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354
저자 박노자, 김헌, 안성찬, 김월회, 이혜경, 안연희, 우효경, 김민정, 성해영
출판사 한길사
발표자 안성찬(공동저자,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
일자 2017-06-13
장소 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시간 오후 7시 15분

208362232g.jpg

?

'문명의 씨줄과 날줄을 엮다'
- 한국의 새로운 인문학을 구상함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문명연구사업단과 (주)도서출판 한길사는 다양한 문명을 비추어 줄 수 있는 인문학의 고전들을 번역하고 주해하여 '문명텍스트' 총서를 출판하였다. 또 한편 분화된 인문학 영역 사이의 학제간 공동연구를 통하여 '문명공동연구' 총서를 출판하였다. 이번 출판의 목표는 문명의 핵심 고전을 통하여 인류문명의 보편성을 발견하고 그것에 기초하여 한국의 새로운 인문 정신을 모색,정립하는 데에 있다.

1. '문명'에 대한 새로운 해석, 한국적 인문학의 의미
역사적으로 볼 때, 우리는 다양한 문명을 수용하여, 그 문명에 내재된 보편성을 찾아내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만의 독특한 문화와 문명을 꽃피운 경험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와 산업화 과정을 거치면서 서구 편향적인 가치관을 갖게 되고, 문명의 다양한 모습을 이해하는 일은 소홀히 하게 되었다.
인문학은 우리의 삶과 세계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추구하는 학문이다. 그러나 근대 이후 학문의 분화와 함께 인문학 역시 점점 더 세분화되었다. 학문은 분화될 수 있지만 우리 삶은 그렇지 못하다. 삶과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만들어진 학문이 삶의 문제를 둘러싼 총체적인 이해를 점점 어렵게 만들었다. 특히 서구 중심적인 학문체계를 일방적으로 수용함으로써, 우리 문화와 학문의 특징인 다양성을 상실하게 되었다. 이제 서구 문명의 일방적인 수용에서 벗어나 한국적 인문학을 모색하고 이를 토대로 문명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전망을 내놓을 시기에 도달하였다.
이러한 인식 아래 '총서'의 기획은 다양한 문명에 대한 한국적인 해석을 염두에 두고 있다. 어느 사회에서건 그 사회에서 제기되고 있는 많은 문제들은 해당 사회만이 겪은 역사적 경험이라는 특수성과 세계적으로 축적된 문제의 결과라는 보편성 모두에서 연유하는 것임을 고려할 때, 이 '총서'가 지향하는 다양성과 보편성, 보편성과 특수성이야말로 현재 우리 사회가 당면해 있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키워드라고 할 수 있다.

'문명텍스트' 총서는 한국, 일본, 중국 등 동양의 고전은 물론이요, 서양의 고전과 몽골, 아랍, 아프리카 등 때로는 주목받지 못했던 세계 여러 문명권의 고전을 우리말로 번역하고 주해하는 일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처럼 번역과 주해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이유는 첫째, 고전이란 당대의 문화와 문명을 형성하는 데 뿌리가 되는 핵심적인 텍스트로서, 역사를 통해 지속적으로 사유의 단서를 던지며 생명력을 발휘해왔으며, 현대 문명을 비추어보고 미래를 전망하는 데에도 힘을 갖기 때문이다. 둘째, 인문학이 인류가 남긴 다양한 텍스트를 통해 인간과 사회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그 확장된 인식을 새로운 텍스트에 담아내는 학문이라는 믿음 때문이다.

2. 다양한 문명 연구를 통한 새로운 인문학의 첫걸음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HK문명연구사업단은 학제연구를 위한 절호의 구성을 갖추고 있다. 인문학을 비롯해 사회과학, 자연과학, 공학 등 다양한 학문분과의 연구자들이 모여 있다. 각자의 영역에서 전문지식을 쌓은 이들은 하나의 주제를 놓고 깊은 안목으로 접근하며, 동시에 그런 눈들이 모여 전체를 조망함으로써 더 깊고 더 넓게 문명을 이해하는 창발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동서고금을 아우르는 연구 영역과 학문 분야의 다양성이야말로 문명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내놓을 수 있는 훌륭한 토양이 되고 있다. 오랫동안 자신의 분야에서 전문화를 추구했기에 공동연구가 쉬운 작업은 아니지만, 함께 공동의 주제를 앞에 놓고 논의하며 끊임없이 그 새로운 해석을 모색해 나갈 것이다. 사업단의 총서 출판에는 그런 노력의 결과와 과정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그러므로 '문명텍스트','문명공동연구' 총서의 특징은 책의 출판이라는 연구 결과물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결과물을 산출하기 위한 연구 과정에 있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인문학 연구는 각 분과 학문의 울타리에 갇혀 있었고, 설사 공동연구를 진행시킨다고 하더라도, 개별 연구자들이 단독으로 연구한 것들을 모아 놓은 '일련의 연구 성과'라는 성격이 강했다. 그러나 HK문명연구사업단은 '문명텍스트' 주해 작업을 수행하는 '근간조직'과 학제간 '문명공동연구'를 수행하는 '가변조직'을 운영하면서 정기적인 학술행사를 통하여 개인적인 연구와 공동의 연구를 조화시켜 왔다.
근간조직은 각각 동양고중세 분과(동아시아 고중세 문명의 형성과 사상적 교류 연구), 동양근현대 분과(동아시아 전통의 자기 혁신과 근대화 연구), 한국문화 분과(교계지로서의 한국문화의 정체성 연구), 서양고중세 분과(서구 고대문명과 중세 문명의 형성과 변화 과정 연구), 서양근현대 분과(서양 근대문명의 기원과 정체성 연구)로 나뉘어 지난 3년간 매주 문명텍스트 콜로키움을 통하여 신랄한 토론과 의견교환을 해오고 있다. 그 결과로 출간된 것들이 '문명텍스트' 시리즈다. '가변조직'은 다양한 분야의 전공자들이 주제 중심으로 자유롭게 모여서 정기적인 세미나를 통해 상호견제와 비판적인 논의를 지속하고 있다. 그 결과 중에서 이번에 출간된 것이 '문명공동연구' 시리즈다.

'문명텍스트'가 다양한 문명에 대한 개별 연구로서 특수성을 추구하는 것이라면, '문명공동연구'는 이러한 개별연구를 묶어주는 큰 틀로서 보편성을 추구하는 것이다. '문명텍스트' 시리즈가 현재를 떠받치고 있는 누적된 과거를 새롭게 해석하려는 씨줄 놓기라면, '문명공동연구' 시리즈는 인간과 세계를 총체적으로 이해하려는 날줄 얽기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문명텍스트'와 '문명공동연구'는 첫째, 문명에 대한 추상적인 공론에 머무르는 대신에 동서고금을 망라한 문명의 텍스트들을 주해,역주함으로써 문명의 구체적이고 생생한 모습을 소개한다. 둘째, 전통적인 인문학의 분야인 문(文),사(史),철(哲)을 넘어서 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을 넘나드는 학제적 연구를 통해 급변하는 다양한 문명의 총체적인 이해를 시도하고, 이에 기초하여 미래지향적인 문명론을 모색한다. 셋째, 동서고금 문명에 대한 다각적인 학문적 교류와 협력을 통해 더 넓고 깊은 문명론을 제안함으로써 한국 인문학의 '허브(hub)'로서의 기능을 맡으려 한다.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문명연구사업단과 (주)도서출판 한길사는 이 원대한 목표를 향해 그 역사적인 첫 단추를 끼웠다. 우리는 다양하고 성실하면서도 전문적인 연구가 바로 '한국의 인문학'이라는 큰 탑을 이루어내는, 작지만 단단한 초석이 되리라 믿는다. 우리의 이러한 노력이 모여서 새 시대가 요구하는 새로운 보편적인 인문 정신을 구현하는 '한국의 새로운 인문학'이 출현하기를 우리는 함께 꿈꾸고 있다.

3. 문명공동연구에 대한 소개
이번 시리즈에 출간되는 '문명공동연구'는 서울대 인문학연구원의 연구교수들이 공동연구조직을 구성하여, 정기적인 세미나를 통해 함께 독회하고 논의하여 차분하게 쌓아온 실적을 모은 것이다. 예를 들어 HK문명연구사업단은 '번역과 개념'이라는 공동연구조직을 운영하여 문명 담론을 이루는 핵심 개념들을 골라 그 개념의 역사, 정의와 용례들을 살펴보고, 시대와 지역에 따른 번역상의 맥락과 차이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문명'을 주요 개념으로 연구한[문명 안으로]를 완성하였다. 그러나 여기에 그치지 않고, 개념으로만 문명을 파악한다면 편협함을 피할 수 없다고 생각하여, 뒤이어 주류 '문명'에 대한 도전과 저항을 연구한 결과[문명 밖으로]를 엮어낼 수 있게 되었다.

[문명 안으로 ] 문명 개념의 형성과 한자문화권의 번역 과정
'문명'이라는 개념이 무엇으로 어떻게 규정되어 왔는지 비판적으로 검토한 책이다. 서구에 'civiilization'이라는 말이 생겨난 배경과 의미, 그리고 변화를 풀어내고, 그것의 번역어인 '문명(文明)'이라는 말이 중국과 일본, 그리고 우리나라를 포함한 한자 문화권에서 어떻게 정착되는지를 규명하였다. 개념의 형성과 변화 및 정착 과정을 사상사적 측면에서 다루었을 뿐만 아니라 역사적 사실들을 실증자료로 활용하였다.

Who's 이근완

?

안녕하세요. 한남대학교 졸업생 이근완입니다. 자주 찾아 뵐 수 있도록 하겟습니다.^^

Atachment
첨부 '1'
  • ?
    임석희 2017.07.29 06:18
    우리는 흔히 '문명'이라는 단어에 무작정 좋은 이미지를 덧씌운다. 그러나, 이 책, 그리고 안성찬 교수님은 문명의 이면, 그 민낯을 소개해 주셨다.

    강연 후 모두가 물었던 질문, "그래서,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지?"
    여전히 마음 속에 숙제로 남았다.
    강연 내용처럼 이제 우리는 무엇인가를 배우게 될 때, 그것을 맹목적으로 받아들이지 않는다. 한 발자국 떨어져서 다시 한 번 생각하고 동의 하면 받아들이다. 그리고 그 동의가 깨지면 언제든 다른 생각을 수용할 준비가 되어 있다. 하여, 일반인들의 머릿 속에는 아직 이 질문에 대한 답이 떠오르지 않는다. 연구자분들의 연구 결과가 속히 우리들에게 공유되면 좋겠다. 나는, 우리는 이제 그 무엇인가를 할 마음의 준비가 되어 있으니 말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121 469 인문사회 은유가 만드는 삶 file 조수윤 2023.05.24 557 김용규, 김유림 공저 천년의상상 김용규, 김유림 작가 2023-06-27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120 291 음악이란 무엇인가 file 유화현 2014.08.14 4277 니콜라스 쿡 동문선 한동운 교수(작곡 전공) 2014-08-26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19 149 인문사회 의미의 논리 file 박문호 2008.08.27 5469 이정우 한길사 이정우 박사 2008-09-0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18 101 자연과학 의식의 탐구 file 관리자 2006.08.24 4866 크리스토프 코흐 시그마프레스 박문호 2006-09-1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17 58 의식혁명 file 관리자 2004.11.10 3903 데이비드 호킨스 저/이종수 역 한문화 강신철 2004-11-23
116 121 문학예술 이것이 한국화다 file 박문호 2007.07.02 4646 류병학 아트북스 이종상 2007-07-10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15 110 인문사회 이머전스 file 관리자 2007.01.10 4824 스티븐 존슨 김영사 강신철 교수 2007-01-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14 387 자연과학 이명현의 과학책방(별처럼 시처럼, 과학을 읽다) file 이근완 2018.12.03 368 이명현 사월의책 이명현(연구인) 2018-12-11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30분
113 305 자연과학 이명현의 별 헤는 밤 file 이정원 2015.03.26 1378 이명현 동아시아 저자 이명현 박사 2015-04-14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12 343 문학예술 이반 일리치의 죽음 file 이근완 2016.11.25 590 레프 톨스토이(소설가) 저/ | 박은정 역 웅진씽크빅 최나경 플룻티스트 2016-12-1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11 243 이방인 6 file 관리자 2012.07.29 5524 알베르 카뮈 민음사 강현욱 작가 2012-08-07 유성도서관 3층 오후 7시
110 132 이보디보 : 생명의 블랙박스를 열다 file 박문호 2007.12.12 5128 션 캐럴 지호 황보영 회원 2007-12-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09 45 이브의 일곱 딸들 file 관리자 2004.04.21 3874 브라이언 싸이키스 따님 정완식 교수 2004-05-12
108 300 이종필교수의 인터스텔라 file 한빛찬 2015.01.15 1738 이종필교수 동아시아 이종필교수 2015-01-27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화 저녁7시
107 221 이준연 아동문학 50년 2 file 강신철 2011.08.31 6089 이은하 국학자료원 이은하 교수 2011-09-15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7시
106 339 문학예술 이중섭 평전 (신화가 된 화가, 그 진실을 찾아서, 이중섭에 관한 거의 모든 것) file 이근완 2016.09.28 427 최열(미술평론가) 돌베개 최열(미술평론가) 2016-10-11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05 407 자연과학 인간 지성의 최후의 보루 (COMER 매거진) file 관리자 2019.10.21 220 이정원 패스트캠퍼스 이정원 2019-10-22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104 95 인문사회 인간본성에 대하여 file 관리자 2006.05.21 4182 에드워드 윌슨 사이언스북스 이진석 2006-06-1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03 329 자연과학 인공지능과 딥러닝 (인공지능이 불러올 산업 구조의 변화와 혁신) file 이근완 2016.04.14 1265 마쓰오 유타카 박기원 역 동아엠앤비 이정원(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임연구원) 2016-04-26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02 261 인류의 발자국 1 file 이정원 2013.05.17 4275 앤터니 페나 삼천리 고원용 박사 2013-05-28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01 393 인문사회 인생극장 file 관리자 2019.03.13 332 노명우(아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사계절 노명우(아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2019-03-26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7시 15분
100 199 인생이 허기질 때 바다로 가라 4 file 강신철 2010.09.29 7967 한창훈 문학동네 한창훈 소설가 2010-10-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19시
99 348 자연과학 인포메이션 인간과 우주에 담긴 정보의 빅히스토리 file 이근완 2017.02.20 287 제임스 글릭, 박래선, 김태훈 역 동아시아 고원용 2017-02-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98 31 읽고 싶은 집, 살고 싶은 집 file 관리자 2003.09.08 3865 김억중 동녘 김억중 2003-10-08
97 68 임해경 교수님 첼로 연주회 관리자 2005.04.13 4131 임해경 ETRI 강당 임해경 2005-04-26
96 168 자본주의와 자유 file 강신철 2009.06.10 6743 밀턴 프리드먼 청어람미디어 변동열 변호사 2009-06-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오후 7시
95 281 자아폭발 - 타락 file 유화현 2014.03.15 6057 스티브 테일러(Steve Taylor) 다른세상 이병록 교수님(동명대) 2014-03-25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홈플러스탄방점 맞은편)) 오후 7시
94 355 문학예술 작은 집 1 file 이근완 2017.06.21 281 르 코르뷔지에(건축가) 저 이관석 역 열화당 김억중(한남대학교 교수) 2017-06-27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93 15 장쩌민 file 관리자 2003.06.21 3802 브루스 질리 한국경제신문 2003-01-21
92 48 재미있는 통계이야기 file 관리자 2004.06.09 4206 더렐 허프 청아출판사 권세혁 2004-06-22
91 182 저항의 인문학 file 강신철 2010.01.13 8764 Edward W. Said 마티 신명식 공동대표 2010-01-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19:00
90 26 적극적 사고방식 1 file 관리자 2003.06.27 4104 노먼빈센트필 세종서적 기영석 교수 2003-07-08
89 169 적도의 침묵 6 file 박문호 2009.06.24 8257 주강현 김영사 주강현 교수 2009-07-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41-3호 오후 7시
88 19 정상에서 만납시다 file 관리자 2003.06.21 4108 지그 지글러 산수야 강신철 교수 2003-03-25
87 320 자연과학 정신병을 만드는 사람들- 한 정신 의학자의 정신병 산업에 대한 경고 3 file 이근완 2015.11.25 1604 앨런 프랜시스 (지은이),김명남 (옮긴이) 사이언스북스 송민령(KAIST 바이오 및 뇌공학 박사과정) 2015-12-08 탄방동 엘리먼트랩 카페 2층(백북스홀 뒷골목 20m거리) 저녁 19시 15분
86 52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1,2권 file 관리자 2004.07.29 3827 이덕일 김영사 임해경 2004-08-24
85 204 정의란 무엇인가? 4 file 강신철 2010.12.15 10908 마이클 샌델 김영사 강신철 교수 2010-12-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84 226 정재승+진중권 크로스 3 file 강신철 2011.11.10 5839 정재승, 진중권 웅진지식하우스 진중권 2011-11-17 중구문화원 오후 7시
83 108 자연과학 조상이야기 file 관리자 2006.10.25 4819 리처드 도킨스 까치글방 송윤호 회원 2006-12-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82 17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file 관리자 2003.06.21 4416 한국역사연구 청년사 2003-02-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