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조회 수 26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419
저자 메리 앤 섀퍼, 애니 배로스
출판사 이덴슬리벨
발표자 책밤지기 : 전원경(세종사이버대 휴머니티칼리지 교수)
일자 2021-02-09
장소 이도저도
시간 오후 7:15

1.jpg

 

<책소개>

 

인기 작가이자 칼럼니스트 줄리엣에게 어느 날, 건지 섬에서 편지 한 통이 날아온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 점령하에서 5년의 세월을 견뎌야 했던 채널제도의 건지 섬 사람들의 이야기를 편지글 형식으로 생생하게 그려낸 『건지 감자껍질파이 북클럽』. 인기 작가이자 칼럼니스트인 주인공, 줄리엣은 건지 섬에 사는 한 남자로부터 편지를 받는다. 그는 ‘건지 아일랜드 감자껍질파이클럽’이라는 독특한 이름의 문학회 회원. 줄리엣은 제각기 개성 넘치는 문학회 회원들과 편지를 주고받기 시작한다. 나치 감시 하에서 문학회를 조직해 삶의 의지를 이어나간 그들의 5년은 어땠을까? 책과는 전혀 인연이 없을 것 같은 소박한 이들의 삶이 문학회를 통해 변화되는 과정이 흥미진진하게 펼쳐진다.

☞ 북소믈리에 한마디!
국내에 잘 알려지지 않은 영국의 낯선 섬, 건지 섬, 제2차 세계대전의 참혹한 현실을 바탕으로 한 이 책은 보기 드문 편지 소설 형식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주인공 줄리엣이 출판사 발행인 시드니, 절친한 친구 소피, 독특하고 유쾌한 건지 섬 사람들 10여 명과 주고받는 168여 통의 편지로 이루어져 있다. 소설 속 문학회 사람들을 통해 찰스 디킨스, 오스카 와일드 등 유명 작가들의 작품을 생생하게 만나볼 수 있다. 2008년 아마존과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 1위를 차지했으며, 2011년 헐리우드에서 영화화 하기로 결정하였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저자소개>

 

메리 앤 섀퍼

칠십 평생 지역 신문의 편집자 및 도서관 사서로 일했으며 서점에서 근무하기도 했고, 열정적인 문학 클럽 회원이기도 했다. 언젠가 책을 쓰기를 원했던 저자에게 그의 오랜 문학회 친구 하나가 말했다. “닥치고, 글을 쓰라고!” 이 말에 자극을 받아 쓰기 시작한 책이 바로 『건지 아일랜드 감자껍질파이 클럽』이다.

저자 메리 앤 셰퍼는 우연히 들은 ‘건지 아일랜드’ 이야기에 흥미를 느낀 나머지, 충동적으로 비행기를 타고 그 섬으로 날아갔다. 며칠간 섬을 돌아본 뒤 런던으로 돌아가려고 건지 공항에 갔을 때, 짙은 안개 때문에 모든 항공기의 이륙이 금지되었다는 소식을 접했다. 꼼짝없이 공항에 발이 묶일 수밖에 없었다. 무료한 시간을 때우기 위해 그녀는 건지공항 서점에 있던 건지 관련 책들을 모두 읽어 나갔다. 그 중 나치 독일이 건지 섬을 점령했던 시기의 이야기가 저자를 매혹하기 시작했다.

오랜 세월이 지난 뒤, 그녀의 북클럽에서 그녀에게 책을 쓰라고 재촉했을 때 메리 앤은 자연스럽게 건지 섬을 생각해 냈다. “조금 이상한 이유긴 하지만, 그게 더 쉬울 것 같아서” 편지 형태로 이야기를 쓰기로 했고, 몇 년간의 작업 끝에 ‘건지 아일랜드 감자껍질파이 클럽’의 초고가 나왔다. 이 사랑스러운 이야기는 그녀의 가족으로부터, 그녀의 문학클럽 회원들로부터, 전 세계의 편집자들로부터 열렬한 반응을 이끌어냈다.
안타깝게도 그 직후 메리 앤의 건강이 갑자기 나빠졌다. 조카인 애니 배로우즈에게 그 책의 마무리를 도와달라고 요청한 후 그녀는 이 책이 세상에 나오는 것을 보지도 못하고 세상을 떠났다. 책은 그녀의 조카이자 동화작가인 애니 배로우즈가 정리하여 출판했다. |||메리 앤 셰퍼의 조카로 『건지 아일랜드 감자껍질파이 클럽』을 함께 냈으며, 어린이 도서 『아이비+빈』시리즈와 『매직 하프』의 저자이다. [예스24 제공]

 

 

<책밤지기 : 전원경>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런던 시티 대학교 대학원에서 예술비평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월간 『객석』과 시사주간지 『주간동아』의 문화팀 기자로 일하다가 다시 영국으로 유학을 떠나 글라스고 대학교에서 문화콘텐츠 산업을 연구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사이버대학교 외래교수이며 예술의전당 아카데미, 국립중앙박물관의 강의와 수원 SK아트리움, 울산 문화예술회관의 그림 콘서트를 진행하고 있다. 2001년 문화관광부 우수도서로 선정된 『영국, 바꾸지 않아도 행복한 나라』를 비롯해서 『예술가의 거리』, 『짧은 영광, 그래서 더 슬픈 영혼』, 『런던 미술관 산책』, 『클림트』, 『예술, 역사를 만들다』 등 예술과 역사, 문화 사이의 관계를 탐구하는 다양한 책을 썼다. 어린 시절부터 막연히 동경했던 예술 작품들의 세계를 말과 글로 전달하는 일을 하게 된 것을 늘 감사하고 있다.

『예술, 역사를 만들다』와 『예술, 도시를 만나다』의 뒤를 이어 뛰어난 예술 작품이 어떻게 인간을 위로할 수 있는가에 대한 해답을 찾는 『예술, 인간을 말하다』(가제)까지

‘예술 3부작’을 계획 중이다.

[인터넷 교보문고 제공]

 

 

<책밤지기 추천도서 목록>

 

1. [드가] (일상의 아름다움을 찾아낸 파리의 관찰자) 이연식 지음 - arte(아르테)

- 추천이유 : 일상의 아름다움을 찾아낸 파리의 관찰자(이연식) 발레리나 그림으로 유명하지만 정작 화가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는 드가 평전. 읽다보면 휘황찬란하게 불을 밝힌 오페라 하우스, 밤낮없이 사람들로 북적이는 카페, 도도하고 세련된 파리지앵들이 새로 조성된 대로를 걸어가는 19세기 파리 풍경이 손에 잡힐 듯하다.

2. [위대한 작곡가들의 삶1,2] 헤럴드 C. 숀버그 지음, 김원일 옮김 - 클

- 추천이유 : ‘뉴욕타임스’의 클래식 음악 평론가였던 숀버그가 쓴 작곡가들의 음악과 삶 이야기. 바흐부터 베토벤, 브람스, 차이콥스키 등 클래식 음악의 대가들에 대해 놀라운 통찰력을 느끼게 해주는 표현들이 많다. . 예를 들면 ‘베토벤은 후기로 갈수록 더 강렬하고 과감해지지만 브람스는 점점 더 이완되고 부드러워진다. 브람스 후기 작품을 많은 사람들이 ‘가을’이라는 단어로 표현하는 이유다’ 같은 문장들이 그렇다.

3. [마션] (어느 괴짜 과학자의 화성판 어드벤처 생존기) 앤디 위어 지음, 박아람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추천이유 : 미래의 어느 날, 화성 탐사선을 타고 간 우주인 마크 위트니는 화성에 홀로 낙오되는 불운을 겪는다. 당연히(?) 죽을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마크는 놀라울 정도의 재치와 낙천성, 그리고 과학자다운 실험 정신을 발휘해 1년 이상 혼자 화성에서 살아간다. 손에 땀을 쥐고 읽다 보면 어느새 마크의 열렬한 팬이 되어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4. [건지 감자껍질파이 북클럽] 매리 앤 셰퍼, 애니 베로스 지음, 이신 옮김 - 이덴슬리벨(EAT&SLEEPWELL)

- 추천이유 : 2차 대전 당시 영국 영토로는 유일하게 독일군에게 점령당한 건지 섬 사람들의 이야기. 전쟁이라는 절망적 상황에서도 희망과 용기를 잃지 않는 사람들의 모습이 팬데믹의 와중에 분투하는 우리들의 모습과 겹쳐지는 듯하다. 여기에 달달한 연애 이야기까지 덤으로 들어 있어 여러 모로 만족스러운 소설

 

 

<백북스 시즌2 책밤 소개>

https://www.notion.so/f36b20bed246443b883c9345735ac57d

5.jpg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440 6 영혼이 있는 승부 file 관리자 2003.06.21 4580 최인호 김영사 2002-08-27
439 29 괴짜들의 리더십 file 관리자 2003.08.12 3631 스티븐 샘플 김영사 성일석 교수 2003-08-26
438 18 달라이 라마의 행복론 file 관리자 2003.06.21 3721 류시화 김영사 2003-03-11
437 21 경영경제 좋은 기업을 넘어 위대한 기업으로 file 관리자 2003.06.21 4476 짐 콜린스 김영사 2003-04-22
436 130 인문사회 만들어진 신 4 file 박문호 2007.11.17 6063 리처드 도킨스 김영사 도정일 2007-11-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35 154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file 박문호 2008.11.12 5271 안철수 김영사 안철수 2008-11-25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34 169 적도의 침묵 6 file 박문호 2009.06.24 8257 주강현 김영사 주강현 교수 2009-07-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41-3호 오후 7시
433 52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1,2권 file 관리자 2004.07.29 3827 이덕일 김영사 임해경 2004-08-24
432 428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15] 실험실의 진화 file 조수윤 2021.06.10 341 홍성욱 김영사 책밤지기 : 홍성욱 (서울리뷰오브북스 편집장) 2021-06-22 이도저도 오후 7:15
431 460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2주년] 어떤 양형 이유 file 조수윤 2022.11.09 260 박주영 판사 김영사 송태호, 진종식, 이정원, 이주영, 백정민, 태병권, 박순필, 송우주, 허은영 2022-11-22 이도저도 오후 7:15
430 110 인문사회 이머전스 file 관리자 2007.01.10 4824 스티븐 존슨 김영사 강신철 교수 2007-01-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29 165 기타 마음 거울 2 file 박문호 2009.04.30 5726 청안스님 김영사 청안스님 2009-05-11 오후 7시 |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428 204 정의란 무엇인가? 4 file 강신철 2010.12.15 10908 마이클 샌델 김영사 강신철 교수 2010-12-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427 324 자연과학 사피엔스(유인원에서 사이보그까지, 인간 역사의 대담하고 위대한 질문) file 이근완 2016.01.29 1601 유발 하라리 김영사 고원용 박사 2016-02-16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426 389 인문사회 하늘에 새긴 우리 역사 file 이근완 2019.01.19 262 박창범 김영사 샤론 2019-01-22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4번 출구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425 435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22] 당신과 지구와 우주 file 조수윤 2021.10.27 695 크리스토퍼 포터 까치 책밤지기 : 임석희(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21-11-09 이도저도 오후 7:15
424 207 위대한 설계 file 박문호 2011.01.27 13047 스티븐 호킹 까치 국가 핵융합연구소 이경수 소장 2011-02-08 대전 유성구 가정동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423 108 자연과학 조상이야기 file 관리자 2006.10.25 4819 리처드 도킨스 까치글방 송윤호 회원 2006-12-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22 34 군주론 file 관리자 2003.09.30 3588 마키아벨리 까치글방 이봉철 박사 2003-11-22
421 227 자연과학 생명 40억년의 비밀 file 문경수 2011.11.18 6693 리처드포티 까치글방 문경수 2011-12-06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저녁 7시
420 441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28] 인수공통 모든 전염병의 열쇠 file 조수윤 2022.02.08 225 데이비드 콰먼 꿈꿀자유 책밤지기 : 박대기 기자 2022-02-08 이도저도 오후 7:15
419 223 담금질 7 file 강신철 2011.09.28 7444 안희정 나남 안희정 충남도지사 2011-10-11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오후7시
418 216 공론장의 구조변동 file 강신철 2011.06.18 8161 위르겐 하버마스 나남 김준기 대전시립미술관 학예실장 2011-06-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417 159 마음의 기원 file 박문호 2009.02.02 5431 데이비드 버스 나노미디어 주명진 원장 2009-02-10
416 57 성령, 민중의 생명 file 관리자 2004.10.23 3606 권진관 나눔사 권진관 2004-11-10
415 319 자연과학 공생 멸종 진화 (생명 탄생의 24가지 결정적 장면) file 이근완 2015.11.11 1546 이정모(서대문자연사박물관장) 나무,나무 이정모(서대문자연사박물관장) 2015-11-24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414 401 문학예술 갈매기의 꿈 file 관리자 2019.07.11 456 리처드 바크 나무옆의자 서윤신 (몸짓 아티스트, FCD무용단 대표) 2019-07-23 대전 백북스홀 (대전 탄방역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413 175 나는 문학이다 file 박문호 2009.10.01 7452 장석주 나무이야기 저자 장석주 2009-10-13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강당
412 282 민주주의에 反하다 file 유화현 2014.03.29 6139 하승우 낮은산 하승우 교수 (저자) 2014-04-08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홈플러스탄방점 맞은편) 오후 7시
411 395 인문사회 딸이 전하는 아버지의 역사 file 관리자 2019.04.10 324 이흥섭(역자 : 번역공동체 잇다) 논형 심아정(번역공동체 잇다 대표) 2019-04-23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410 55 말하기의 다른 방법 file 관리자 2004.09.07 3669 존 버거 눈빛 출판사 임민수 2004-10-12
409 145 기타 궁궐의 우리나무 2 file 관리자 2008.06.26 5288 박상진 눌와 안여종 2008-07-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08 406 문학예술 초상화, 그려진 선비정신 file 조수윤 2019.09.26 296 이성낙 눌와 이성낙 2019-10-08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407 371 인문사회 대한민국의 설계자들 file 관리자 2018.02.20 220 김건우 느티나무책방 김건우 교수 2018-02-27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406 392 인문사회 같이 읽고 함께 살다 file 관리자 2019.02.27 372 장은수 느티나무책방 장은수 2019-03-12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7시 30분
405 281 자아폭발 - 타락 file 유화현 2014.03.15 6057 스티브 테일러(Steve Taylor) 다른세상 이병록 교수님(동명대) 2014-03-25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홈플러스탄방점 맞은편)) 오후 7시
404 220 김탁환 쉐이크 - 영혼을 흔드는 스토리텔링 1 file 강신철 2011.08.10 7908 김탁환 다산북스 김탁환 소설가 2011-08-30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7시
403 203 밀림무정 I, II 9 file 강신철 2010.11.24 9619 김탁환 다산책방 김탁환 소설가 2010-12-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402 224 윤휴와 침묵의 제국 4 file 강신철 2011.10.12 6280 이덕일 다산초당 이덕일 박사 2011-10-25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오후 7시
401 476 인문사회 기억되는 것은 사라지지 않는다 file 조수윤 2024.01.02 479 진용주 작가 단추 진용주 작가 2024-01-23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