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백북스 모임 안내

조회 수 35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104
저자 맥스 테그마크 (Max Tegmark)
출판사 동아시아
발표자 김낙우 (경희대 물리학과 교수)
일자 2017-05-26
장소 광화문 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 본사 '전성기 캠퍼스'
시간 저녁 7시30분

막스테그마크유니버스.jpg


강 연 자 : 김낙우 (?『맥스 테그마크의 유니버스』 역자)

김낙우 교수는 서울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1998년에 동 대학원에서 입자물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영국 런던대학 퀸메리 칼리지와 독일 막스플랑크 양자중력연구소의 연구원을 거쳐, 2004년부터 경희대학교 물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초끈 이론, 초중력, 양자장론에 관한 논문을 다수 발표했으며, 끈 이론 분야에서 행렬 이론의 성질을 규명하고 초중력 이론의 풀이에 기여한 공로로 2008년 한국물리학회의 백천물리학상을 받았다. 옮긴 책으로는 『양자 중력의 세 가지 길』, 『우주의 풍경』이 있다.



책소개

우주 실체의 수학적 본질을 꿰뚫는 최신 우주론의 모든 것.

『맥스 테그마크의 유니버스』은 물리학에 관심을 갖게 된 저자가 궁극적 실체를 탐험하기 시작한 지 25년 만에 내놓은 ‘과학적 자서전’이다...궁극적 실체 본질을 찾기 위해 은하를 넘어서는 거시세계부터 원자보다 작은 미시세계까지 탐구하며 모든 것이 수학적 구조로 이루어진 4단계의 평행 우주들의 거대하고 멋진 실체를 만나는 저자의 여정을 담고 있다.

이 책의 제1부에서는 우리 우주는 얼마나 큰가?’라는 질문의 답을 찾기 위해 거시세계로 여행을 떠나, 우리 우주의 근원과 두 종류의 평행우주를 탐험하고 공간이 어떤 의미에서는 수학적이라는 힌트를 찾아낸다. 제2부에서는 ‘모든 것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가?’라는 질문의 답을 찾기 위해 아원자의 미시세계로 여행을 떠나, 세 번째 종류의 평행우주를 조사하고 물질의 궁극적인 구성 요소가 어떤 의미에서는 수학적이라는 힌트를 찾아낸다. 마지막으로 제3부에서는 거시세계와 미시세계에서 각각 시작한 실체를 찾는 여행이 ‘수학적 구조’라는 하나의 영역에서 만나 네 번째 평행우주로 도달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저자 : 맥스 테그마크

맥스 테그마크 Max Tegmark 은 1967년 스웨덴에서 태어났다. 물리학자이자 우주론 학자로 현재는 MIT의 물리학과 교수이다. 스톡홀름 경제대학에서 경제학을, 왕립 공과대학에서 물리학을 공부한 뒤 1990년에 미국으로 건너와 1994년에 캘리포니아 버클리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연구에 대한 공로로 패커드 펠로우십, 코트렐 스칼러 어워드, 미국국립과학재단 커리어 그랜트를 받았다.

테그마크는 200편이 넘는 학술 논문의 저자 또는 공저자이며 그중 12편이 500번 이상 인용되었다. 또한 BBC 등 다수의 과학 다큐멘터리와 라디오 방송에 출연했으며,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뉴 사이언티스트》, 《사이언스》 등 수십 편의 기사에 실렸다. 또한 2005년에 물리학과 우주론의 근본을 연구하는 근본질문연구소(Foundational Questions Institute)를 설립했으며, 2014년에는 생명의미래연구소(Future of Life Institute)를 공동 설립했다. 그의 공식 웹사이트는 http://space.mit.edu/home/tegmark/이다.

『맥스 테그마크의 유니버스(Our Mathematical Universe)』는 과거, 현재, 미래, 그리고 그의 작업의 기초가 되는 물리학, 천문학 및 수학을 관통하는 놀라운 여행으로 우리를 이끈다. 특히 물리적 현실이 수학적 구조이며 궁극적 다중우주라는 것이 그의 이론의 핵심이다. 테그마크는 대중과학과 획기적 첨단과학의 눈부신 결합을 통해 종종 난해한 이론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뿐 아니라 과학자로서의 그의 삶을 형성한 놀라운 성취와 실패를 우리와 공유한다.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매혹적인 이 책은 이미 저명한 과학자와 수학자들의 관심과 존경을 불러일으켰다.


목차

1. 실체란 무엇인가?

제1부 줌아웃

2. 공간에서의 우리 위치/3. 시간에서의 우리 위치/4. 숫자로 본 우리 우주/5. 우리의 우주적 근원

/6. 다중우주로 온 것을 환영합니다

제2부 줌인

7. 우주의 레고/8. 3레벨 다중우주

제3부 물러서서 보기

9. 내적 현실, 외적 현실, 그리고 합의적 현실/10. 물리적 실체와 수학적 실체

11. 시간은 환상인가?/12. 4레벨 다중우주/13. 생명, 우리의 우주, 그리고 모든 것


입 장 비 ?: 만원(학생:오천원)^^?

강연장소 : 광화문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본사 지하 '전성기캠퍼스'

? ? ? ? ? ? ? ?(5호선 광화문역 청진공원 출구, 1호선 종각역 그랑서울 출구)

전성기 캠퍼스.jpg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회차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38 자연과학 이종필의 아주특별한 상대성 이론 강의 4 file 홍경화 2015.06.30 2441 83 이종필 동아사이언스 이종필 (물리학 박사) 2015-07-17 템프스테이 교육관3층 ( 안국역6번 종각역3번 출구) 저녁7시30분
37 자연과학 물리의 정석_양자역학편 file 홍경화 2018.05.02 530 115 이종필 사이언스북스 이종필(건국대 상허 교양대학 교수) 2018-05-25 전성기캠퍼스(광화문역 라이나생명 본사 지하1층) 저녁 7시30분
36 자연과학 물리학 클래식 : 물리학 원전을 순례하다 5 file 박용태 2012.09.05 7014 48 이종필 박사 사이언스북스 이종필 박사(물리학 박사/입자물리학 전공) 2012-09-21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종각역3번 출구, 안국역6번 출구) 저녁 7시30분
35 과학을 성찰하다 2 file 홍경화 2013.09.03 7692 61 임경순(포항공대 교수) 사이언스북스 임경순 교수 2013-09-27 템플스테이 (종각역 3번 0r 안국역 6번 출구) 저녁 7시30분
34 다윈의 식탁 file 박용태 2009.11.30 10815 14 장대익 김영사 장대익 교수 2009-12-18 저녁7시 | 조계사 맞은편템플스테이3층교육관
33 자연과학 수학의 힘 file 홍경화 2016.10.06 369 97 장우석 한권의 책 장우석 2016-10-27 템플스테이3층교육관 (안국역6번, 중각역3번출구) 목요일 저녁 7시30분
32 인문사회 공부도둑 관리자 2009.01.14 6706 3 장회익 생각의나무 장회익 2009-01-30
31 오래된 연장통 3 file 홍경화 2011.05.31 10338 33 전중환 교수(경희대) 사이언스북스 전중환 교수(경희대) 2011-06-24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1호선 종각역 3번 출구, 조계사 건너편 위치) 저녁 7시30분
30 자연과학 진화하는 물 file 홍경화 2017.06.01 359 105차 제랄드 폴락 지식을 만드는 지식 김홍표 (아주대 약학대 교수) 2017-06-30 라이나생명 본사 지하 전성기캠퍼스 (광화문 교보 뒤) 저녁 7시30분
29 공감의 시대 5 file 홍경화 2011.02.15 12153 29 제레미 리프킨 민음사 김갑중 (백북스 운영위원, 대전 한마음정신병원 원장) 2011-02-25 템플스테이(조계사 건너편) 3층교육관 저녁7시
28 자연과학 인포메이션 2 file 홍경화 2017.03.05 1535 102 제임스 글릭 (James Gleick) 동아시아 김상욱(부산대 물리교육과 교수) 2017-03-31 한국인성개발원(종로3가역 1번출구로부터 1미터. 국민은행ATM출장소건물 7층) 저녁 7시30분
27 자연과학 생각하는 뇌, 생각하는 기계 file 박용태 2010.08.03 12350 23 제프 호킨스 멘토르 김대식 카이스트교수 2010-09-29 교보문고 광화문점 내 '배움아카데미' 7시
26 자연과학 느끼는 뇌 1 file 송윤호 2011.03.04 12854 30 조셉 르두 (최준식 역) 학지사 최준식 교수 2011-03-25 서울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 (조계사 바로 건너편에 위치) 저녁 7시
25 플라톤에서 비트겐슈타인까지 file 박용태 2009.08.31 9370 11 조중걸 베아르피 조중걸 교수 2009-09-25 저녁7시 | 광화문 교보문고 본사 문화이벤트 홀 지하 1층
24 현대예술 5 file 홍경화 2012.07.02 20466 46 조중걸 지혜정원 조중걸 2012-07-27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 저녁 7시 30분
23 서양미술사 철학으로 읽기 3 file 홍경화 2013.04.03 6025 56 조중걸 한권의 책 조중걸 2013-04-19 템플스테이 (조계사 건너편 3층 교육관. 종각역 3번, 안국역 6번 출구) 저녁 7시30분
22 자연과학 고대예술(형이상학적 해명) 2 file 김홍섭 2016.02.04 12618 89 조중걸 지혜정원 조중걸 교수 2016-02-28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 150번지 미금파크빌딩 오피스텔 703호 오후5시
21 야성적충동 file 송윤호 2010.07.02 9101 21 조지 애커로프, 로버트 쉴러 공저 랜덤하우스코리아 장보형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위원 2010-07-25 삼일아카데미 오후 4시 30분
20 적응과 자연선택 file 홍경화 2014.01.02 6731 65 조지 윌리엄스 나남 전중환(경희대 교수) 2014-01-28 템플스테이 3층교육관 (조계사 건너편. 종각역3번 or 안국역6번 출구) 저녁 7시30분
19 자연과학 리비트의 별 file 홍경화 2016.11.03 351 98 조지 존슨 (George Johnson) 궁리 김희준 (서울대 화학부 교수) 2016-11-25 템플스테이3층 교육관(종각역3번, 안국역6번 출구) 저녁7시 30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