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조회 수 26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419
저자 메리 앤 섀퍼, 애니 배로스
출판사 이덴슬리벨
발표자 책밤지기 : 전원경(세종사이버대 휴머니티칼리지 교수)
일자 2021-02-09
장소 이도저도
시간 오후 7:15

1.jpg

 

<책소개>

 

인기 작가이자 칼럼니스트 줄리엣에게 어느 날, 건지 섬에서 편지 한 통이 날아온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 점령하에서 5년의 세월을 견뎌야 했던 채널제도의 건지 섬 사람들의 이야기를 편지글 형식으로 생생하게 그려낸 『건지 감자껍질파이 북클럽』. 인기 작가이자 칼럼니스트인 주인공, 줄리엣은 건지 섬에 사는 한 남자로부터 편지를 받는다. 그는 ‘건지 아일랜드 감자껍질파이클럽’이라는 독특한 이름의 문학회 회원. 줄리엣은 제각기 개성 넘치는 문학회 회원들과 편지를 주고받기 시작한다. 나치 감시 하에서 문학회를 조직해 삶의 의지를 이어나간 그들의 5년은 어땠을까? 책과는 전혀 인연이 없을 것 같은 소박한 이들의 삶이 문학회를 통해 변화되는 과정이 흥미진진하게 펼쳐진다.

☞ 북소믈리에 한마디!
국내에 잘 알려지지 않은 영국의 낯선 섬, 건지 섬, 제2차 세계대전의 참혹한 현실을 바탕으로 한 이 책은 보기 드문 편지 소설 형식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주인공 줄리엣이 출판사 발행인 시드니, 절친한 친구 소피, 독특하고 유쾌한 건지 섬 사람들 10여 명과 주고받는 168여 통의 편지로 이루어져 있다. 소설 속 문학회 사람들을 통해 찰스 디킨스, 오스카 와일드 등 유명 작가들의 작품을 생생하게 만나볼 수 있다. 2008년 아마존과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 1위를 차지했으며, 2011년 헐리우드에서 영화화 하기로 결정하였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저자소개>

 

메리 앤 섀퍼

칠십 평생 지역 신문의 편집자 및 도서관 사서로 일했으며 서점에서 근무하기도 했고, 열정적인 문학 클럽 회원이기도 했다. 언젠가 책을 쓰기를 원했던 저자에게 그의 오랜 문학회 친구 하나가 말했다. “닥치고, 글을 쓰라고!” 이 말에 자극을 받아 쓰기 시작한 책이 바로 『건지 아일랜드 감자껍질파이 클럽』이다.

저자 메리 앤 셰퍼는 우연히 들은 ‘건지 아일랜드’ 이야기에 흥미를 느낀 나머지, 충동적으로 비행기를 타고 그 섬으로 날아갔다. 며칠간 섬을 돌아본 뒤 런던으로 돌아가려고 건지 공항에 갔을 때, 짙은 안개 때문에 모든 항공기의 이륙이 금지되었다는 소식을 접했다. 꼼짝없이 공항에 발이 묶일 수밖에 없었다. 무료한 시간을 때우기 위해 그녀는 건지공항 서점에 있던 건지 관련 책들을 모두 읽어 나갔다. 그 중 나치 독일이 건지 섬을 점령했던 시기의 이야기가 저자를 매혹하기 시작했다.

오랜 세월이 지난 뒤, 그녀의 북클럽에서 그녀에게 책을 쓰라고 재촉했을 때 메리 앤은 자연스럽게 건지 섬을 생각해 냈다. “조금 이상한 이유긴 하지만, 그게 더 쉬울 것 같아서” 편지 형태로 이야기를 쓰기로 했고, 몇 년간의 작업 끝에 ‘건지 아일랜드 감자껍질파이 클럽’의 초고가 나왔다. 이 사랑스러운 이야기는 그녀의 가족으로부터, 그녀의 문학클럽 회원들로부터, 전 세계의 편집자들로부터 열렬한 반응을 이끌어냈다.
안타깝게도 그 직후 메리 앤의 건강이 갑자기 나빠졌다. 조카인 애니 배로우즈에게 그 책의 마무리를 도와달라고 요청한 후 그녀는 이 책이 세상에 나오는 것을 보지도 못하고 세상을 떠났다. 책은 그녀의 조카이자 동화작가인 애니 배로우즈가 정리하여 출판했다. |||메리 앤 셰퍼의 조카로 『건지 아일랜드 감자껍질파이 클럽』을 함께 냈으며, 어린이 도서 『아이비+빈』시리즈와 『매직 하프』의 저자이다. [예스24 제공]

 

 

<책밤지기 : 전원경>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런던 시티 대학교 대학원에서 예술비평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월간 『객석』과 시사주간지 『주간동아』의 문화팀 기자로 일하다가 다시 영국으로 유학을 떠나 글라스고 대학교에서 문화콘텐츠 산업을 연구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사이버대학교 외래교수이며 예술의전당 아카데미, 국립중앙박물관의 강의와 수원 SK아트리움, 울산 문화예술회관의 그림 콘서트를 진행하고 있다. 2001년 문화관광부 우수도서로 선정된 『영국, 바꾸지 않아도 행복한 나라』를 비롯해서 『예술가의 거리』, 『짧은 영광, 그래서 더 슬픈 영혼』, 『런던 미술관 산책』, 『클림트』, 『예술, 역사를 만들다』 등 예술과 역사, 문화 사이의 관계를 탐구하는 다양한 책을 썼다. 어린 시절부터 막연히 동경했던 예술 작품들의 세계를 말과 글로 전달하는 일을 하게 된 것을 늘 감사하고 있다.

『예술, 역사를 만들다』와 『예술, 도시를 만나다』의 뒤를 이어 뛰어난 예술 작품이 어떻게 인간을 위로할 수 있는가에 대한 해답을 찾는 『예술, 인간을 말하다』(가제)까지

‘예술 3부작’을 계획 중이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책밤지기 추천도서 목록>

 

1. [드가] (일상의 아름다움을 찾아낸 파리의 관찰자) 이연식 지음 - arte(아르테)

- 추천이유 : 일상의 아름다움을 찾아낸 파리의 관찰자(이연식) 발레리나 그림으로 유명하지만 정작 화가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는 드가 평전. 읽다보면 휘황찬란하게 불을 밝힌 오페라 하우스, 밤낮없이 사람들로 북적이는 카페, 도도하고 세련된 파리지앵들이 새로 조성된 대로를 걸어가는 19세기 파리 풍경이 손에 잡힐 듯하다.

2. [위대한 작곡가들의 삶1,2] 헤럴드 C. 숀버그 지음, 김원일 옮김 - 클

- 추천이유 : ‘뉴욕타임스’의 클래식 음악 평론가였던 숀버그가 쓴 작곡가들의 음악과 삶 이야기. 바흐부터 베토벤, 브람스, 차이콥스키 등 클래식 음악의 대가들에 대해 놀라운 통찰력을 느끼게 해주는 표현들이 많다. . 예를 들면 ‘베토벤은 후기로 갈수록 더 강렬하고 과감해지지만 브람스는 점점 더 이완되고 부드러워진다. 브람스 후기 작품을 많은 사람들이 ‘가을’이라는 단어로 표현하는 이유다’ 같은 문장들이 그렇다.

3. [마션] (어느 괴짜 과학자의 화성판 어드벤처 생존기) 앤디 위어 지음, 박아람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추천이유 : 미래의 어느 날, 화성 탐사선을 타고 간 우주인 마크 위트니는 화성에 홀로 낙오되는 불운을 겪는다. 당연히(?) 죽을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마크는 놀라울 정도의 재치와 낙천성, 그리고 과학자다운 실험 정신을 발휘해 1년 이상 혼자 화성에서 살아간다. 손에 땀을 쥐고 읽다 보면 어느새 마크의 열렬한 팬이 되어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4. [건지 감자껍질파이 북클럽] 매리 앤 셰퍼, 애니 베로스 지음, 이신 옮김 - 이덴슬리벨(EAT&SLEEPWELL)

- 추천이유 : 2차 대전 당시 영국 영토로는 유일하게 독일군에게 점령당한 건지 섬 사람들의 이야기. 전쟁이라는 절망적 상황에서도 희망과 용기를 잃지 않는 사람들의 모습이 팬데믹의 와중에 분투하는 우리들의 모습과 겹쳐지는 듯하다. 여기에 달달한 연애 이야기까지 덤으로 들어 있어 여러 모로 만족스러운 소설

 

 

<백북스 시즌2 책밤 소개>

https://www.notion.so/f36b20bed246443b883c9345735ac57d

5.jpg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60 360 문학예술 미술의 집은 어디인가 file 이근완 2017.08.30 389 김병수 미술평론가 신원 김병수 미술평론가 2017-09-12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59 325 자연과학 세상물정의 물리학 file 이근완 2016.02.18 1412 김범준 교수(성균관대학교 물리학과) 동아시아 김범준 교수(성균관대 물리학과) 2016-02-23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58 338 문학예술 [취소되었습니다] 그림 영혼의 부딪힘(명화로 배우는 감정의 인문학) 1 file 이근완 2016.08.30 360 김민성 알에이치코리아 김민성 2016-09-27 대전 탄방역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57 370 인문사회 대리사회 file 이근완 2018.01.28 330 김민섭 와이즈베리 김민섭 2018-02-13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56 218 원자력 딜레마 1 file 강신철 2011.07.13 6980 김명자 사이언스 북스 김명자 전 환경부장관 2011-07-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후7시
55 372 문학예술 회색인간 file 관리자 2018.03.04 481 김동식 요다 김동식 & 김민섭 2018-03-1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54 247 닥터스 씽킹 (How Doctors Think) 3 file 김형렬 2012.09.29 4712 제롬 그루프먼 해냄 김대경 교수 2012-10-09 유성도서관, 3층 저녁 7시
53 51 서희 협상을 말하다 file 관리자 2004.07.29 3686 김기홍 새로운 제안 김기홍 2004-08-10
52 259 예수전 4 file 이정원 2013.04.12 4718 김규항 돌베개 김규항 저자 2013-04-23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51 362-363 인문사회 우리는 고독할 기회가 적기 때문에 외롭다 file 이근완 2017.09.28 358 김규항 알마 김규항 2017-10-10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19시 15분
50 208 마리 퀴리의 위대한 유산 - 방사선과 현대생활 file 박문호 2011.02.17 10190 앨런 월터 미래의 창 김계령 박사(한국원자력연구원) 2011-02-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49 371 인문사회 대한민국의 설계자들 file 관리자 2018.02.20 220 김건우 느티나무책방 김건우 교수 2018-02-27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48 140 자연과학 뷰티풀 마인드 2 file 박문호 2008.04.09 6298 실비아 네이사 승산 김갑중 원장 2008-04-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7 178 기억을 찾아서 2 file 박문호 2009.11.13 8004 에릭 캔델 랜덤하우스 김갑중 원장 2009-11-24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46 212 애착장애로서의 중독 file 강신철 2011.04.20 9048 필립 플로레스 저, 김갑중 박춘삼 역 NUN 김갑중 원장 2011-04-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후 7시
45 234 공감의 시대 6 file 관리자 2012.03.14 5541 제레미 리프킨 민음사 김갑중 원장 2012-03-27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44 297 고전의 향기에 취하다 file 강신철 2014.11.26 4333 김갑기 21세기북스 김갑기 교수 2014-12-09 백북스홀 7시30분
43 27 선비의 의식구조 file 관리자 2003.07.07 3893 이규태 신원문화사 김갑기 2003-07-22
42 135 문학예술 한시로 읽는 우리 문학사 4 file 강신철 2008.01.23 5669 김갑기 새문사 김갑기 2008-02-1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1 26 적극적 사고방식 1 file 관리자 2003.06.27 4105 노먼빈센트필 세종서적 기영석 교수 2003-07-08
40 57 성령, 민중의 생명 file 관리자 2004.10.23 3606 권진관 나눔사 권진관 2004-11-10
39 381 문학예술 신의 영혼 오로라 file 관리자 2018.07.13 240 권오철 씨네21북스 권오철 천체사진가 2018-07-24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8 78 기찬 하루 file 관리자 2005.09.04 3853 권오상 팬덤하우스 권오상 2005-09-27
37 48 재미있는 통계이야기 file 관리자 2004.06.09 4206 더렐 허프 청아출판사 권세혁 2004-06-22
36 185 아이투아이(itoi) 1 file 강신철 2010.03.03 8725 켄 윌버 저/김철수 역 대원출판 권선필 교수 2010-03-0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35 228 생강 발가락 file 관리자 2011.12.07 5748 권덕하 애지 권덕하 시인 2011-12-20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오후7시
34 207 위대한 설계 file 박문호 2011.01.27 13047 스티븐 호킹 까치 국가 핵융합연구소 이경수 소장 2011-02-08 대전 유성구 가정동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33 327 자연과학 외계생명체 탐사기 file 이근완 2016.03.09 1366 이명현, 문경수, 이유경 외 2명 저 서해문집 공저자 문경수 2016-03-22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32 252 여행하는 인문학자 7 file 김형렬 2012.12.28 6533 공원국 민음사 공원국 저자 2013-01-08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31 301 자연과학 불멸의 이론 file 김홍섭 2015.02.10 1009 샤론 버치 맥그레인 휴먼사이언스 고원용 박사 2015-02-10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화) 오후7시
30 136 자연과학 과학의 새로운 언어, 정보 file 박문호 2008.02.14 5602 한스 베이어 승산 고원용 박사 2008-02-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9 261 인류의 발자국 1 file 이정원 2013.05.17 4277 앤터니 페나 삼천리 고원용 박사 2013-05-28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28 324 자연과학 사피엔스(유인원에서 사이보그까지, 인간 역사의 대담하고 위대한 질문) file 이근완 2016.01.29 1602 유발 하라리 김영사 고원용 박사 2016-02-16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7 348 자연과학 인포메이션 인간과 우주에 담긴 정보의 빅히스토리 file 이근완 2017.02.20 289 제임스 글릭, 박래선, 김태훈 역 동아시아 고원용 2017-02-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6 303 인문사회 다시, 사람이다 file 강신철 2015.02.25 1287 고상만 책담 고상만 2015-03-10 백북스홀 오후7시
25 125 인문사회 니체의 위험한 책,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file 박문호 2007.08.26 5272 고병권 그린비 고병권 2007-09-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4 213 호모 코뮤니타스 4 file 강신철 2011.04.28 8447 고미숙 그린비 고미숙 박사 2011-05-11 한남대학교 경상대학 방촌홀 오후7시
23 233 동의보감, 몸과 우주 그리고 삶의 비전을 찾아서 8 file 관리자 2012.02.29 5258 고미숙 그린비 고미숙 박사 2012-03-13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저녁 7시
22 111 인문사회 나비와 전사 file 관리자 2007.01.24 4932 고미숙 휴머니스트 고미숙 2007-02-1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1 44 지식의 나무 file 관리자 2004.04.06 3996 피에르 레비 철학과 현실사 강형식 2004-04-2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