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문학예술
2018.03.28 07:35

미술관에 간 의학자

조회 수 29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374
저자 박광혁(내과전문의)
출판사 어바웃어북
발표자 박광혁(내과전문의)
일자 2018-04-10
장소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시간 저녁 19시 15분

?

20180327_223331.png

?

책 소개

?

문명을 괴멸시킨 전염병부터 마음속 생채기까지, 진료실 밖에서 만난 명화 속 의학 이야기!

진료실에서 보내는 시간 다음으로 미술관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의사가 있다. 그는 오늘도 흰 가운을 벗고 병원을 나와 미술관으로 향한다. 그가 미술관에 간 까닭은 무엇일까? 상반된 분야처럼 느껴지는 의학과 미술은 ‘인간’이라는 커다란 공통분모를 가지고 있다. 의학과 미술의 중심에는 생로병사를 숙명처럼 안고 살아가는 인간이 있다. 다빈치의 [인체 비례도]처럼 인간의 신체적 완전성을 담고 있는 그림이 있는가 하면, 푸젤리의 [악몽]처럼 인간의 정신세계 가장 밑바닥에 있는 무의식을 탐사하는 그림이 있다. 고야의 [디프테리아]는 질병에 신음하는 인간의 모습을 생생히 묘사하고 있다. 브뢰헬의 [맹인을 이끄는 맹인]은 엑스레이와 CT 스캐너 같은 현대의 의료 장비보다 병세를 더 상세하게 투영한다.

의학자에게 미술관은 진료실이며, 캔버스 속 인물들은 진료실을 찾은 환자와 다름없다. 그림 속 인물들은 질병에 몸과 마음을 잠식당해 고통스러워하고, 삶의 유한성

?

에 탄식한다. 그러다가도 질병과 당당히 맞서 승리하기도 한다. 그들의 고백은 인간의 실존적 고통을 담고 있기에, 가장 보편적인 인간의 이야기다. 사람의 생명을 다루는 의학은 차가운 이성과 뜨거운 감성이 교류하는 학문이다. 명화는 의학에 뜨거운 온기를 불어넣는다. 이 책은 의학의 주요 분기점들을 소개할 뿐만 아니라, 명화라는 매력적인 이야기꾼의 입을 빌려 의학을 쉽고 친근하게 설명하고 있다.

?


  1.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2. No Image 25May
    by 관리자
    2004/05/25 by 관리자
    Views 3831 

    유인원과의 산책

  3. [백북스시즌2 책밤19] 우주에서 가장 작은 빛

  4. 생각의 속도

  5. [백북스시즌2 책밤46] 해부학자

  6. 마인드 인 소사이어티

  7. No Image 21Jun
    by 관리자
    2003/06/21 by 관리자
    Views 3801 

    장쩌민

  8. No Image 21Apr
    by 관리자
    2004/04/21 by 관리자
    Views 3869 

    이브의 일곱 딸들

  9. 우주의 구조

  10. 책의 역사

  11. 달마는 서쪽에서 오지 않았다

  12. 조일전쟁

  13. [백북스시즌2 책밤43] 페퍼민트

  14. [백북스시즌2 책밤1] 나는 당신들의 아랫사람이 아닙니다

  15. No Image 21Jun
    by 관리자
    2003/06/21 by 관리자
    Views 4963 

    만년샤쓰

  16. 손으로 쓰고 그린 호주 40일

  17. [백북스시즌2 책밤42] 모던 팝 스토리

  18. 세종처럼 - 소통과 헌신의 리더십

  19. 하늘에 새긴 우리 역사

  20. [백북스시즌2 책밤2주년] 어떤 양형 이유

  21. 도마시장

  22. 여행준비의 기술

  23. No Image 29Jul
    by 관리자
    2006/07/29 by 관리자
    Views 4091 

    마음찾기

  24. No Image 08Aug
    by 관리자
    2005/08/08 by 관리자
    Views 4018 

    영교시 수업

  25. 내 눈 속의 한의학 혁명

  26. 블랙홀이 불쑥불쑥

  27. 궁궐의 우리나무

  28. 수학 읽는 CEO

  29. 고산자

  30. 한국의 뇌과학자, 세계의 정상에 서다

  31. 뇌 생각의 출현

  32. 문명 안으로 : 문명 개념의 형성과 한자문화권의 번역 과정(문명이란 무엇인가?)

  33. 엄마와 나

  34. 미술관에 간 의학자

  35. No Image 11Oct
    by 관리자
    2004/10/11 by 관리자
    Views 3742 

    영조와 정조의 나라

  36. 착한인생

  37. 시골의사 박경철의 자기혁명

  38. No Image 21Jun
    by 관리자
    2003/06/21 by 관리자
    Views 4237 

    링크 (원제: Linked;)

  39. 자본주의와 자유

  40. 바로크음악의 역사적 해석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