기막힌논픽션 #디지털시대읽기 라는 주제의 트레바리 독서클럽을 이끄는 정혜승이라고 합니다. 요즘 클럽하우스에서 #독서가와행동가들_뭐읽고있니 클럽도 토요일 밤마다 열고 있습니다. 어떤 주제로 엮어볼까 고민하다가, 제가 좋아한 논픽션 중에 골라봅니다.

 

1. [인간의 정의는 어떻게 탄생했는가] 필립 샌즈 - 더봄

('제노사이드'와 '인도에 반하는 죄'의 기원)

- 추천이유 : 도저히 놓을 수 없는 미스터리 소설 같은데 묵직한 주제를 담았다니, 571쪽 이 벽돌책 읽기 위해 아예 논픽션 독서클럽을 시작했죠. '인도에 반하는 죄(crimes against humanity)', ‘제노사이드(genocide)'라는 개념이 2차 대전 이후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보여주는데 문득 소름 돋습니다. 일본 전쟁범죄는 ‘인도에 반하는 죄’로 기소하지 않은 탓에 어떻게 현재가 달라졌는지 생각해볼 수도 있어요.  https://brunch.co.kr/@manya/407

 

2. [법률가들] 김두식 - 창비

(선출되지 않은 권력의 탄생)

- 추천이유 : 대중에게 가장 친절한 법학자로서, #헌법의 풍경 #불멸의신성가족 #불편해도괜찮아 등 명저 여럿 내신 경북대 로스쿨 김두식 교수가 작심하고 3년간 정리한 ‘법률가들’. 역시 벽돌책인데, 꼼꼼하게 정리한 사람 이름들만 대충 눈감고 넘어가면 현대사가 이렇게 재미있다니, 깜짝 놀라실 겁니다. 현대사에 대해 아는 게 없는 저를 발견했고, 현재진행형 문제들의 실마리를 잡았습니다. 영국에 필립 샌즈가 있다면, 한국엔 두식쌤이 있구나 뿌듯하고 감사하죠.  https://brunch.co.kr/@manya/414


3. [사라진, 버려진, 남겨진] 구정은 - 후마니타스

- 추천이유 : 국제문제 전문기자였던 저자는 하필 저 쓸쓸한 주제를 붙잡았는데, 시선은 다정합니다. 망가지는 자연, 불태워지고 말라붙고 제거되는 현장 등 인간에 의한 폭력, 학살과 추방, 아이도둑, 인신매매 등 인간에 대한 폭력 등 두 가지 주제로 나눠서 토론했는데 참 아름답고 서글픈 이야기. 세상을 보는 눈이 달라지고 여운이 길어요.  https://brunch.co.kr/@manya/466

 

4. [힘의 역전], [힘의 역전2 : 달라진 세계] 정혜승 - 메디치미디어

- 추천이유 : 기술에 의한 힘의 역전을 살펴보자며 포럼을 기획하고 섭외하고 인터뷰하고, 나중에 책으로 엮어냈어요. 최재천, 천관율, 홍성국, 이수정, 이나리, 김경수, 류영재, 신수정님을 인터뷰한게 1권. 그리고 팬데믹으로 인한 힘의 역전으로 2권을 냈죠. 문정인, 다니엘 튜더, 김세연, 유명희, 김동환, 민금채, 이원재. 아.. 이게 제가 포럼 프로그래이자 인터뷰어, 기록자여서가 아니라 진짜 책이 좋아요ㅎㅎ 둘 다 2020년 출간, 저 바빴어요.  https://brunch.co.kr/@manya/506
 

 

<백북스 시즌2 책밤 소개>

https://www.notion.so/f36b20bed246443b883c9345735ac57d

5.jpg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401 221 이준연 아동문학 50년 2 file 강신철 2011.08.31 6088 이은하 국학자료원 이은하 교수 2011-09-15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7시
400 130 인문사회 만들어진 신 4 file 박문호 2007.11.17 6063 리처드 도킨스 김영사 도정일 2007-11-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99 281 자아폭발 - 타락 file 유화현 2014.03.15 6056 스티브 테일러(Steve Taylor) 다른세상 이병록 교수님(동명대) 2014-03-25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홈플러스탄방점 맞은편)) 오후 7시
398 236 피로사회 12 file 관리자 2012.04.12 5966 한병철 문학과지성사 박성일 원장 (장소: 백북스홀) 2012-04-24 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397 238 남극은 왜? 3 file 관리자 2012.05.09 5962 장순근 지성사 장순근 박사 (장소: 백북스홀) 2012-05-25 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396 274 식물은 알고 있다 1 file 유화현 2013.11.27 5862 대니얼 샤모비츠 (Daniel Chamovitz) 다른 류충민 박사(감수자) 2013-12-10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 7시
395 226 정재승+진중권 크로스 3 file 강신철 2011.11.10 5839 정재승, 진중권 웅진지식하우스 진중권 2011-11-17 중구문화원 오후 7시
394 1 끝없는 도전과 용기 file 관리자 2003.06.21 5834 젝 웰치 청림 2002-06-04
393 272 식탁 위의 한국사 4 file 유화현 2013.10.25 5826 주영하 교수 휴머니스트 주영하 교수 2013-11-13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392 124 자연과학 생명 최초의 30억년 file 박문호 2007.08.09 5774 앤드류 놀 뿌리와이파리 이진석 회원 2007-08-2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91 219 자연과학 생명이란 무엇인가 4 file 관리자 2011.08.02 5764 에르빈 슈뢰딩거 궁리 엄준호 박사 2011-08-09 유성도서관 저녁 7시
390 237 김수영을 위하여 7 file 관리자 2012.04.25 5763 강신주 천년의상상 저자 강신주 (장소: 유성도서관) 2012-05-08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389 228 생강 발가락 file 관리자 2011.12.07 5746 권덕하 애지 권덕하 시인 2011-12-20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오후7시
388 165 기타 마음 거울 2 file 박문호 2009.04.30 5725 청안스님 김영사 청안스님 2009-05-11 오후 7시 |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387 137 기타 한국의 이공계는 글쓰기가 두렵다 file 박문호 2008.02.27 5722 임재춘 북코리아 임재춘 교수 2008-03-1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86 269 초파리의 기억 3 file 관리자 2013.09.12 5708 조너던 와이너 이끌리오 김우재 박사 2013-09-24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385 138 문학예술 나는 문학에서 건축을 배웠다 file 박문호 2008.03.12 5678 김억중 동녘 김억중 교수 2008-03-25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84 135 문학예술 한시로 읽는 우리 문학사 4 file 강신철 2008.01.23 5668 김갑기 새문사 김갑기 2008-02-1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83 139 문학예술 현대음악사 file 박문호 2008.03.26 5654 폴그리피스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박순희 교수 2008-04-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82 142 인문사회 조선인 60만 노예가 되다 file 박문호 2008.05.15 5636 주돈식 학고재 이석봉 2008-05-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81 136 자연과학 과학의 새로운 언어, 정보 file 박문호 2008.02.14 5596 한스 베이어 승산 고원용 박사 2008-02-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80 150 신의 입자를 찾아서 file 박문호 2008.09.10 5577 이종필 마티 이종필 박사 2008-09-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79 133 자연과학 상대성 이론 1 file 박문호 2008.01.01 5560 차동우 북스힐 박문호 2008-01-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78 234 공감의 시대 6 file 관리자 2012.03.14 5540 제레미 리프킨 민음사 김갑중 원장 2012-03-27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377 148 문학예술 그림같은 세상 2 file 박문호 2008.08.13 5526 황경신 아트북스 황경신 2008-08-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76 141 문학예술 한국의 디자인1,2 file 박문호 2008.04.24 5526 김영철 외 시지락 김영철 교수 2008-05-1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75 243 이방인 6 file 관리자 2012.07.29 5524 알베르 카뮈 민음사 강현욱 작가 2012-08-07 유성도서관 3층 오후 7시
374 288 구글 신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 file 유화현 2014.06.26 5517 정하웅,김동섭,이해웅 사이언스북스 정하웅 교수(저자) 2014-07-08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373 147 기타 위트로 읽는 위트 file 박문호 2008.07.25 5511 류종영 유로서적 류종영 교수 2008-08-1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72 129 문학예술 열하광인 file 박문호 2007.10.27 5495 김탁환 민음사 김탁환 2007-11-1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71 117 원효의 대승기신론 소. 별기 file 박문호 2007.05.03 5474 은정희 일지사 박문호 2007-05-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70 267 물리주의 file 유화현 2013.08.17 5471 김재권 아카넷 엄준호 박사님 2013-08-27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369 149 인문사회 의미의 논리 file 박문호 2008.08.27 5469 이정우 한길사 이정우 박사 2008-09-0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68 153 착한인생 file 박문호 2008.10.29 5468 박경철 리더스 박경철 2008-11-1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67 229 나는 아이폰 아이패드 앱으로 음악한다 3 file 강신철 2011.12.31 5459 이진호 코드미디어 이진호 2012-01-10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오후7시
366 248 머물지 마라 그 아픈 상처에 4 file 이정원 2012.10.12 5448 허허당 스님 예당 허허당 스님 2012-10-23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오후 7시
365 156 문학예술 엄마와 나 file 강신철 2008.12.10 5444 박기범 보리 박기범 2008-12-23 대전시립미술관
364 240 그리스인 조르바 1 file 한빛찬 2012.06.17 5435 카잔차키스 저 |이윤기 역 |열린책들|2009.12.20 도예작가 변승훈 2012-06-26 백북스홀 (대전 서구 탄방동 747 박성일한의원 6층) 7시
363 159 마음의 기원 file 박문호 2009.02.02 5431 데이비드 버스 나노미디어 주명진 원장 2009-02-10
362 123 인문사회 세상을 바꾼 문자, 알파벳 file 박문호 2007.07.25 5405 존 맨 예지 정원수 2007-08-0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