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인문사회
2018.06.29 04:53

등대의 세계사

조회 수 25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380
저자 주강현
출판사 서해문집
발표자 주강현
일자 2018-07-10
장소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시간 오후 7시 15분

* 입장료: 1만원 (사전등록 없이 현장에서 입장료를 주시면 됩니다.)

* 간단한 음식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

* 대전백북스는 매월 둘째, 넷째 화요일입니다.

* 페이스북 페이지: https://www.facebook.com/100booksclub/

 

284529891g.jpg

 

 

“등대는 바다를 건너서, 시간을 건너서 온다” 

등대는 항구도시가 만들어낸 가장 뛰어난 세공품이었다. 단순하게 생겼지만 그 기능이 인간의 생명을 구하는 빛이었기에 인류 역사와 더불어 시작된 해양 문명사의 가장 위대한 발명품, 해양 문명사의 원형질로 여길 수 있다. 등대에는 유구한 해양문명의 DNA가 각인되어 있다. 
등대는 시간을 가로질러 인류 문명의 시초로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오고 있는 중이다. 등대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불빛으로 항해자를 보호하는 것이며, 가장 기본적인 형태는 수직의 높은 구조물과 그 꼭대기에서 빛나는 불빛이다. 이러한 등대의 목적과 형태는 적어도 지난 2000년 넘게 변한 것이 없다. 거친 파도와 바람, 전쟁으로 수많은 등대가 사라졌으나, 바다를 향한 인간의 의지는 단절 없는 등대 건설로 표현돼왔다. 이에 더하여 변하지 않은 것이 또 하나 있으니, 그것은 등대가 주는 감동이다. 버지니아 울프의 〈등대로(To the Lighthouse)〉가 말해주듯 등대로 가는 길은 심연의 공간으로 떠나는 길이다. 그러나 등대의 낭만성은 문학적 감흥으로서만이 아니라 일종의 ‘멘탤리티(mentality)의 역사’로도 해석할 수 있다. 이제 유라시아 대륙에서 동아시아 끝자락까지 세계 등대유산을 탐사하는 여행, 해양문명사의 융숭하고 아름다우며 때론 잔인하기까지 한 이야기와 만날 수 있을 것이다. 

‘해양 문명의 아이콘’ 등대로 보는 세계사

알렉산드리아라는 고대 계획도시와 인류 최초의 등대 파로스라는 랜드마크의 출현은 새로운 문명사적 개안을 의미했다. 로마의 오스티아 등대에 이르기까지 고대 등대는 지중해 문명을 밝혔다. 좀 더 분명한 역사 유산 실체로서 존재하는 등대는 역시 로마제국 시대에 이르러야 본격화되기 시작한다. 로마제국은 에스파냐 갈리시아와 영국 도버에까지 등대 유산을 남겼다. 1~2세기에 주로 성장한 갈리시아는 해상무역의 주요 거점이 됐고, 그런 의미에서 헤라클레스 등대는 대서양 방향으로의 진출을 상징하는 건축물이 됐다. 페니키아와 그리스, 로마로 이어지는 지중해 해양력의 궤적은 훗날 제노바, 베네치아 등의 도시국가로 이어졌다. 당시는 멀리 흑해까지 무역로를 넓혀가면서 도시 간 각축이 심각할 정도로 전개됐으며 전쟁은 필연적이었다. 지중해 패권의 중심에 있던 이탙리아 제노바, 그 중심에 황금시대를 상징하는 란테르나 등대가 있었다. ‘바이킹의 바다’에서 ‘한자 동맹의 바다’로, 북해와 발트해에서 해상무역이 활기를 띠기 시작했다. 영국에서 슬라브권에 이르는 해역을 항해하는 무역선의 안전을 위해, 또 청어잡이배를 보호하기 위해 한자 동맹 무역로에 남아 있는 수많은 등대와, 프리지아제도에서 유독 반짝이던 불빛이 남아 있다. 
무엇보다 에스파냐와 포르투갈 등 이베리아 세력이 추동한 대항해시대에 등대가 필수적이었음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에스파냐 세비야의 유대인 골목에서 대항해의 출발점이 될 수 있었던 힘을 찾았다. 그것은 이슬람 과학기술과 유대인 자본. 아랍풍의 황금탑이 이를 증거한다. 대륙의 끝에서 포르투갈 엔히크 왕자는 야심만만한 전략을 펼친다. 전략가의 싱크탱크 역할을 하던 그곳에도 어김없이 등대가 자리한다. 켈트의 전통과 식민의 유산이 깊게 밴 아일랜드를 지나칠 수가 없다. 1200년의 장중함을 담은 훅 등대부터 켈트의 DNA를 그대로 간직한 등대까지. 그러나 등대의 선두 주자는 단연 잉글랜드였다. 제국 영국의 빛은 근대 등대의 탄생을 가져왔다. 500년 영국 해양사와 함께한 트리니티 하우스에서부터 대서양 진출의 길잡이 포클랜드 등대를 지나 마침내 근대 등대의 시작을 알리는 에디스톤 등대까지 팍스브리타니카의 상징을 모두 만난다. 특히 200년에 걸친 실험과 도전 끝에 에디스톤 등대에 적용된 시멘트 공법은 등대 건축의 이정표로 우뚝 섰다. 
15세기 이래로 인류 최대의 이민과 식민이 전개됐다. 파장의 큰 몫은 역시 아메리카 대륙였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몬타우크 등대가 있다. 식민자 혹은 디아스포라의 불빛은 미국만이 아니라 영연방의 식민인 호주와 캐나다에도, 포르투갈 제국 식민인 인도 고아와 마카오에도, 제국의 손길이 미치는 곳 어디에나 따라다녔다. 보르도 와인 무역의 번영, 그 길을 밝힌 ‘걸작’ 코르두앙 등대을 세운 프랑스도 특별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바로 프레넬 렌즈의 발명과 확산이다. 등대의 새 역사를 쓴 것이다. 동아시아의 빛은 곧 해양실크로드로 나아가는 신호였다. 중국 등대의 역사는 타이완 해협에서 시작되었다. 일본 메이지 등대는 곧 제국의 등대로 나아갔다. 한국의 근대는 식민 시대 정복의 횃불로 시작했다. 한반도 연안에 불 밝힐 때마다 제국 시대의 어둠은 깊어져갔다. 

등대, 오리엔탈리즘을 넘어서

이 책은 등대를 바라보는 오리엔탈리즘 시각의 극복을 시종일관 강조한다. 지금까지 세계 해양 문명사의 서술은 오로지 서구 중심이었다. 그러나 이베리아의 대항해는 안달루시아의 이슬람 유산에 빚지고 있다. 인도양은 아라비아와 페르시아 상인의 무대였으며, 이슬람의 모스크가 바로 등대였다. 중국의 산정에 세워진 불탑은 등탑으로 기능했으며, 일본의 항·포구나 사찰의 석등도 전통 등대였다. 제주도의 도대불 같은 전통 등대의 시도 역시 해양 문화적 자기정체성과 관련이 있다. 이제 서양식 등대 관념을 벗어나 아시아적 전통 등대와 항로표지 기술을 재발견, 재평가할 때가 되었다.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등대, 가장 아름다운 등대를 만나다

알렉산드리아의 가장 빛나는 아이콘, 이집트 파로스 등대부터 1900년 된, 아직도 ‘현역’인 에스파냐 헤라클레스 등대, 지중해의 패권을 놓고 다투던 이탈리아 란테르나 등대, 발트의 모래톱을 경고하는 에스토니아 코푸 등대, 전략가 엔히크 왕자의 야심이 담긴 포르투갈 상비센테 등대, 1200년 전통의 장중함을 담은 아일랜드 훅 등대, 근대 등대의 탄생을 알리는 영국 에디스톤 등대, 식민자 혹은 디아스포라의 불빛인 미국 몬타우크 등대, 등대의 역사를 바꾼 프레넬 렌즈가 돌아가는 프랑스 코르두앙 등대, 그리고 식민 지배의 아픈 과거를 드러내는 한국의 등대까지....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등대, 가장 아름다운 등대, 가장 상징적인 등대가 이 책 곳곳에 담겨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221 187 낙타 7 file 강신철 2010.03.24 8447 신경림 창비 신경림 시인 2010-04-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20 190 한국의 뇌과학자, 세계의 정상에 서다 1 file 관리자 2010.05.14 7315 박방주 궁리 조장희 2010-05-25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19 195 새로 쓰는 한일 고대사 6 file 강신철 2010.07.28 8355 김운회 동아일보사 김운회 교수 2010-08-10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19:00
218 172 몽골의 역사 3 file 강신철 2009.08.15 6700 강톨가 동북아역사재단 역자 이평래 2009-08-25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17 183 게르만 신화 바그너 히틀러 5 file 강신철 2010.01.27 8213 안인희 민음사 안인희 박사 2010-02-0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16 185 아이투아이(itoi) 1 file 강신철 2010.03.03 8716 켄 윌버 저/김철수 역 대원출판 권선필 교수 2010-03-0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215 188 아무도 울지 않는 밤은 없다 file 강신철 2010.04.15 7554 이면우 창비 이면우 시인 2010-04-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214 192 산소 file 박문호 2010.06.17 7316 닉 네인 파스칼 북스 박문호 2010-06-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213 194 바로크음악의 역사적 해석 file 강신철 2010.07.21 6140 민은기 음악세계 오지희 교수 2010-07-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12 196 플라톤에서 비트겐슈타인까지 8 file 강신철 2010.08.13 8869 조중걸 베아르피 조중걸 박사 2010-08-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11 198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file 박문호 2010.09.01 7935 사이먼 싱 영림 카디날 송용진 교수 2010-09-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210 202 한권으로 읽는 나노기술의 모든 것 1 file 강신철 2010.11.10 8381 이인식 고즈윈 이광섭 교수 2010-11-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09 203 밀림무정 I, II 9 file 강신철 2010.11.24 9618 김탁환 다산책방 김탁환 소설가 2010-12-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08 204 정의란 무엇인가? 4 file 강신철 2010.12.15 10902 마이클 샌델 김영사 강신철 교수 2010-12-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07 208 마리 퀴리의 위대한 유산 - 방사선과 현대생활 file 박문호 2011.02.17 10183 앨런 월터 미래의 창 김계령 박사(한국원자력연구원) 2011-02-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206 214 달마는 서쪽에서 오지 않았다 file 강신철 2011.05.12 6119 보리 달마 저/덕산 스님 역 비움과 소통 덕산 스님 2011-05-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205 179 한국사 그들이 숨긴 진실 5 file 강신철 2009.11.25 9146 이덕일 역사의 아침 이덕일 2009-12-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오후7시
204 168 자본주의와 자유 file 강신철 2009.06.10 6737 밀턴 프리드먼 청어람미디어 변동열 변호사 2009-06-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오후 7시
203 93 문학예술 지각대장 존 file 관리자 2006.04.28 4100 존 버닝햄 비룡소 강영희 2006-05-0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2 95 인문사회 인간본성에 대하여 file 관리자 2006.05.21 4179 에드워드 윌슨 사이언스북스 이진석 2006-06-1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 96 기타 타인최면 file 관리자 2006.06.20 5255 류한평 갑진출판사 류한평 2006-06-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 101 자연과학 의식의 탐구 file 관리자 2006.08.24 4863 크리스토프 코흐 시그마프레스 박문호 2006-09-1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9 103 인문사회 고수기행 file 관리자 2006.09.27 4934 조용헌 랜덤하우스중앙 조용헌 2006-10-10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8 94 인문사회 탐독 file 관리자 2006.05.10 4165 이정우 아고라 이정우 2006-05-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7 97 문학예술 그 남자의 재즈일기 1,2권 file 관리자 2006.06.26 4508 황덕호 돋을새김 표현봉 2006-07-1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6 99 마음찾기 file 관리자 2006.07.29 4091 박영의 여시아문 박영의 2006-08-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5 108 자연과학 조상이야기 file 관리자 2006.10.25 4812 리처드 도킨스 까치글방 송윤호 회원 2006-12-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4 111 인문사회 나비와 전사 file 관리자 2007.01.24 4929 고미숙 휴머니스트 고미숙 2007-02-1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3 115 자연과학 우주의 구조 2 file 박문호 2007.03.30 6128 브라이언 그린 승산 박문호 2007-04-10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2 117 원효의 대승기신론 소. 별기 file 박문호 2007.05.03 5473 은정희 일지사 박문호 2007-05-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1 118 문학예술 말랑말랑한 힘 file 박문호 2007.05.13 5250 함민복 문학세계사 함민복 2007-05-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0 100 자연과학 블랙홀이 불쑥불쑥 file 관리자 2006.08.10 4598 박석재 주니어김영사 박석재 원장 2006-08-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89 105 경영경제 디트로이트의 종말 file 관리자 2006.11.09 4785 미쉐린 메이너드 인디북 현영석 교수 2006-11-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88 124 자연과학 생명 최초의 30억년 file 박문호 2007.08.09 5769 앤드류 놀 뿌리와이파리 이진석 회원 2007-08-2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87 125 인문사회 니체의 위험한 책,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file 박문호 2007.08.26 5266 고병권 그린비 고병권 2007-09-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86 128 인문사회 생각의 탄생 1 file 박문호 2007.10.15 6282 루터번스타인 에코의 서재 박문호 2007-10-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85 129 문학예술 열하광인 file 박문호 2007.10.27 5492 김탁환 민음사 김탁환 2007-11-1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84 130 인문사회 만들어진 신 4 file 박문호 2007.11.17 6061 리처드 도킨스 김영사 도정일 2007-11-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83 102 자연과학 과학 콘서트 file 관리자 2006.09.13 4466 정재승 동아시아 정재승 2006-09-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82 132 이보디보 : 생명의 블랙박스를 열다 file 박문호 2007.12.12 5125 션 캐럴 지호 황보영 회원 2007-12-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