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6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웹자보.001.jpeg


무제 2.002.jpg


우리 현대사 다시 읽기

?

일제 강점기에서 한국전쟁, 군부독재를 거쳐 오늘에 이르기까지.?

숨 가쁜 변화 가운데 우리 사회는 얼마나 달라졌을까요? ?

영화와 소설을 오가며 현대사를 새롭게 읽어보려 합니다. ?

사건의 나열이 아닌 삶이 숨 쉬는. 그 시공간 속으로 떠납시다.

?

?

Scene #1 - 그래도 꿈과 고향을 노래하자

고향을 떠난 사람이 있습니다. 청년은 먼 타향에서 시를 씁니다. 소녀는 정겨운 꽃이 그립습니다.?

빼앗긴 삶에도 따뜻함이 남아 있습니다. 정말 소중한 것은 빼앗을 수 없는 까닭입니다.?

?

?

1강_ 0702 :: 영화 <동주> &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br />

2강_ 0709 :: 소설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박완서

?

?

Scene #2 - 너와 나, 찢어진 우리

이념의 대립은 ?수많은 삶을 파괴해버렸습니다. 형제가 형제를, 이웃이 이웃을 의심하게 만들었습니다.?

나아가 서로 피 흘리는 비극을 낳았습니다. 봉합되지 못한 상처를 감싸 안을 길은 없는 걸까요?

?

3강_ 0716 :: 영화 & 만화 <지슬>

4강_ 0723 :: 소설 <광장>, 최인훈

?

?

Scene #3 - 세월은 흘러가도 산천은 안다

장군님이 대통령인 ?시절이 있었습니다. 군대가 시위대를 막아서던 때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총구 앞에 ?놓인 삶은 물러서지 않았습니다. 산천이 기억하는 그날을 ?우리 역시 기억해야 합니다.

?

5강_ 0730 :: 영화 <효자동 이발사>?

6강_ 0806 :: 소설 <소년이 온다>, 한강

?

?

Scene #4 - 진실은 침몰하지 않는다

어느 철학자의 말처럼 국가는 언제든 괴물이 될 수 있습니다.?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역사를 읽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또한 우리가 지금 역사를 쓰고 있기 때문입니다. 진실이든 거짓이든

?

7강_ 0813 :: 영화 <괴물>

8강_ 0820 :: 기록 <다시 봄이 올 거예요>, 세월호 유가족

?

?

Epilogue - 기억하는 발걸음 행동하는 미래

책상을 떠나 우리의 발을 직접 역사의 장소에 놓아봅니다. ?

기억이란 잊어버리지 않는 게 아니라 ?함께 살아가는 것입니다.?

우리가 그들 곁에 있듯 언제가 우리와 발맞추어 나아가는 이들도 있을 것입니다.?

?

답사_ 0827 :: * 장소 미정 (광주나 안산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

?

* 일시: 7월 2일 ~ 8월 27일 일요일 오후 2시 30분 (총9강 / 부분 수강 가능)

* 장소 : 온지곤지 (서울 용산구 소월로 20길 42)

* 대상 : 중학생 또래 청소년

* 강사 : 기픈옹달

* 신청 :?http://bit.ly/우리현대사다시읽기

* 문의 : 카카오톡 zziraci

?

?

매 시간 과제가 있습니다.

?

- 강좌는 참여형 토론 수업으로 진행하므로 해당 작품을 꼭 보거나 읽고 와야 합니다.

- 간단한 감상문을 홈페이지에 올려주세요. (금요일까지)

?

강사: 기픈옹달

?

독립연구자. 인문학 연구자들의 공동체, 연구공간 수유너머에서 10년간 고전을 공부했다. 지금은 ?[연구공동체 우리실험자들]의 회원이다. 청소년들과 고전 및 인문학을 함께 공부하는 방법을 모색중이다. 쓴 책으로는 <공자와 제자들의 유쾌한 교실>이 있고, 연구실 동료들과 <고전이 건네는 말> 시리즈에서 <논어>, <장자>, <사기>, <욥기>에 대한 글을 썼다.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04 공지 2008년 첫번째 강연을 다녀와서 2 전지숙 2008.01.09 1284
4003 공지 2008년에도 교차로는 독서클럽과 함께 하겠습니다. 5 김주현 2007.12.28 1735
4002 공지 2009 뇌과학 주관 1 임석희 2009.03.12 1800
4001 2009 송년회 안내 - 프로그램/오시는길 2 임석희 2009.12.21 2965
4000 2009 중고등학생 북극연구체험단 모집 및 신청 안내 7 이어진 2009.06.18 1975
3999 공지 20090321 제 4회 인문 고전 모임 안내 강혜정 2009.03.05 1461
3998 공지 2009년 서울 모임은 이렇게 진행합니다. 9 김홍섭 2008.12.03 1734
3997 2009년6월18일 박문호 박사님 & 백북스 기사 4 문경목 2009.06.18 1751
3996 공지 2009년이 세계 천문의 해라고 합니다. 문경수 2007.12.26 1245
3995 2009대한민국과학기술연차대회 [수학, 과학교육분과] 발표후기 박종민 2009.07.16 2560
3994 2009대한민국과학축전 일산 KINTEX에서 개최 file 박종민 2009.07.25 1726
3993 2009인천세계도시축전 개최 4 file 박종민 2009.08.05 1698
3992 200회 정기 모임 최종 안내 9 송윤호 2010.10.22 2016
3991 200회 정기모임을 축하드립니다. 14 임석희 2010.10.26 1763
3990 2010 세계 뇌주간 1 file 한정규 2010.03.05 1854
3989 2010 행복한 책 읽기 전국독서감상문대회」참가 안내 file 류지은 2010.09.19 2122
3988 2010년 1~2월 백북스 공식 회계보고 1 관리자 2010.03.03 1694
3987 2010년 9월 주제 : 눈으로 읽는 그림 마음으로 읽는 그림 file 르네 2010.08.19 1611
3986 2010년 서울 뇌과학 회계 보고 2 file 강혜정 2010.04.13 1949
3985 2010년6월8일 진해 사랑방 1 file 김상철 2010.06.09 210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