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인문사회
2018.06.29 04:53

등대의 세계사

조회 수 25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380
저자 주강현
출판사 서해문집
발표자 주강현
일자 2018-07-10
장소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시간 오후 7시 15분

* 입장료: 1만원 (사전등록 없이 현장에서 입장료를 주시면 됩니다.)

* 간단한 음식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

* 대전백북스는 매월 둘째, 넷째 화요일입니다.

* 페이스북 페이지: https://www.facebook.com/100booksclub/

 

284529891g.jpg

 

 

“등대는 바다를 건너서, 시간을 건너서 온다” 

등대는 항구도시가 만들어낸 가장 뛰어난 세공품이었다. 단순하게 생겼지만 그 기능이 인간의 생명을 구하는 빛이었기에 인류 역사와 더불어 시작된 해양 문명사의 가장 위대한 발명품, 해양 문명사의 원형질로 여길 수 있다. 등대에는 유구한 해양문명의 DNA가 각인되어 있다. 
등대는 시간을 가로질러 인류 문명의 시초로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오고 있는 중이다. 등대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불빛으로 항해자를 보호하는 것이며, 가장 기본적인 형태는 수직의 높은 구조물과 그 꼭대기에서 빛나는 불빛이다. 이러한 등대의 목적과 형태는 적어도 지난 2000년 넘게 변한 것이 없다. 거친 파도와 바람, 전쟁으로 수많은 등대가 사라졌으나, 바다를 향한 인간의 의지는 단절 없는 등대 건설로 표현돼왔다. 이에 더하여 변하지 않은 것이 또 하나 있으니, 그것은 등대가 주는 감동이다. 버지니아 울프의 〈등대로(To the Lighthouse)〉가 말해주듯 등대로 가는 길은 심연의 공간으로 떠나는 길이다. 그러나 등대의 낭만성은 문학적 감흥으로서만이 아니라 일종의 ‘멘탤리티(mentality)의 역사’로도 해석할 수 있다. 이제 유라시아 대륙에서 동아시아 끝자락까지 세계 등대유산을 탐사하는 여행, 해양문명사의 융숭하고 아름다우며 때론 잔인하기까지 한 이야기와 만날 수 있을 것이다. 

‘해양 문명의 아이콘’ 등대로 보는 세계사

알렉산드리아라는 고대 계획도시와 인류 최초의 등대 파로스라는 랜드마크의 출현은 새로운 문명사적 개안을 의미했다. 로마의 오스티아 등대에 이르기까지 고대 등대는 지중해 문명을 밝혔다. 좀 더 분명한 역사 유산 실체로서 존재하는 등대는 역시 로마제국 시대에 이르러야 본격화되기 시작한다. 로마제국은 에스파냐 갈리시아와 영국 도버에까지 등대 유산을 남겼다. 1~2세기에 주로 성장한 갈리시아는 해상무역의 주요 거점이 됐고, 그런 의미에서 헤라클레스 등대는 대서양 방향으로의 진출을 상징하는 건축물이 됐다. 페니키아와 그리스, 로마로 이어지는 지중해 해양력의 궤적은 훗날 제노바, 베네치아 등의 도시국가로 이어졌다. 당시는 멀리 흑해까지 무역로를 넓혀가면서 도시 간 각축이 심각할 정도로 전개됐으며 전쟁은 필연적이었다. 지중해 패권의 중심에 있던 이탙리아 제노바, 그 중심에 황금시대를 상징하는 란테르나 등대가 있었다. ‘바이킹의 바다’에서 ‘한자 동맹의 바다’로, 북해와 발트해에서 해상무역이 활기를 띠기 시작했다. 영국에서 슬라브권에 이르는 해역을 항해하는 무역선의 안전을 위해, 또 청어잡이배를 보호하기 위해 한자 동맹 무역로에 남아 있는 수많은 등대와, 프리지아제도에서 유독 반짝이던 불빛이 남아 있다. 
무엇보다 에스파냐와 포르투갈 등 이베리아 세력이 추동한 대항해시대에 등대가 필수적이었음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에스파냐 세비야의 유대인 골목에서 대항해의 출발점이 될 수 있었던 힘을 찾았다. 그것은 이슬람 과학기술과 유대인 자본. 아랍풍의 황금탑이 이를 증거한다. 대륙의 끝에서 포르투갈 엔히크 왕자는 야심만만한 전략을 펼친다. 전략가의 싱크탱크 역할을 하던 그곳에도 어김없이 등대가 자리한다. 켈트의 전통과 식민의 유산이 깊게 밴 아일랜드를 지나칠 수가 없다. 1200년의 장중함을 담은 훅 등대부터 켈트의 DNA를 그대로 간직한 등대까지. 그러나 등대의 선두 주자는 단연 잉글랜드였다. 제국 영국의 빛은 근대 등대의 탄생을 가져왔다. 500년 영국 해양사와 함께한 트리니티 하우스에서부터 대서양 진출의 길잡이 포클랜드 등대를 지나 마침내 근대 등대의 시작을 알리는 에디스톤 등대까지 팍스브리타니카의 상징을 모두 만난다. 특히 200년에 걸친 실험과 도전 끝에 에디스톤 등대에 적용된 시멘트 공법은 등대 건축의 이정표로 우뚝 섰다. 
15세기 이래로 인류 최대의 이민과 식민이 전개됐다. 파장의 큰 몫은 역시 아메리카 대륙였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몬타우크 등대가 있다. 식민자 혹은 디아스포라의 불빛은 미국만이 아니라 영연방의 식민인 호주와 캐나다에도, 포르투갈 제국 식민인 인도 고아와 마카오에도, 제국의 손길이 미치는 곳 어디에나 따라다녔다. 보르도 와인 무역의 번영, 그 길을 밝힌 ‘걸작’ 코르두앙 등대을 세운 프랑스도 특별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바로 프레넬 렌즈의 발명과 확산이다. 등대의 새 역사를 쓴 것이다. 동아시아의 빛은 곧 해양실크로드로 나아가는 신호였다. 중국 등대의 역사는 타이완 해협에서 시작되었다. 일본 메이지 등대는 곧 제국의 등대로 나아갔다. 한국의 근대는 식민 시대 정복의 횃불로 시작했다. 한반도 연안에 불 밝힐 때마다 제국 시대의 어둠은 깊어져갔다. 

등대, 오리엔탈리즘을 넘어서

이 책은 등대를 바라보는 오리엔탈리즘 시각의 극복을 시종일관 강조한다. 지금까지 세계 해양 문명사의 서술은 오로지 서구 중심이었다. 그러나 이베리아의 대항해는 안달루시아의 이슬람 유산에 빚지고 있다. 인도양은 아라비아와 페르시아 상인의 무대였으며, 이슬람의 모스크가 바로 등대였다. 중국의 산정에 세워진 불탑은 등탑으로 기능했으며, 일본의 항·포구나 사찰의 석등도 전통 등대였다. 제주도의 도대불 같은 전통 등대의 시도 역시 해양 문화적 자기정체성과 관련이 있다. 이제 서양식 등대 관념을 벗어나 아시아적 전통 등대와 항로표지 기술을 재발견, 재평가할 때가 되었다.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등대, 가장 아름다운 등대를 만나다

알렉산드리아의 가장 빛나는 아이콘, 이집트 파로스 등대부터 1900년 된, 아직도 ‘현역’인 에스파냐 헤라클레스 등대, 지중해의 패권을 놓고 다투던 이탈리아 란테르나 등대, 발트의 모래톱을 경고하는 에스토니아 코푸 등대, 전략가 엔히크 왕자의 야심이 담긴 포르투갈 상비센테 등대, 1200년 전통의 장중함을 담은 아일랜드 훅 등대, 근대 등대의 탄생을 알리는 영국 에디스톤 등대, 식민자 혹은 디아스포라의 불빛인 미국 몬타우크 등대, 등대의 역사를 바꾼 프레넬 렌즈가 돌아가는 프랑스 코르두앙 등대, 그리고 식민 지배의 아픈 과거를 드러내는 한국의 등대까지....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등대, 가장 아름다운 등대, 가장 상징적인 등대가 이 책 곳곳에 담겨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160 163 선학동 나그네 file 강신철 2009.03.25 4790 이청준 문이당 김병욱 명예교수 2009-04-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층 소강당
159 418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5] 기억하는 몸 file 조수윤 2021.01.13 272 이토 아사 현암사 책밤지기 : 김초엽 작가 2021-01-26 이도저도 오후 7:15
158 395 인문사회 딸이 전하는 아버지의 역사 file 관리자 2019.04.10 322 이흥섭(역자 : 번역공동체 잇다) 논형 심아정(번역공동체 잇다 대표) 2019-04-23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57 126 기타 호주 file 박문호 2007.09.18 4977 일자 샤프 휘슬러 호주학습탐사팀 2007-09-2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56 263 문학예술 카메라로 명상하기 1 file 유화현 2013.06.15 4802 임민수 작가님 비움과소통 임민수 작가님 2013-06-25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5 60 생활의 발견 file 관리자 2004.11.23 3799 임어당 홍신문화사 김정렬 2004-12-28
154 137 기타 한국의 이공계는 글쓰기가 두렵다 file 박문호 2008.02.27 5714 임재춘 북코리아 임재춘 교수 2008-03-1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53 68 임해경 교수님 첼로 연주회 관리자 2005.04.13 4129 임해경 ETRI 강당 임해경 2005-04-26
152 473 문학예술 내 머릿속 미술관 file 관리자 2023.10.14 535 임현균 지식의 날개 임현균 2023-10-24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151 175 나는 문학이다 file 박문호 2009.10.01 7446 장석주 나무이야기 저자 장석주 2009-10-13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강당
150 238 남극은 왜? 3 file 관리자 2012.05.09 5960 장순근 지성사 장순근 박사 (장소: 백북스홀) 2012-05-25 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49 392 인문사회 같이 읽고 함께 살다 file 관리자 2019.02.27 366 장은수 느티나무책방 장은수 2019-03-12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7시 30분
148 81 후손을 위한 원자력 file 관리자 2005.10.25 4518 장인순 한국원자력연구소 장인순 2005-11-08
147 69 사다리 걷어차기 관리자 2005.03.22 3718 장하준 부키 김홍기 2005-05-10
146 429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16] 길 위의 독서 file 조수윤 2021.06.23 39502 전성원 뜨란 책밤지기 : 전성원 (황해문화 편집장) 2021-07-13 이도저도 오후 7:15
145 289 휴보이즘 file 유화현 2014.07.10 5145 전승민 MID 전승민 기자(저자) 2014-07-22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44 388 인문사회 어느 무명 철학자의 유쾌한 행복론 file 이근완 2018.12.26 431 전시륜 행복한마음 박대기(방송기자) 2019-01-08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30분
143 298 런던 미술관 산책 2 file 박성일 2014.12.11 3693 전원경 시공사 전원경 박사 2014-12-16 백북스홀(탄방동) 오후 7시
142 384 문학예술 클림트 file 관리자 2018.10.08 272 전원경 arte 전원경 2018-10-2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41 112 인문사회 붓다의 가르침과 팔정도 file 관리자 2007.02.14 4945 전재성 한국빠알리성전협회 전재성 2007-02-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40 318 문학예술 상상의 아테네 베를린 도쿄 서울 : 기억과 건축이 빚어낸 불협화음의 문화사 file 이근완 2015.10.28 1473 전진성 천년의 상상 전진성(부산교육대 사회학과 교수) 2015-11-10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139 404 자연과학 사람의 자리 과학의 마음에 닿다 file 조수윤 2019.08.28 261 전치형(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 이음 전치형(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 2019-09-10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38 134 고대문명교류사 file 박문호 2008.01.09 4828 정수일 사계절출판사 김홍섭 회원 2008-01-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37 316 문학예술 쿠바, 혁명보다 뜨겁고 천국보다 낯선 1 file 이근완 2015.09.24 1671 정승구 아카넷 정승구(영화감독) 2015-10-13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136 283 내가 사랑한 유럽 TOP10 file 유화현 2014.04.12 4580 정여울 홍익출판사 정여울 작가 2014-04-22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홈플러스탄방점 맞은편) 오후 7시
135 308 인문사회 그림자 여행 file 이근완 2015.05.23 1307 정여울 추수밭 저자 정여울 2015-05-26 백북스홀 (대전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34 258 마음의 서재 file 이정원 2013.03.29 4950 정여울 천년의상상 정여울 작가 2013-04-09 대전 유성도서관 오후 7시
133 385 내성적인 여행자 file 관리자 2018.10.30 334 정여울 해냄 정여울 2018-11-1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32 102 자연과학 과학 콘서트 file 관리자 2006.09.13 4465 정재승 동아시아 정재승 2006-09-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31 226 정재승+진중권 크로스 3 file 강신철 2011.11.10 5838 정재승, 진중권 웅진지식하우스 진중권 2011-11-17 중구문화원 오후 7시
130 288 구글 신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 file 유화현 2014.06.26 5510 정하웅,김동섭,이해웅 사이언스북스 정하웅 교수(저자) 2014-07-08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29 152 광휘의 속삭임 file 박문호 2008.10.15 4941 정현종 문학과 지성 정현종 2008-10-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28 191 돌아다보면 문득 file 강신철 2010.05.26 7616 정희성 창비 정희성 시인 2010-06-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127 84 신경과학과 마음의 세계 file 관리자 2005.12.13 4014 제럴드 에델만 범양사 박문호 2005-12-20
126 120 인문사회 총, 균, 쇠 file 박문호 2007.06.13 5251 제레드 다이아몬드 문학사상사 정영옥 2007-06-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25 42 소유의 종말 file 관리자 2004.03.10 3726 제레미 리프킨 민음사 송윤호 2004-03-23
124 234 공감의 시대 6 file 관리자 2012.03.14 5537 제레미 리프킨 민음사 김갑중 원장 2012-03-27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23 20 바이오테크 시대 file 관리자 2003.06.21 3827 제레미리프킨 민음사 2003-04-08
122 173 세컨드 네이처 3 file 박문호 2009.09.02 7435 제렐드 에델만 이음 박문호 박사 2009-09-08 저녁7시|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강당
121 247 닥터스 씽킹 (How Doctors Think) 3 file 김형렬 2012.09.29 4704 제롬 그루프먼 해냄 김대경 교수 2012-10-09 유성도서관, 3층 저녁 7시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