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자연과학
2017.07.14 17:13

<수학의 언어로 세상을 본다면>

조회 수 167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학의 언어로 세상을 본다면>오구리 히로시

?

?

‘수학의 본질은 자유다’라는 뜻의 의미를 이제야 알다니....

수학은 발견인가? 발명인가?.....

?

?

“크로네커는 ‘신은 자연수를 만들었고, 나머지는 모두 인간의 작품이다’라고 말한 것에서도 볼 수 있듯이 자연수와 같이 유한한 것을 다루는 수학 이외에는 믿지 않았다. ‘인간이 만들어 낸 것’인 실수를 연구하기는 커녕, 자연수 전체와 실수 전체 등과 같은 무한 집합을 생각하고 그 대소를 비교하는 칸토어의 수학을 인위적인 것이라고 혐오하였다.

?

이에 반하여 칸토어는 ‘수학의 본질은 자연수다’라는 유명한 말로 반박했다. 토지 측량을 위한 기하학이 탄생하고 뉴턴의 역학의 법칙을 정식화하기 위해 미적분을 발명한 것처럼 수학은 세계를 이해하려는 방향으로 발달해왔다. 그러나 19세기가 되자 수학 그 자체를 위해서 연구하자는 움직임이 나타난다. 논리적으로 앞뒤가 맞기만 하면 어떤 것이라도 연구대상으로 삼아도 좋다. 수학은 외부 세계로부터 독립하여 연구자 자신의 사고의 날개를 달고 어디까지라도 날아갈 수 있는 ‘자유’로운 학문이라는 것이다.-“수학의 언어로 세상을 본다면” 중에서.

?


  1. 힘 - 틱낫한

  2. 흰 그늘의 길1(199) -김지하- (학고재)

  3. No Image 31Dec
    by 한창희
    2004/12/31 by 한창희
    Views 2007 

    희망은 길이다. 020

  4. 흔들리는 나, 방황하는 나, 그 이유를 찾아 떠나다

  5. 휴식

  6. 황하에서 천산까지 - 김호동 저

  7. 환속(김나미, 마음산책,2003)

  8. 화폐 트라우마 035 (2-2편)

  9. No Image 15Mar
    by 한창희
    2012/03/15 by 한창희
    Views 2093 

    화폐 트라우마 035 (2-1편) 내용이 길어 두편으로 나눔.

  10. 화차 / 미야베 미유키

  11. 화성의 인류학자 -올리버 색스-

  12. 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온 여자

  13. 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온 여자

  14. 화, 힘

  15. 화(Anger)/틱낫한 지음.

  16. 화(anger)

  17. 화 - 틱낫한

  18. 홍보스캔들(051225)

  19. 홀로사는 즐거움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