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조회 수 31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422
저자 오르한 파묵
출판사 민음사
발표자 책밤지기 : 장은수
일자 2021-03-23
장소 이도저도
시간 오후 7:15

2.jpg

 

<책소개>

 

터키 최초의 노벨 문학상 수상 작가 오르한 파묵의 대표작. 오스만 투르크 제국을 무대로 펼쳐지는 음모와 배반, 목숨을 건 사랑이야기가 담겨있다. 등장인물들이 번갈아 가며 화자로 등장해 자신의 이야기를 하면서 사건이 전개되어 가는 구성으로, 역사소설에서는 보기 드문 현대적 서사기법을 취하고 있다.

살해당한 시체, 여자 주인공 셰큐레, 남자 주인공 카라, 술탄의 밀서 제작을 지휘하며 서양의 화풍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려 했던 두 번째 희생자 에니시테, '나비', '올리브', '황새'라는 예명을 가진 세 명의 세밀화가는 물론, 금화, 나무, 죽음, 빨강(색), 악마, 그림 속 개까지 말을 한다.

이러한 서사기법은 독자들로 하여금 이들 중 과연 누가 살인범인지 궁금해지게 만들뿐더러, 각각의 인물들이 처한 정황과 생각들을 다양한 각도에서 이해하면서 작중 인물들에 대해 친밀감을 느끼게 한다. 다양한 색깔을 가진 목소리들이 차곡차곡 겹쳐지면서 하나의 커다란 이야기를 완성하는 이러한 서사기법은 마치 블록을 쌓아 나가는 듯한 인상을 주며, 이 작품이 대단히 치밀한 건축학적 구성을 갖고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알라딘 제공]

 

 

<저자소개 : 오르한 파묵>

 

현대 터키 문학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작가이다. 1952년 터키의 이스탄불에서 태어나, 부유한 대가족 속에서 성장했다. 이스탄불의 명문 고등학교인 로버트 칼리지를 졸업한 후 이스탄불 공과대학에서 3년간 건축학을 공부했으나, 건축가나 화가가 되려는 생각을 접고 자퇴했다. 23세에 소설가가 되기로 결심하고 1979년부터 본격적으로 글을 쓰기 시작했다.

그로부터 7년 후 1982년 첫 소설 『제브데트 씨의 아들들』을 출간하여 오르한 케말 소설상과 밀리예트 문학상을 받았으며, 다음해에 출간한 『고요한 집』 역시 '마다마르 소설상'과 프랑스에서 주는 '1991년 유럽 발견상'을 받았다. 또한 1985년 출간한 세 번째 소설 『하얀 성』으로 "동양에 새로운 별이 떠올랐다"는 뉴욕타임스 격찬을 받으며 세계적인 명성을 얻기 시작했다.

1985년부터 1988년까지 미국 뉴욕의 컬럼비아 대학의 방문교수로 지내면서 대부분을 집필한 『검은 책』(1990)은 '프랑스 문화상'을 받았으며, 이 소설을 통해 파묵은 대중적이면서도 실험적인 작가로 터키와 전 세계에 이름을 알렸다. 1994년 출간된 『새로운 인생』은 터키 문학사상 가장 많이 팔린 소설이라는 기록을 세웠다. 『내 이름은 빨강』(1998)은 현재까지 35개국에서 출간되었고, 이 작품으로 프랑스 '최우수 외국 문학상'(2002), 이탈리아 '그란차네 카보우르 상'(2003), '인터내셔널 임팩 더블린 문학상'(2003) 등을 수상하였다. 또한 그가 '처음이자 마지막 정치 소설'이라 밝힌 『눈』(2002)을 통해서는 새로운 형태의 정치 소설을 실험했다. 2003년에는 자전 에세이 『이스탄불-도시 그리고 추억』을 발표했다.

문명 간의 충돌, 이슬람과 세속화된 민족주의 간의 관계 등을 주제로 작품을 써 온 파묵은 2006년에는 "문화들 간의 충돌과 얽힘을 나타내는 새로운 상징들을 발견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검은 책』으로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으며, 그 밖에 2005년에는 독일 '프랑크푸르트 평화상'과 프랑스 '메디치 상'을 수상하였다.

노벨 문학상 수상 이후 처음 발표한 『순수 박물관』(2008)은 파묵 특유의 문체와 서술 방식으로 ‘사랑’이라는 주제에 접근하였다. 그의 지독하고 처절한 사랑 이야기는 전 세계에 커다란 반향을 일으켜, 출간되는 모든 나라에서 베스트셀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또한 2012년 4월에는 이스탄불에 실제 ‘순수 박물관’을 개관해 문학의 확장성을 증명했다. 2006년부터 컬럼비아 대학에서 비교 문학과 글쓰기를 가르치고 있으며, 호르헤 보르헤스, 이탈로 칼비노, 움베르토 에코의 뒤를 이어 하버드 대학 ‘찰스 엘리엇 노턴’ 강의를 맡은 후 강연록 『소설과 소설가』(2010)를 출간했다. 최근 국내 출간 도서로 에세이 『다른 색들』(2006) 소설 『내 마음의 낯섦』(2014) 『빨강 머리 여인』(2016) 등이 있다. [예스24 제공]

 

 

<책밤지기 : 장은수>

 

읽기 중독자, 편집문화실험실 대표. 서울대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으며, 민음사에서 오랫동안 책을 만들고, 대표이사를 역임했다. 현재 순천향대 미디어콘텐츠학과 초빙교수로 학생들과 어울리면서 주로 읽기와 쓰기, 출판과 미디어 등에 대한 생각의 도구들을 개발하는 일을 한다. 저서로 『출판의 미래』 등이 있다.[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책밤지기 추천도서 목록>

 

문학은 낯선 인생, 낯선 시대, 낯선 장소와 만나는 일이다. 코로나 팬데믹 시대, 문학과 함께 떠나는 도시 여행.

 

1. [리스본행 야간열차]?파스카 메르시어, 전은경 옮김 - 들녘

- 추천이유 : “우리가 우리 안에 있는 것들 가운데 아주 작은 부분만을 경험할 수 있다면, 나머지는 어떻게 되는 걸까?” 부박한 세태를 멀리한 채, 절대 변하지 않는 고전의 세계 속에서 한 치도 어긋남 없는 일상을 살아온 57세 교사 그레고리우스는 어느 날 “영혼의 울림”을 좇아 리스본행 야간열차에 올라타 여행을 떠난다. 리스본에서 그레고리우스는 과연 새로운 삶을 만날 수 있을까?

 

2. [내 이름은 빨강] 오르한 파묵, 이난아 옮김 - 민음사

- 추천이유 : 이스탄불은 아시아와 유럽을 잇고, 지중해와 흑해를 연결하고, 대륙과 해양을 아우른다. 오르한 파묵은 1591년 이스탄불에서 일어난 한 살인 사건을 통해 독자를 동양과 서양, 전통과 현대, 세밀화와 풍경화, 신의 눈과 인간의 눈, 사랑과 음모 등이 어우러진 오스만제국의 한복판으로 안내한다. 이 작품에는 인생, 예술, 신앙, 사랑 등 이스탄불 문화의 정수가 담겨 있다.

 

3. [황금 방울새] 요나 타트, 허진 옮김 - 은행나무

- 추천이유 : 열세 살 소년 시오는 뉴욕의 미술관 폭탄 테러에서 세상 전부였던 엄마를 잃는다. 폭발의 아수라장 속에서 우연히 소년의 손에 들어온 것은 카렐 파브리티우스의 명화 「황금 방울새」. 이 작품에 집착하면서 소년의 삶은 자꾸 어긋나고…. 뜻대로 되지 않는 인생은 아무 가치도 없는 것일까. 뉴욕 거리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미술품 암시장 이야기가 흥미를 더한다.

 

4. [페테르부르크의 대가]?존 쿳시, 왕은철 옮김?- 문학동네

- 추천이유 : 소설의 화자는 도스토옙스키. 빚쟁이에 쫓겨 독일로 도망쳤던 그는 의붓아들 파벨이 자살했다는 소실을 듣고 페테르부르크로 돌아온다. 아들의 죽음을 둘러싼 비밀을 추적하는 과정은 악마적인 매력과 비참한 생활이 공존하는 두 얼굴의 도시 페테르부르크를 들여다보는 과정이고, 인간 내면에 웅크리고 있는 어두운 욕망을 파헤치는 과정이며, 글쓰기란 무엇인가를 탐구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백북스 시즌2 책밤 소개>

 

https://www.notion.so/f36b20bed246443b883c9345735ac57d

5.jpg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60 360 문학예술 미술의 집은 어디인가 file 이근완 2017.08.30 386 김병수 미술평론가 신원 김병수 미술평론가 2017-09-12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59 325 자연과학 세상물정의 물리학 file 이근완 2016.02.18 1407 김범준 교수(성균관대학교 물리학과) 동아시아 김범준 교수(성균관대 물리학과) 2016-02-23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58 338 문학예술 [취소되었습니다] 그림 영혼의 부딪힘(명화로 배우는 감정의 인문학) 1 file 이근완 2016.08.30 359 김민성 알에이치코리아 김민성 2016-09-27 대전 탄방역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57 370 인문사회 대리사회 file 이근완 2018.01.28 324 김민섭 와이즈베리 김민섭 2018-02-13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56 218 원자력 딜레마 1 file 강신철 2011.07.13 6973 김명자 사이언스 북스 김명자 전 환경부장관 2011-07-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후7시
55 372 문학예술 회색인간 file 관리자 2018.03.04 478 김동식 요다 김동식 & 김민섭 2018-03-1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54 247 닥터스 씽킹 (How Doctors Think) 3 file 김형렬 2012.09.29 4705 제롬 그루프먼 해냄 김대경 교수 2012-10-09 유성도서관, 3층 저녁 7시
53 51 서희 협상을 말하다 file 관리자 2004.07.29 3682 김기홍 새로운 제안 김기홍 2004-08-10
52 259 예수전 4 file 이정원 2013.04.12 4716 김규항 돌베개 김규항 저자 2013-04-23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51 362-363 인문사회 우리는 고독할 기회가 적기 때문에 외롭다 file 이근완 2017.09.28 355 김규항 알마 김규항 2017-10-10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19시 15분
50 208 마리 퀴리의 위대한 유산 - 방사선과 현대생활 file 박문호 2011.02.17 10184 앨런 월터 미래의 창 김계령 박사(한국원자력연구원) 2011-02-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49 371 인문사회 대한민국의 설계자들 file 관리자 2018.02.20 218 김건우 느티나무책방 김건우 교수 2018-02-27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48 140 자연과학 뷰티풀 마인드 2 file 박문호 2008.04.09 6292 실비아 네이사 승산 김갑중 원장 2008-04-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7 178 기억을 찾아서 2 file 박문호 2009.11.13 7998 에릭 캔델 랜덤하우스 김갑중 원장 2009-11-24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46 212 애착장애로서의 중독 file 강신철 2011.04.20 9042 필립 플로레스 저, 김갑중 박춘삼 역 NUN 김갑중 원장 2011-04-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후 7시
45 234 공감의 시대 6 file 관리자 2012.03.14 5537 제레미 리프킨 민음사 김갑중 원장 2012-03-27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44 297 고전의 향기에 취하다 file 강신철 2014.11.26 4328 김갑기 21세기북스 김갑기 교수 2014-12-09 백북스홀 7시30분
43 27 선비의 의식구조 file 관리자 2003.07.07 3887 이규태 신원문화사 김갑기 2003-07-22
42 135 문학예술 한시로 읽는 우리 문학사 4 file 강신철 2008.01.23 5668 김갑기 새문사 김갑기 2008-02-1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1 26 적극적 사고방식 1 file 관리자 2003.06.27 4101 노먼빈센트필 세종서적 기영석 교수 2003-07-08
40 57 성령, 민중의 생명 file 관리자 2004.10.23 3603 권진관 나눔사 권진관 2004-11-10
39 381 문학예술 신의 영혼 오로라 file 관리자 2018.07.13 234 권오철 씨네21북스 권오철 천체사진가 2018-07-24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8 78 기찬 하루 file 관리자 2005.09.04 3851 권오상 팬덤하우스 권오상 2005-09-27
37 48 재미있는 통계이야기 file 관리자 2004.06.09 4204 더렐 허프 청아출판사 권세혁 2004-06-22
36 185 아이투아이(itoi) 1 file 강신철 2010.03.03 8717 켄 윌버 저/김철수 역 대원출판 권선필 교수 2010-03-0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35 228 생강 발가락 file 관리자 2011.12.07 5741 권덕하 애지 권덕하 시인 2011-12-20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오후7시
34 207 위대한 설계 file 박문호 2011.01.27 13047 스티븐 호킹 까치 국가 핵융합연구소 이경수 소장 2011-02-08 대전 유성구 가정동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33 327 자연과학 외계생명체 탐사기 file 이근완 2016.03.09 1362 이명현, 문경수, 이유경 외 2명 저 서해문집 공저자 문경수 2016-03-22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32 252 여행하는 인문학자 7 file 김형렬 2012.12.28 6527 공원국 민음사 공원국 저자 2013-01-08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31 301 자연과학 불멸의 이론 file 김홍섭 2015.02.10 1004 샤론 버치 맥그레인 휴먼사이언스 고원용 박사 2015-02-10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화) 오후7시
30 136 자연과학 과학의 새로운 언어, 정보 file 박문호 2008.02.14 5591 한스 베이어 승산 고원용 박사 2008-02-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9 261 인류의 발자국 1 file 이정원 2013.05.17 4275 앤터니 페나 삼천리 고원용 박사 2013-05-28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28 324 자연과학 사피엔스(유인원에서 사이보그까지, 인간 역사의 대담하고 위대한 질문) file 이근완 2016.01.29 1596 유발 하라리 김영사 고원용 박사 2016-02-16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7 348 자연과학 인포메이션 인간과 우주에 담긴 정보의 빅히스토리 file 이근완 2017.02.20 287 제임스 글릭, 박래선, 김태훈 역 동아시아 고원용 2017-02-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6 303 인문사회 다시, 사람이다 file 강신철 2015.02.25 1283 고상만 책담 고상만 2015-03-10 백북스홀 오후7시
25 125 인문사회 니체의 위험한 책,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file 박문호 2007.08.26 5266 고병권 그린비 고병권 2007-09-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4 213 호모 코뮤니타스 4 file 강신철 2011.04.28 8442 고미숙 그린비 고미숙 박사 2011-05-11 한남대학교 경상대학 방촌홀 오후7시
23 233 동의보감, 몸과 우주 그리고 삶의 비전을 찾아서 8 file 관리자 2012.02.29 5252 고미숙 그린비 고미숙 박사 2012-03-13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저녁 7시
22 111 인문사회 나비와 전사 file 관리자 2007.01.24 4929 고미숙 휴머니스트 고미숙 2007-02-1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1 44 지식의 나무 file 관리자 2004.04.06 3994 피에르 레비 철학과 현실사 강형식 2004-04-2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