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19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1월 25일 김희준 교수님의 ?<리비트의 별> 강연 안내입니다.

?세페이드 변광성들의 주기와 광도의 관계를 처음 제시한 하버드의 '컴퓨터' 리비트는? 허블의 법칙이 나오는 징검다리 역할을 한 천문학 역사에서 길이 남을 발견을 하였죠.

그 발견의 과정과 여성 '컴퓨터' 헨리에타 리비트의 생애를 김희준 교수님의 생생한 강연으로

함께하시죠.?

11월 25일 금요일 저녁 7시 30분 템플스테이 3층 교육관입니다.

매달 마지막 주 금요일은 백북스 하는 날!

관심있는 많은 분들의 참여 바랍니다.

?

?

?

헨리에타 레빗의 업적을 간략히 소개하면....

?

'하버드의 ‘컴퓨터’ 헨리에타 레빗이 한 일은 피커링과 함께 밝기가 변하는 별인 변광성을 찾아내는 것이었다. 레빗은 곧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여 이 분야의 전문가가 되었다. 그것은 아마도 천문학자 피커링이 했던 가장 현명한 결정이었을 것이다.

태양 같은 별은 적어도 우리가 살아가는 동안은 언제가 거의 일정한 세기의 빛을 낸다. 하지만 별 중에는 밝기가 변하는 것도 있다. 이런 별을 변광성이라고 부른다. 변광성 중에는 초신성처럼 한 번 밝아졌다가 어두워져 완전히 사라지는 별도 있고, 주기적으로 밝아졌다 어두워지는 것을 반복하는 별도 있다. 1836년까지 발견된 변광성의 수는 26개에 불과했으나 이후 사진 건판이 사용되면서 그 수는 급격히 늘어났다. 헨리에타 레빗이 피커링과 함께 변광성을 찾기 시작한 1890년대에는 수백 개의 변광성이 발견되었다.

1908년 레빗은 <마젤란 성운들에 있는 1777개의 변광성들>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다. 레빗은 이 변광성들의 최대 밝기와 최소 밝기의 기록을 제시했는데 그 중에서도 소마젤란 성운에서 발견된 16개의 별들에 대해서는 변광주기까지 밝혔다. 당시에는 아직 이름이 붙지 않았지만 이 변광성들이 바로 세페이드 변광성들이다. 레빗은 논문에 이렇게 썼다.

?

“변광성들 중 더 밝은 별들이 더 긴 주기를 가진다는 사실은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이것은 세페이드 변광성의 주기-광도 관계를 처음으로 제시한 것으로 천문학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문장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레빗은 밝기가 밝은 변광성일수록 광도가 변하는 주기가 길다는 사실을 알아냈는데, 밝기가 밝은 별은 더 크기 때문에 수축과 팽창을 하는 속도가 느리므로 주기가 길어지는 것이다.

이제 변광성의 주기만 구하면 실제 밝기를 알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이 관계를 다른 은하에 있는 변광성들에 적용해 그 은하까지의 거리를 구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예를 들어 주기가 같은 두 세페이드 변광성이 있다면, 이 두 별의 실제 밝기는 같다는 의미가 된다. 그러므로 두 별 중 더 어두운 별은 더 멀리 있다는 뜻이다.

?

우주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표준광원이 탄생한 것이. 이후 이어진 우주에 대한 인류의 놀라운 발견들은 대부분 이 새로운 표준 광원 덕분에 이루어진 것이다. 레빗은 1921년 53세에 암을 사망하는 바람에 허블이 자신의 발견을 이용하여 우주를 보는 관점을 바꾸는 과정을 보지 못했다.'-우주의 끝을 찾아서 헨리에타 레빗 중에서

?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24 한 여름 오후의 영성스터디와 여흥을 함께! ( 한국정신과학학회) 김선숙 2013.07.11 1583
223 이기두님만^^ 4 육형빈 2013.07.14 1827
222 초대합니다!!!가수 김태곤박사 와 함께 하는 매직 힐링콘서트와 영성스터디를 함께 file 김선숙 2013.07.17 1946
221 [중급반] 화이트헤드 철학 강좌 [7월29일(월) 개강] 미선 2013.07.18 1737
220 꿈에... 임석희 2013.07.24 1521
219 하기수련캠프에 초대합니다-한국정신과학학회 file 김선숙 2013.07.30 1820
218 통합심신치유 코스와 뮤지션 김태곤박사의 힐링 콘서트 및 다양한 프로그램으로의초대! file 김선숙 2013.08.10 1771
217 프레시안books 서평 2 이정원 2013.08.14 1783
216 [일상미학] 2013일상미학강좌 <손의 문화_호모 파베르의 귀환> 소개합니다! file 김지연 2013.08.28 1494
215 공룡의 땅, 고비사막 5 문경수 2013.08.30 1784
214 한국정신과학학회 공부방 9월 모임 안내(9월 4일 오후 7시) 한국정신과학학회 2013.09.04 1758
213 [10/7 개강] 다중지성의 정원 2013년 4분학기 프로그램 안내! 김하은 2013.09.14 1431
212 [몸학 강좌] 새로운 몸삶 이론 (9월29일 개강) 미선 2013.09.16 1691
211 전체 노동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그림자 노동>Shadow Work에 대하여.. 미선 2013.09.25 1624
210 조명한 교수(저) [누가복음의 이해] 책과 관련하여 1 이정모 2013.09.27 1718
209 [아카데미] < 민주주의의 새로운 실험, 생활정치> + <고전으로 이해하는 정치사상> 느티나무지기 2013.10.16 1427
208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의 분리적 불행의 비극 미선 2013.10.18 1626
207 백북스 포인트, 이걸로 뭘 하나요? 이혜숙 2013.10.19 1491
206 * 종로광장시장 인문학콘서트 "시장과 돈" * 노진아 2013.10.22 1467
205 10월 26일 (토) 한국정신과학학회 추계학술대회 김선숙 2013.10.26 173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 216 Next
/ 216