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백북스 모임 안내

자연과학
2017.04.08 22:58

우주, 시공간과 물질

조회 수 54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103
저자 김항배
출판사 컬처룩
발표자 김항배(한양대 물리학과 교수)
일자 2017-04-28
장소 광화문 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빌딩 지하 <전성기캠퍼스>
시간 오후 7시30분

김항배.jpg

?

저자 (강연자) : 김 항 배

저자 김 항 배는 서울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입자물리학 이론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마드리드 자치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 랭커스터 대학교, 로잔 공과대학교에서 박사 후 연구원을 지냈으며, 현재 한양대학교 물리학과 교수로 있다. 입자물리학 현상론, 우주론, 암흑 물질, 우주선 등의 주제로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입자천체물리학과 우주론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한국물리학회, 아태이론물리센터 등이 주최하는 대중 강연도 하고 있다.

?

책소 개

...‘우주론은 현대 과학의 총합’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현대 물리학의 거의 모든 분야가 우주론에 관여한다. 이 책 <우주, 시공간과 물질>은 바로 그런 관점에서 출발하고 있다. 현대 물리학은 입자물리학, 양자 역학, 상대성 이론이라는 세 개의 큰 기둥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세 기둥을 제대로 이해할 때 우주론도 온전하게 이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가장 작은 세계, 즉 물질의 최소 단위인 원자와 그 원자 안의 세계가 어떤 원리로 작동하고 있는지를 밝히는 물리학(입자물리, 양자 역학)과 가장 큰 세계, 즉 우주라는 거대한 공간이 어떤 원리에 따라 작동하고 있는지를 밝히는 물리학(상대성 이론)을 결합할 때 우주에 대해 제대로 알게 된다. 가령 ‘빅뱅’ 이후 아주 짧은 시간 동안 공간과 시간이 어떻게 만들어졌고 그 와중에 물질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알려면 이 세 학문을 결합시켜야만 제대로 된 접근을 할 수 있다.

?

그래서 이 책은 우주론에 관한 ‘표준 교과서’라고 할 수 있다. 과학사의 일화나 단편적인 재미를 쫓기보다는 우주의 ‘속살’을 보여 준다는 입장에서 서술되었다. 그러다 보니 일반 교양 과학서와는 차별화된 점을 가질 수밖에 없다. 특히 물리학적인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필수적인 수학을 담고 있다. 수학은 과학의 기본 언어인데, 수학을 배제하면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 내용이 있기 마련이다. 그런 면에서 이 책은 평소 교양 과학서의 깊이에 갈증을 느낀 독자들에게는 갈증을 해소시킬 수 있는 단물이 될 것이다. 혹여 수학적인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더라도 전체를 이해하는 데는 무리가 없다. 수식을 따라가면서 ‘느끼는 것’만으로도 우주에 대한 이해의 폭이 훨씬 달라질 것이다... (출판사 제공 책소개)

?

목 차

1장 하늘의 이해

2장 우주의 크기

3장 시공간과 상대성

4장 원자와 양자 역학

5장 소립자와 표준 모형

6장 팽창하는 우주

7장 우주의 시작과 끝

?

입장비: 만원(학생:오천원)^^

?

강연 장소 확인하세요!

광화문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본사 ?지하 '전성기캠퍼스'

(5호선 광화문역 청진공원 출구,?1호선 종각역 그랑서울?출구)


5호선 광화문역 청진공원 출구, 1호선 종각역 그랑서울 출구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회차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93 서양문명을 읽는 코드 신 1 file 홍경화 2011.01.29 12649 28 김용규 박사 휴머니스트 김용규 박사 2011-02-11 서울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 (조계사 바로 건너편에 위치) 저녁 7시- 9시
92 자연과학 느끼는 뇌 1 file 송윤호 2011.03.04 12855 30 조셉 르두 (최준식 역) 학지사 최준식 교수 2011-03-25 서울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 (조계사 바로 건너편에 위치) 저녁 7시
91 자연과학 홍성욱의 과학에세이 file 박용태 2009.06.03 8474 8 홍성욱 동아시아 홍성욱 교수 2009-06-26 서울 조계사(맞은편) 템플스테이센터 3층 교육관 오후 7시
90 양자역학의 철학적 기초 file 한정규 2014.08.04 6468 72 한스 라이헨바흐 지만지 강형구 역자 2014-08-29 서울 종로구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오후 7시30분
89 야생사과 3 file 박용태 2009.08.03 8099 10 나희덕 창비 나희덕 시인 2009-08-28 서울 템플스테이통합정보센터 3층교육관(종로조계사길맞은편) 저녁 7시
88 미토콘드리아 3 file 박용태 2009.06.29 10047 9 닉 레인 뿌리와 이파리 박문호 박사 2009-07-31 서울 한국세라믹기술원 강당 저녁 7시
87 앎의 나무 file 홍경화 2013.03.20 7297 55 음벨르또 마뚜라나, 프란시스코 바렐라 공저 갈무리 최호영 2013-03-29 서울시청 시민청 동그라미홀( 지하 2층임. 지하철1, 2호선 시청역 4번출구 방향 지하통로가 시민청과 바로 연결됨.) 저녁 7시30분
86 모바일 이노베이션 1 file 홍경화 2010.11.02 9867 25 김지현 21세기북스 김지현 다음커뮤니케이션 본부장 2010-11-28 용산역 4층 KTX 별실 회의실 오후 4시
85 공부하는 독종이살아남는다 2 file 박용태 2009.09.27 10365 12 이시형 중앙북스 이시형 박사 2009-10-27 저녁7시 | 3호선 경복궁역 4번 출구앞 후(厚)빌딩 3층
84 플라톤에서 비트겐슈타인까지 file 박용태 2009.08.31 9370 11 조중걸 베아르피 조중걸 교수 2009-09-25 저녁7시 | 광화문 교보문고 본사 문화이벤트 홀 지하 1층
83 상대성이론 6 file 박용태 2010.01.01 12296 15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지만지고전천줄 이종필 박사 2010-01-29 저녁7시 | 광화문 교보문고본사 지하1층 문화이벤트홀(예정)
82 다윈의 식탁 file 박용태 2009.11.30 10820 14 장대익 김영사 장대익 교수 2009-12-18 저녁7시 | 조계사 맞은편템플스테이3층교육관
81 자연과학 블랙홀과 시간여행 file 홍경화 2017.10.31 614 110 킵 S. 손 ( KIP S. THORNE) 반니 오정근 박사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선임연구원) 2017-12-01 전성기 캠퍼스 (광화문 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 본사 지하1층) 저녁 7시30분
80 자연과학 아인슈타인의 시계, 푸앵카레의 지도 1 file 홍경화 2017.08.04 436 107 피터 갤리슨(Peter Galison) 동아시아 김재영 박사 2017-08-25 전성기 캠퍼스( 광화문 교보 뒤 라이나 생명 본사 지하1층 ) 저녁 7시30분
79 자연과학 얼굴은 인간을 어떻게 진화시켰는가? file 홍경화 2018.08.02 376 117 애덤 윌킨스 을유문화사 김준홍 (포항공대 인문사회학부 대우교수) 2018-08-31 전성기 캠퍼스( 광화문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본사 지하, 5호선 광화문역 청진공원 출구) 저녁 7시30분
78 자연과학 물리의 정석 3 file 홍경화 2017.10.04 1983 109 레너드 서스킨드(Leonard Susskind), 조지 라보프스키(George Hrabovsky) 사이언스북스 이종필 교수( 건국대 상허 교양대학) 2017-10-20 전성기캠퍼스 ( 광화문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본사 지하 1층) 저녁 7시30분
77 자연과학 김상욱의 양자공부 file 홍경화 2018.02.02 1816 112 김상욱 사이언스북스 김상욱(부산대 물리교육과) 2018-02-23 전성기캠퍼스 (5호선 광화문역 청진공원 출구, 라이나생명 본사 건물 지하1층) 저녁 7시30분
76 자연과학 스핀 file 홍경화 2018.03.03 473 113 이강영 계단 이강영 교수(경상대 물리교육과) 2018-03-23 전성기캠퍼스 (광화문 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본사 지하) 저녁7시30분
75 자연과학 기억의 비밀 file 홍경화 2017.09.05 1252 108 에릭 캔델(Eric R. Kandel), 래리 스콰이어( Larry R. Squire) 해나무 송민령 (카이스트 바이오 및 뇌공학과 박사과정) 2017-09-29 전성기캠퍼스( 광화문 라이나생명 본사 지하1층) 저녁 7시30분
74 자연과학 김홍표의 크리스퍼 혁명 file 홍경화 2017.12.21 497 111 김홍표 동아시아 김홍표 교수(아주대 약학대) 2018-01-26 전성기캠퍼스(광화문 라이나생명본사 지하 1층) 저녁 7시30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