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조회 수 30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423
저자 이명현 박사
출판사 바다출판사
발표자 책밤지기 : 이명현 박사
일자 2021-04-13
장소 이도저도
시간 오후 7:15

3-1.jpg

<책소개>

 

지구인이라면 응당

우주를 공부해야 한다

SF 소설의 붐으로 우주 지식의 수요도 높아졌다. 한국의 대표적 과학 커뮤니케이터, 천문학자 이명현이 《지구인의 우주공부》에 최신의 우주 과학 지식을 한데 모았다. 초심자들을 위한 현대 천문학의 주요 쟁점과 개론도 빠뜨리지 않았다. 다년간의 대중 강의와 저술로 다져온 설명력이 돋보이는 이 책은 빅뱅 우주론과 태양계 형성 시나리오부터 격변하는 최근의 우주 지형까지 26꼭지의 글로 구성되었다.

네덜란드 흐로닝언 대학교에서 은하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은 저자는 외계 생명체를 찾는 전 세계 과학자들의 프로젝트, 세티의 명망 있는 한국 책임자이기도 하다. 저자는 우리가 지금 알아야 할 우주 지식들을 강조한다. 우주에 우리만 있는 것이 아니라면, 지구 이외의 세계가 엄연히 존재한다면, 그리고 이미 고군분투하는 이들이 있다면, 일상에 치여 사는 우리가 지구인으로서 마땅히 습득해야 할 상식이다. 또한 책은 ‘지구인’이라는 확장된 자아를 지니고 우주를 봐야 하는 태양계 시대가 이미 도래했음을 역설한다. 나아가 별빛을 보며 태양계 너머의 또 다른 태양을 상상하는 과학적 태도를 몸소 보여 준다. 크고 작은 ‘우주적 증거’들을 하나하나 짚어 주면서.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저자소개/책밤지기 : 이명현 박사>

 

칼 세이건을 사랑하는 천문학자. 과학 저술가이자 커뮤니케이터로서 우주 과학 지식에 목마른 사람들과 성심껏 소통해 왔다. 외계 생명체를 찾는 과학 프로젝트, 세티의 한국 책임자(SETI KOREA 대표)와 메티 인터내셔널 자문위원을 맡고 있다. 전파 망원경으로 은하를 연구하는 중심지, 네덜란드 흐로닝언 대학교에서 나선 은하의 물리적 특성과 암흑 물질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네덜란드 캅테인 연구소 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연구원, 연세 대학교 천문대 책임연구원을 지냈다. 지은 책으로는 《이명현의 별 헤는 밤》 《이명현의 과학책방》 《시민의 교양과학》(공저) 《과학은 논쟁이다》(공저)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침묵하는 우주》(공역) 등이 있다.

어릴 적 별을 보며 자랐던 삼청동 옛집에 과학책방 갈다를 열었다. 이곳에서 ‘시민의 과학화’를 꾀하는 다양한 문화 행사를 꾸리며 사람들을 만나고, 이어 주고 있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책밤지기 추천도서 목록>

 

1. [오늘, 우주로 출근합니다] 마리옹 몽테뉴 - BH(balance harmony)

(놀랍도록 유쾌한 우주비행사의 하루)

- 추천이유 : 우주비행사의 일상을 정말 유쾌하게 그려낸 만화입니다. 정보 면에서나 재미 면에서나 완성도 높은 작품입니다. 그림 자체를 보는 재미도 있습니다.

 

2. [창의성의 기원] 에드워드 윌슨 - 사이언스북스

(인간을 인간이게 하는 것)

- 추천이유 : 인문학은 영훤히 인문학일 것입니다. 다만 시대에 따라서 그 바탕을 이루는 토대가 달라질 것입니다. 현대의 인문학이 과학을 기반으로 해야하는 것은 당연할 것입니다. 바로 그 이야기.

 

3. [지구인의 우주공부] 이명현 - 바다출판사

(SF가 현실이 되는 이 시대의 우주 이야기)

- 추천이유 : 천문학자들이 밝혀낸 우주에 대한 이야기는 놀랍습니다. 최신의 발견과 결과가 갖는 의미와 맥락을 풀어서 해설한 책입니다. 어떤 논쟁을 거쳤고 지금 어떤 논쟁이 이어지고 있는지 보여줍니다.

 

4. [휴먼카인드] 뤼트허르 브레흐만 - 인플루엔셜

(감춰진 인간 본성에서 찾은 희망의 연대기)

- 추천이유 : 인간 본성에 대한 이야기는 오래된 주제입니다. 최근의 과학의 흐름 속에서 인간의 본성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책들이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 책은 조금은 낙관적인 시선으로 그 문제에 접근하고 있습니다. 인간 본성에 대한 최근의 빅히스토리.

 

 

<백북스 시즌2 책밤 소개>

 

https://www.notion.so/f36b20bed246443b883c9345735ac57d

5-1.jpg


  1. No Image 27Jun
    by 관리자
    2004/06/27 by 관리자
    Views 3750 

    노마디즘

  2. 삶을 위한 철학수업

  3. 뻔뻔한 시대, 한 줌의 정치

  4. 파격의 고전

  5. No Image 31Jul
    by 유화현
    2013/07/31 by 유화현
    Views 4336 

    현대미술의 심장 뉴욕미술

  6. 이종필교수의 인터스텔라

  7. 신의 입자를 찾아서

  8. 인간 지성의 최후의 보루 (COMER 매거진)

  9. 탐독

  10. 의미의 논리

  11. 과학책은 처음입니다만

  12. 공생 멸종 진화 (생명 탄생의 24가지 결정적 장면)

  13. No Image 26Nov
    by 관리자
    2005/11/26 by 관리자
    Views 3733 

    샤갈의 미술세계

  14. No Image 08Nov
    by 관리자
    2005/11/08 by 관리자
    Views 3973 

    70일간의 음악여행

  15. 한권으로 읽는 나노기술의 모든 것

  16. 밤의 첼로(이응준 연작소설)

  17. 이준연 아동문학 50년

  18. 중국을 만들고 일본을 사로잡고 조선을 뒤흔든 책 이야기(삼국지 박사 이은봉의 한중일 삼국지 문화사)

  19. No Image 21Jun
    by 관리자
    2003/06/21 by 관리자
    Views 4223 

    최신유럽연합론

  20. No Image 26Jul
    by 관리자
    2005/07/26 by 관리자
    Views 3706 

    대화

  21. 프랑스 미술관 산책

  22. [백북스시즌2 책밤44] 칠드런 액트

  23. Seven Stars 일곱 사장 이야기

  24. 초상화, 그려진 선비정신

  25. 수집가의 철학

  26. 외계생명체 탐사기

  27. [백북스시즌2 책밤10] 지구인의 우주공부

  28. 이명현의 별 헤는 밤

  29. 이명현의 과학책방(별처럼 시처럼, 과학을 읽다)

  30. 아무도 울지 않는 밤은 없다

  31. 한국사 그들이 숨긴 진실

  32. No Image 29Jul
    by 관리자
    2004/07/29 by 관리자
    Views 3825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1,2권

  33. 윤휴와 침묵의 제국

  34. 고대도시 경주의 탄생

  35. No Image 07Jul
    by 관리자
    2003/07/07 by 관리자
    Views 3886 

    선비의 의식구조

  36. 경성, 사진에 박히다

  37. 보이지 않는 세계

  38. 물속의 발자국

  39. 원효의 대승기신론 소. 별기

  40. 무인도에 갈 때 당신이 가져가야 할 것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