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후감

자연과학
2017.07.14 17:13

<수학의 언어로 세상을 본다면>

조회 수 167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학의 언어로 세상을 본다면>오구리 히로시

?

?

‘수학의 본질은 자유다’라는 뜻의 의미를 이제야 알다니....

수학은 발견인가? 발명인가?.....

?

?

“크로네커는 ‘신은 자연수를 만들었고, 나머지는 모두 인간의 작품이다’라고 말한 것에서도 볼 수 있듯이 자연수와 같이 유한한 것을 다루는 수학 이외에는 믿지 않았다. ‘인간이 만들어 낸 것’인 실수를 연구하기는 커녕, 자연수 전체와 실수 전체 등과 같은 무한 집합을 생각하고 그 대소를 비교하는 칸토어의 수학을 인위적인 것이라고 혐오하였다.

?

이에 반하여 칸토어는 ‘수학의 본질은 자연수다’라는 유명한 말로 반박했다. 토지 측량을 위한 기하학이 탄생하고 뉴턴의 역학의 법칙을 정식화하기 위해 미적분을 발명한 것처럼 수학은 세계를 이해하려는 방향으로 발달해왔다. 그러나 19세기가 되자 수학 그 자체를 위해서 연구하자는 움직임이 나타난다. 논리적으로 앞뒤가 맞기만 하면 어떤 것이라도 연구대상으로 삼아도 좋다. 수학은 외부 세계로부터 독립하여 연구자 자신의 사고의 날개를 달고 어디까지라도 날아갈 수 있는 ‘자유’로운 학문이라는 것이다.-“수학의 언어로 세상을 본다면” 중에서.

?


  1. 한국역사3

  2. 나무

  3. 심청 -황석영

  4. 교실 이데아

  5. [2]성탄 축제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

  6. "향수" -어느 살인자의 이야기-

  7. 7막 7장 그 이후..(15th)

  8. 마시멜로 이야기

  9. 시골의사 박경철의 자기혁명 034 (2-2편)

  10. Pride and prejudice

  11. 가자! 일본 가자!

  12. No Image 31Oct
    by 한창희
    2004/10/31 by 한창희
    Views 1671 

    갈매기의 꿈 018

  13. <수학의 언어로 세상을 본다면>

  14. 아내를 아내로 알아보는 것이 얼마나 큰 행복인지...

  15. 딥스

  16. 지도 밖으로 행군하라

  17. 몰입의 즐거움

  18. Sorstalansag[운명없음]이 원제인 [운명]

  19. 냉정과 열정 사이 (아오이 이야기)

  20. 잃는것or두배로 얻는것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72 Next
/ 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