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자연과학
2017.07.14 17:13

<수학의 언어로 세상을 본다면>

조회 수 167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학의 언어로 세상을 본다면>오구리 히로시

?

?

‘수학의 본질은 자유다’라는 뜻의 의미를 이제야 알다니....

수학은 발견인가? 발명인가?.....

?

?

“크로네커는 ‘신은 자연수를 만들었고, 나머지는 모두 인간의 작품이다’라고 말한 것에서도 볼 수 있듯이 자연수와 같이 유한한 것을 다루는 수학 이외에는 믿지 않았다. ‘인간이 만들어 낸 것’인 실수를 연구하기는 커녕, 자연수 전체와 실수 전체 등과 같은 무한 집합을 생각하고 그 대소를 비교하는 칸토어의 수학을 인위적인 것이라고 혐오하였다.

?

이에 반하여 칸토어는 ‘수학의 본질은 자연수다’라는 유명한 말로 반박했다. 토지 측량을 위한 기하학이 탄생하고 뉴턴의 역학의 법칙을 정식화하기 위해 미적분을 발명한 것처럼 수학은 세계를 이해하려는 방향으로 발달해왔다. 그러나 19세기가 되자 수학 그 자체를 위해서 연구하자는 움직임이 나타난다. 논리적으로 앞뒤가 맞기만 하면 어떤 것이라도 연구대상으로 삼아도 좋다. 수학은 외부 세계로부터 독립하여 연구자 자신의 사고의 날개를 달고 어디까지라도 날아갈 수 있는 ‘자유’로운 학문이라는 것이다.-“수학의 언어로 세상을 본다면” 중에서.

?


  1. '나쁜 유전자'를 읽고((바버라 오클리, 살림출판사)

  2. '꿈꾸는 기계의 진화'를 읽고

  3. No Image 02Nov
    by 신동찬
    2011/11/02 by 신동찬
    Views 1894 

    '그리스인 조르바'를 읽고

  4. '교단일기'를 읽고

  5. '같기도하고 아니같기도 하고' 중 '환원주의와의 싸움'

  6. '가이아의 복수' / ' 긴 여름의 끝' 을 읽고....

  7. '07-47 살라딘 십자군에 맞선 이슬람의 위대한 술탄

  8. '06-46 배려

  9. No Image 28Nov
    by 최유미
    2011/11/28 by 최유미
    Views 2181 

    ' 아파야 산다'/ '우리 몸은 석기시대' 을 읽고...

  10. "사피엔스" (유발 하라리; 김영사, 2015)

  11. <통찰의 시대> 에릭 캔댈 (2)

  12. <통찰의 시대> 에릭 캔댈 (1)

  13. <진화하는 물> 제럴드 폴락

  14. <진화하는 물> 제럴드 폴락

  15. <인간 존재의 의미>-에드워드 윌슨

  16. <이슬람 학교> 이희수 (2)

  17. <이슬람 학교> 이희수 (1)

  18. <스핀> 이강영

  19. <수학의 언어로 세상을 본다면>

  20. <생명에서 생명으로> 베른트 하인리희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