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백북스 모임 안내

자연과학
2017.03.05 22:25

인포메이션

조회 수 1535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102
저자 제임스 글릭 (James Gleick)
출판사 동아시아
발표자 김상욱(부산대 물리교육과 교수)
일자 2017-03-31
장소 한국인성개발원(종로3가역 1번출구로부터 1미터. 국민은행ATM출장소건물 7층)
시간 저녁 7시30분

896262169x_1.jpg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01451071

?

강연자?: 김 상 욱

?'인포메이션' 감수.

KAIST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POSTECH, KAIST,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서울대학교 연구교수 등을 지냈고, 현재 부산대학교 물리교육과 교수이다. 2009년 일본학술진흥재단 초청으로 일본 도쿄대학교에서 방문교수를 지냈다. 주요 연구 분야는 통계물리, 양자정보, 양자혼돈 등이며 최근에는 양자열역학, 정보의 물리학에 대해 연구를 진행 중이다.

지은 책으로 『김상욱의 과학공부』, 『과학하고 앉아있네 3: 양자역학 콕 찔러보기』(공저), 『과학하고 앉아있네 4: 양자역학 더 찔러보기』(공저)

?

책소 개

"우주가 존재하는 궁극적인 모습, 정보"

모든 것이 정보로 이루어지고 정보로 여겨지는 오늘날, 정보의 역사를, 정확하게 말하면 정보로 역사 전체를 돌아보는 시도란 얼마나 무모한가. 게다가 정보처럼 흔하게 쓰이면서 막상 제대로 설명하기 어려운 개념도 드문 터라, 이런 시도는 정보의 개념을 정의하는 데서 시작해 그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증명하고 이를 줄기로 역사 전체를 꿰어야 하는 과제를 해결해야만 한다. 걱정이 앞서지만, 다행히 이번 시도의 주인공은 <카오스>로 널리 알려진 저술가 제임스 글릭이다. 그는 질서와 혼돈을 오가며 세계를 이해하는 새로운 관점을 명쾌하게 전한 솜씨를 이번에도 유감없이 발휘한다.

?

예상대로 이야기는 정보의 정의에서 시작한다. 인지할 수는 있지만 감각할 수는 없는 것처럼 보이는 정보가 비트라는 측정 단위 위에서 새롭게 만들어낸 의미의 축은 한둘이 아니다. 에너지량와 물리량뿐 아니라 생명의 조합까지 정보 위에서 새롭게 해석되고, 나아가 우주까지 아니 결국에는 우주 자체도 정보의 모습으로 이해되는 데 이른다. 물론 인류가 정보를 기록하고 전파하기 위해 만들거나 사용한 각종 도구와 기술도 빠지지 않는다. 인간과 역사, 기술과 과학을 시공 위에 입체적으로 그려낸 빼어난 저작이자, 인간과 정보가 만들어갈 미래를 무척 기대하게 만드는 흥미로운 책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알라딘 주간편집회의, 인문 MD 박태근 (2017.01.24))-

.

목 차

제1장 말하는 북 ―코드가 아닌 코드

제2장 말의 지속성 ―마음에는 사전이 없다

제3장 두 개의 단어집 ―글의 불확실성, 철자의 비일관성

제4장 생각의 힘을 기어 장치에 ―보라, 황홀경에 빠진 산술가를!

제5장 지구의 신경계 ―몇 가닥 초라한 전선에서 무엇을 기대할 수 있겠는가?

제6장 새로운 전선, 새로운 논리 ―다른 어떤 것도 이보다 미지에 싸인 것은 없다

제7장 정보이론 ―내가 추구하는 것은 평범한 두뇌일 뿐입니다

제8장 정보로의 전환 ―지성을 구축하는 기본 요소

제9장 엔트로피와 그 도깨비들 ―섞인 것을 휘저어 나눌 수 없어요

제10장 생명의 고유 코드 ―유기체의 완전한 설명서는 이미 알에 적혀 있습니다

제11장 밈 풀 속으로 ―당신은 나의 두뇌를 감염시킨다

제12장 무작위성의 감각 ―죄악의 상태에 빠져

제13장 정보는 물리적이다 ―비트에서 존재로

제14장 홍수 이후 ―바벨의 거대한 앨범

제15장 매일 새로운 뉴스 ―그리고 비슷한 뉴스

?

저 자?: 제임스 글릭 (James Gleick)

최근작 :<인포메이션>,<카오스>,<아이작 뉴턴> … 총 11종

1954년 미국 뉴욕에서 태어났다. 하버드대학교에서 문학과 언어학을 공부했으며, 뉴욕 타임스에서 10여 년간 기자와 편집자로 일했다. 과학자들의 생애와 과학에 대해 주로 글을 쓰는 글릭은 《뉴욕 타임스》에 미첼 파이겐바움, 스티븐 제이 굴드, 더글러스 호프스태터, 브누아 망델브로 등에 대해 썼고, 이 외에도 《뉴요커》, 《슬레이트》, 《워싱턴 포스트》에 글을 썼다. 또한 Best American Science Writing 시리즈의 초대 편집자를 지내기도 했다.

글릭은 미국에서만 100만 부 이상 판매된 교양과학서의 베스트셀러작가다

?

역 자?:

박래선 : 서강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에이도스 출판사 대표이다. 옮긴 책으로 제임스 글릭의 『카오스』 등이 있다

.?

김태훈 :?중앙대학교 문예창작과를 졸업하고 현재 번역 에이전시 하니브릿지에서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역서로는 《스티브 잡스 프레젠테이션의 비밀》《어떻게 원하는 것을 얻는가》《그 개는 무엇을 보았나》《달러제국의 몰락》《야성적 충동》《욕망의 경제학》《프리덤 라이터스 다이어리》 외 다수가 있다.

?

?

입장^^ 만원(학생은 5천원)

?

강연 장소 확인하세요!

종로3가역 1번 출구로 나오자마자 바로 앞 (출구로부터 1미터 전방 오른편)에?보이는 건물입니다.

1층에 국민은행ATM출장소가 있는?건물(고영빌딩) 7층 한국인성개발원입니다.intro5_img01.gif

  • ?
    작은들꽃 2017.03.15 23:59
    안녕하세요? 지방에서 참여하려고 하는데요.. 혹시 강연이 몇 시쯤 끝나나요? 기차표를 예매해야 해서요~ 질문할 수 있는 창구가 이 곳밖에 없어서 문의드립니다~
  • ?
    박용태 2017.03.17 00:54
    아 반갑습니다. 9시 30분 전후 계산하시면 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회차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38 자연과학 마이크로 코스모스 file 홍경화 2011.06.25 10308 34 린 마굴리스, 도리언 세이건 공저 김영사 홍욱희 세민환경연구소 소장 2011-07-29 조계사 앞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 (종각역3번 출구) 7시30분
37 나는 누구인가 file 송윤호 2010.11.29 10949 26 리하르트 다비트 프레히트 21세기북스 카이스트 김대식 교수 2010-12-17 조계사 앞 템플스테이 저녁 7시
36 이기적 유전자 file 홍경화 2011.09.02 8941 36 리처드 도킨스 을유문화사 전중환 교수(경희대) 2011-09-30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조계사 건너편에 위치, 종각역 3번 출구 혹은 안국역) 7시30분
35 에덴의 강 : 유전자와 진화의 진실 2 file 송윤호 2011.12.04 6589 39 리처드 도킨스 사이언스북스 이일준, 한정규 회원 2011-12-22 템플스테이 3층 교육장 저녁 7시 30분
34 대칭과 아름다운 우주 8 file 송윤호 2012.02.02 7574 41 리언 레더먼,크리스토퍼 힐 공저 승산 이종필 박사 2012-02-24 조계사 앞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 저녁 7시 30분
33 천국의 문을 두드리며 file 관리자 2016.03.03 1186 90 리사 랜들/이강영 역 사이언스북스 이강영 교수 2016-03-11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 저녁7시30분
32 자연과학 천국의 문을 두드리며 file 관리자 2016.01.20 1602 89 리사 랜들/이강영 역 사이언스북스 이강영 교수 2016-01-28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 저녁7시30분
31 실체에 이르는 길 3 file 홍경화 2013.05.01 6665 57 로저 펜로즈 승산 이종필 박사 2013-05-31 템플스테이 ( 종각역3번 or 안국역6번 출구) 저녁 7시 30분
30 無로부터의 우주 file 홍경화 2014.06.04 7615 70 로렌스 크라우스 ( Lawrence M. Krauss) 승산 이종필 박사 2014-06-27 템플스테이 교육관 저녁 7시 30분
29 자연과학 물리의 정석 3 file 홍경화 2017.10.04 1968 109 레너드 서스킨드(Leonard Susskind), 조지 라보프스키(George Hrabovsky) 사이언스북스 이종필 교수( 건국대 상허 교양대학) 2017-10-20 전성기캠퍼스 ( 광화문교보문고 뒤 라이나생명본사 지하 1층) 저녁 7시30분
28 자연과학 블랙홀 전쟁 file 송윤호 2011.11.01 9593 38 레너드 서스킨드 - 이종필 역 사이언스 북스 이종필 박사 2011-11-25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종각역 3번 출구 혹은 안국역) 저녁 7시 30분
27 진화심리학 2 file 홍경화 2012.07.28 7538 47 데이비드 버스 (David Buss) 웅진지식하우스 전중환 교수 2012-08-31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 (종각역 3번 출구, 안국역 6번출구) 저녁 7시30분
26 생각에 관한 생각: Thinking Fast and Slow 4 file 홍경화 2012.04.03 8331 43 대니얼 카너먼 저/이진원 역 김영사 안서원(서울과기대 교수) 2012-04-27 조계사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종각역 3번 출구 혹은 안국역) 오후 7시30분
25 미토콘드리아 3 file 박용태 2009.06.29 10042 9 닉 레인 뿌리와 이파리 박문호 박사 2009-07-31 서울 한국세라믹기술원 강당 저녁 7시
24 자연과학 빨강 보기- 의식의 기원 file 한정규 2014.07.01 7304 71 니콜러스 험프리 이음 한정규 회원 2014-07-25 템플스테이 교육관 3층 저녁 7시 30분
23 야생사과 3 file 박용태 2009.08.03 8099 10 나희덕 창비 나희덕 시인 2009-08-28 서울 템플스테이통합정보센터 3층교육관(종로조계사길맞은편) 저녁 7시
22 자연과학 생명의화학, 삶의화학 6 file 박용태 2009.04.29 8615 7 김희준 자유아카데미 김희준 교수 2009-05-29 광화문 교보문고 본사 문화이벤트 홀 지하 1층 오후 7시
21 자연과학 먹고 사는 것의 생물학 1 file 홍경화 2016.12.28 669 100 김홍표 궁리 김홍표 교수(아주대 약학대) 2017-01-20 한국인성개발원(지하철 종로3가역 1번출구 고영빌딩 7층) 저녁7시30분
20 자연과학 김홍표의 크리스퍼 혁명 file 홍경화 2017.12.21 489 111 김홍표 동아시아 김홍표 교수(아주대 약학대) 2018-01-26 전성기캠퍼스(광화문 라이나생명본사 지하 1층) 저녁 7시30분
19 자연과학 가장 먼저 증명한 것들의 과학 file 홍경화 2018.09.07 2173 118 김홍표 위즈덤하우스 김홍표 2018-09-28 한국인성개발원(고영빌딩 7층. 지하철 종로3가역 1번출구 나오자 마자 왼쪽에 보임) 저녁 7시 30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