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자연과학
2017.11.22 00:43

송민령의 뇌과학 연구소 (2차)

조회 수 26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365
저자 송민령
출판사 동아시아
발표자 송민령
일자 2017-11-28
장소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시간 저녁 7시 15분

?

?

2017-11-14 모임에 이어,

송민령의 뇌과학연구소 두 번째 시간입니다.

?

?

20171030_222500.png

?

책 소개

?『송민령의 뇌과학 연구소』는 자유의지는 무엇인지, 뇌와 자아는 어떻게 연결되는지, 인공지능의 작동 원리는 무엇인지 같은 이야기들을 뇌과학의 최신 성과에 기반을 두고 풀어낸다. 다양한 사례와 재미있는 연구 결과들을 보면서 독자들은 뇌과학이 지닌 가능성에 공감하게 될 것이다. 그런데 이 책은 뇌과학이 무엇인가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뇌과학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도 심도 있게 다룬다.

?

송민령

저자 : 송민령
저자 송민령은 대학에 뇌과학과가 드물던 시절부터 뇌에 관심이 많았다. 복잡한 뇌의 활동을 이론적으로 살펴보기 위해서 과학의 언어인 수학을 전공하고, 뇌의 생물학적 원리를 탐구하기 위해서 생명과학을 복수 전공했다. 또 신경 회로의 전기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 전자공학과 수업을 들었다. 카이스트에서 학부 과정을 마친 뒤, 미국 애리조나대학에서 신경과학 전공, 수학 부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고, 현재 카이스트 바이오 및 뇌공학과 박사 과정에 다니고 있다.

학습과 의사 결정에서 도파민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연구하기 위해서 쥐 행동, 약물, 전기 생리학 실험, 원숭이 전기 생리학 데이터 분석, 컴퓨터 모델링 연구를 수행했다. 기능성 자기공명영상 실험 경험과 신경세포 생물학 실험 경험도 가지고 있다.

좋아하는 학문인 뇌과학이 올바르게 쓰이기를 바라는 마음에, 국제 신경윤리학회가 처음 생긴 무렵부터 뇌과학과 사회의 바람직한 상호작용에 관심을 갖고 활동해왔다.

《경향신문》에 “송민령의 뇌과학 이야기”, 한겨레 《사이언스온》에 “송민령의 뇌과학: 인공지능과 우리”를 연재하고 있다. TEDXKAIST, 백북스, 상담학회 등에서 세미나와 강연을 해왔다. 뇌과학이 나를 이해하고, 너를 이해하고, 인간을 이해하도록 돕는 학문이기를, 인간이 이런 존재일 때 어떻게 함께 살아갈 것인지를 모색하는 데 기여하는 학문이기를 바란다.


  1. 더 힘들어질 거야 더 강해질 거야 더 즐거울 거야(프랑스 녹색당 해바라기상 수상 작가 김수박의 만화 에세이)

  2. 이종필교수의 인터스텔라

  3. 현대예술 (형이상학적 해명)

  4. 이명현의 과학책방(별처럼 시처럼, 과학을 읽다)

  5. 어느 무명 철학자의 유쾌한 행복론

  6. 시각과 예술

  7. 동물들의 침묵 (진보를 비롯한 오늘날의 파괴적 신화에 대하여)

  8. 수학의 언어(안 보이는 것을 보이게 하는 수학)

  9. 쿠바, 혁명보다 뜨겁고 천국보다 낯선

  10. 대통령의 글쓰기

  11. 상상의 아테네 베를린 도쿄 서울 : 기억과 건축이 빚어낸 불협화음의 문화사

  12. 공생 멸종 진화 (생명 탄생의 24가지 결정적 장면)

  13. 에너지 혁명 2030

  14. 러브 온톨로지 : 사랑에 관한 차가운 탐구

  15. 풀꽃 나태주 시선집

  16. 사피엔스(유인원에서 사이보그까지, 인간 역사의 대담하고 위대한 질문)

  17. 세상물정의 물리학

  18. 단순한 기쁨

  19. 송민령의 뇌과학 연구소 (2차)

  20. 외계생명체 탐사기

  21. 상식철학으로 읽는 인류문명과 한국 사회 현실(김의수 교수의 철학에세이)

  22. 낭만주의에 대한 사실주의적 해부 보바리 부인

  23. 세계는 왜 싸우는가? 김영미 세계 분쟁 지역 전문 PD가 아들에게 들려주는 분쟁의 진실

  24. 블랙홀과 시간여행

  25. 대한민국 60년 성찰과 전망

  26. 세계종교사상사

  27. 묵자

  28. 소립자를 찾아서

  29. 위대한 설계

  30. 생명이란 무엇인가

  31. 프레시지옹

  32. 생명 40억년의 비밀

  33. 테마 현대미술 노트

  34. 생각의 지도

  35. 산소

  36.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37. 언어의 탄생

  38. 동의보감, 몸과 우주 그리고 삶의 비전을 찾아서

  39. 마리 퀴리의 위대한 유산 - 방사선과 현대생활

  40. 길들은 다 일가 친척이다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